The Revolution of Light Marks Korea’s Path to Sovereignty
빛의 혁명, 주권으로 가는 출발점
From December 3, 2024 to April 5, 2025, millions of South Koreans braved freezing temperatures and increasing repression to to confront a political system corrupted by authoritarianism, militarism, and foreign domination. Nearly 10 million people took to the streets to demand the removal of President Yoon Suk-yeol, who had tried to invoke martial law to crush dissent. But what unfolded was far more than a reaction to a single man’s overreach. It was a mass democratic uprising that exposed the limits of South Korea’s postwar order—and demanded a departure from it.
This was no momentary mobilization. It was a sustained people’s movement: 67 national protests, 60 marches totaling 145 kilometers, over 1,800 rallies in more than 100 cities. Hundreds of thousands gathered weekly, joined by 1.5 million more online and offline. They were not led by political elites, but by students, workers, artists, farmers, and families, united by a shared demand: that democracy in Korea must be reclaimed from authoritarian rulers and their imperial patrons.
The democratic uprising was creative, confrontational, and collective. Citizens organized public trials for coup collaborators, launched poetry campaigns calling for the dissolution of the ruling party, and filled squares with 20,000 ribbons of remembrance and resistance. They held street lectures, art exhibitions, solidarity fasts, and book drives. Through it all, they asserted a truth that the South Korean state—and its foreign allies—have long tried to suppress: that the people are the only legitimate source of political power.
The democratic movement’s reach was international. From Berlin to Sydney, Koreans in the diaspora and their allies mobilized in solidarity. And in Korea itself, the movement began drafting its own vision for the future. On March 9, 200 citizens gathered in Seoul to propose reforms on justice, demilitarization, and democratic control. Local dialogue groups emerged in over 30 cities.
But while the Korean people were rising, Washington remained silent. Even as over 80 percent of South Koreans supported Yoon’s impeachment, the Biden administration had continued to treat him as a reliable ally. This silence is not accidental. For decades, the U.S. has prioritized military dominance over democratic values in Korea, propping up authoritarian regimes so long as they aligned with American strategic goals.
Yoon was no exception. Under his presidency, South Korea doubled down on arms buildup, revived Cold War-style alliances, and hosted provocative U.S.-led war games near the North Korean border. His administration crushed labor unions, surveilled journalists, and attempted to criminalize dissent—all with quiet approval from Washington.
But now, the Korean people are demanding a different path—one rooted in sovereignty, peace, and liberation. The leading opposition presidential candidate, Lee Jae-myung, has vowed to reject nuclear escalation, oppose U.S. tactical nuclear deployments, restore civilian control over the military, and reclaim wartime operational command from the U.S. He represents not just a change in policy, but a rejection of the subservient posture forced upon South Korea since the Korean War armistice.
This is not simply a domestic matter. The Korean peninsula remains one of the most militarized zones on earth, and Washington’s insistence on nuclear brinkmanship threatens not just peace in Korea, but stability across East Asia. It is time for the United States to stop enabling militarism and start respecting Korean self-determination and sovereignty.
The democratic uprising that began in winter is not fading—it is deepening, organizing, transforming. Its message is unmistakable: a true Korean democracy cannot coexist with neocolonial dependency and foreign military occupation.
Whether Washington listens or not, the people of Korea are charting their own course—one not of alliance with the empire, but of solidarity among peoples, demilitarization, and popular power. A new republic is being born. The world should take note.
대한민국 빛의 혁명은 주권 국가를 세우기 위한 첫 걸음
지난 겨울, 한국은 다시 한 번 전 세계에 민주주의의 힘을 보여주었다. 2024년 12월 3일부터, 2025년 4월 5일까지, 약 천만 명의 시민이 거리로 나와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을 외쳤다. 이는 단순한 항의가 아니었다. 시민들은 민주주의의 회복을, 그리고 더 나아가 새로운 체제를 요구했다.
124일 동안 67차례의 대규모 집회, 60회의 행진(총 145km), 매주 20만~50만 명이 모인 광장. 전국 100여 곳에서 총 1,800회가 넘는 집회가 열렸고, 127개 시민단체와 189명의 전문가와 활동가, 그리고 오프라인과 온라인에서 150만 명이 넘는 시민이 함께했다.
이 집회는 단순한 모임이 아니었다. 광장은 예술과 저항, 상상과 민주주의가 공존하는 공간이 되었다. 쿠데타 동조자에 대한 시민재판, 거리 강연, 예술 전시, “최악의 쿠데타 공범 투표”, 헌법을 외친 시화전, 단식과 책 나눔 운동, 그리고 20,000개의 리본이 시민들의 염원을 담아 광장을 물들였다.
3월 9일 서울에서는 200명의 시민이 28개의 원탁에 모여 정책 토론회를 열었고, 이후 광주, 인천, 전남, 경남에서도 지역별 숙의가 이어졌다. 전국 32개 지역에서 시민 대화모임이 형성되었고, 이들은 개별 정당에 정책 제안을 제출하고 향후 대선 과정에서 이를 지속적으로 감시할 계획이다. 2016~17년 촛불 이후 개혁이 좌초되었던 경험에서 배운 시민들은, 이번에는 끝까지 책임을 묻겠다는 의지가 분명하다.
이번 운동은 국경도 넘었다. 베를린, 파리, 도쿄, 뉴욕, 시드니 등 세계 여러 도시에서 한국의 민주주의를 지지하는 동포들과 시민들이 연대의 목소리를 냈다. 이는 한국만의 일이 아니다. 전 세계 민주주의 후퇴에 맞서는 글로벌 연대의 일환이다.
무엇보다 중요한 사실은, 80% 이상의 한국 국민이 윤석열 탄핵을 지지했다는 점이다. 하지만 미국 바이든 행정부는 마지막까지 윤 대통령을 ‘합법적 파트너’로 대하며 묵묵부답으로 일관했다. 이는 이중잣대가 아닐 수 없다. 미국은 ‘민주주의 동맹’을 강조하면서도, 실제로는 극우 군사주의자들과 손잡고 동북아의 긴장을 고조시키고 있다.
지금 한국 시민들이 요구하는 것은 분명하다. 북한과의 대화 복원, 핵 군비 경쟁 중단, 민간 중심의 군 통수권 회복, 그리고 외세 의존이 아닌 자주적 외교다. 제1야당 대통령 후보인 이재명은 미국과의 핵 공유를 반대하고, 2018년 남북 군사합의 복원, 전시작전통제권 환수, 동북아 지역 외교 복원을 공약으로 내세우고 있다.
이러한 흐름을 외면하고 극우 세력과의 동맹을 지속하는 미국의 정책은 도덕적으로나 전략적으로 모두 실패할 것이다. 미국이 진정으로 동북아의 민주주의를 지지하고자 한다면, 이제는 권력자보다 시민의 편에 서야 한다.
2025년 대선을 앞둔 지금, 한국의 시민운동은 단순한 반발이 아닌 새로운 시대를 여는 정치 세력으로 진화하고 있다. 이들은 광장에 모여 민주주의를 다시 쓰고 있다. 그리고 세계는 그 울림에 응답할 준비가 되어 있는가?
This was no momentary mobilization. It was a sustained people’s movement: 67 national protests, 60 marches totaling 145 kilometers, over 1,800 rallies in more than 100 cities. Hundreds of thousands gathered weekly, joined by 1.5 million more online and offline. They were not led by political elites, but by students, workers, artists, farmers, and families, united by a shared demand: that democracy in Korea must be reclaimed from authoritarian rulers and their imperial patrons.
The democratic uprising was creative, confrontational, and collective. Citizens organized public trials for coup collaborators, launched poetry campaigns calling for the dissolution of the ruling party, and filled squares with 20,000 ribbons of remembrance and resistance. They held street lectures, art exhibitions, solidarity fasts, and book drives. Through it all, they asserted a truth that the South Korean state—and its foreign allies—have long tried to suppress: that the people are the only legitimate source of political power.
The democratic movement’s reach was international. From Berlin to Sydney, Koreans in the diaspora and their allies mobilized in solidarity. And in Korea itself, the movement began drafting its own vision for the future. On March 9, 200 citizens gathered in Seoul to propose reforms on justice, demilitarization, and democratic control. Local dialogue groups emerged in over 30 cities.
But while the Korean people were rising, Washington remained silent. Even as over 80 percent of South Koreans supported Yoon’s impeachment, the Biden administration had continued to treat him as a reliable ally. This silence is not accidental. For decades, the U.S. has prioritized military dominance over democratic values in Korea, propping up authoritarian regimes so long as they aligned with American strategic goals.
Yoon was no exception. Under his presidency, South Korea doubled down on arms buildup, revived Cold War-style alliances, and hosted provocative U.S.-led war games near the North Korean border. His administration crushed labor unions, surveilled journalists, and attempted to criminalize dissent—all with quiet approval from Washington.
But now, the Korean people are demanding a different path—one rooted in sovereignty, peace, and liberation. The leading opposition presidential candidate, Lee Jae-myung, has vowed to reject nuclear escalation, oppose U.S. tactical nuclear deployments, restore civilian control over the military, and reclaim wartime operational command from the U.S. He represents not just a change in policy, but a rejection of the subservient posture forced upon South Korea since the Korean War armistice.
This is not simply a domestic matter. The Korean peninsula remains one of the most militarized zones on earth, and Washington’s insistence on nuclear brinkmanship threatens not just peace in Korea, but stability across East Asia. It is time for the United States to stop enabling militarism and start respecting Korean self-determination and sovereignty.
The democratic uprising that began in winter is not fading—it is deepening, organizing, transforming. Its message is unmistakable: a true Korean democracy cannot coexist with neocolonial dependency and foreign military occupation.
Whether Washington listens or not, the people of Korea are charting their own course—one not of alliance with the empire, but of solidarity among peoples, demilitarization, and popular power. A new republic is being born. The world should take note.
대한민국 빛의 혁명은 주권 국가를 세우기 위한 첫 걸음
지난 겨울, 한국은 다시 한 번 전 세계에 민주주의의 힘을 보여주었다. 2024년 12월 3일부터, 2025년 4월 5일까지, 약 천만 명의 시민이 거리로 나와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을 외쳤다. 이는 단순한 항의가 아니었다. 시민들은 민주주의의 회복을, 그리고 더 나아가 새로운 체제를 요구했다.
124일 동안 67차례의 대규모 집회, 60회의 행진(총 145km), 매주 20만~50만 명이 모인 광장. 전국 100여 곳에서 총 1,800회가 넘는 집회가 열렸고, 127개 시민단체와 189명의 전문가와 활동가, 그리고 오프라인과 온라인에서 150만 명이 넘는 시민이 함께했다.
이 집회는 단순한 모임이 아니었다. 광장은 예술과 저항, 상상과 민주주의가 공존하는 공간이 되었다. 쿠데타 동조자에 대한 시민재판, 거리 강연, 예술 전시, “최악의 쿠데타 공범 투표”, 헌법을 외친 시화전, 단식과 책 나눔 운동, 그리고 20,000개의 리본이 시민들의 염원을 담아 광장을 물들였다.
3월 9일 서울에서는 200명의 시민이 28개의 원탁에 모여 정책 토론회를 열었고, 이후 광주, 인천, 전남, 경남에서도 지역별 숙의가 이어졌다. 전국 32개 지역에서 시민 대화모임이 형성되었고, 이들은 개별 정당에 정책 제안을 제출하고 향후 대선 과정에서 이를 지속적으로 감시할 계획이다. 2016~17년 촛불 이후 개혁이 좌초되었던 경험에서 배운 시민들은, 이번에는 끝까지 책임을 묻겠다는 의지가 분명하다.
이번 운동은 국경도 넘었다. 베를린, 파리, 도쿄, 뉴욕, 시드니 등 세계 여러 도시에서 한국의 민주주의를 지지하는 동포들과 시민들이 연대의 목소리를 냈다. 이는 한국만의 일이 아니다. 전 세계 민주주의 후퇴에 맞서는 글로벌 연대의 일환이다.
무엇보다 중요한 사실은, 80% 이상의 한국 국민이 윤석열 탄핵을 지지했다는 점이다. 하지만 미국 바이든 행정부는 마지막까지 윤 대통령을 ‘합법적 파트너’로 대하며 묵묵부답으로 일관했다. 이는 이중잣대가 아닐 수 없다. 미국은 ‘민주주의 동맹’을 강조하면서도, 실제로는 극우 군사주의자들과 손잡고 동북아의 긴장을 고조시키고 있다.
지금 한국 시민들이 요구하는 것은 분명하다. 북한과의 대화 복원, 핵 군비 경쟁 중단, 민간 중심의 군 통수권 회복, 그리고 외세 의존이 아닌 자주적 외교다. 제1야당 대통령 후보인 이재명은 미국과의 핵 공유를 반대하고, 2018년 남북 군사합의 복원, 전시작전통제권 환수, 동북아 지역 외교 복원을 공약으로 내세우고 있다.
이러한 흐름을 외면하고 극우 세력과의 동맹을 지속하는 미국의 정책은 도덕적으로나 전략적으로 모두 실패할 것이다. 미국이 진정으로 동북아의 민주주의를 지지하고자 한다면, 이제는 권력자보다 시민의 편에 서야 한다.
2025년 대선을 앞둔 지금, 한국의 시민운동은 단순한 반발이 아닌 새로운 시대를 여는 정치 세력으로 진화하고 있다. 이들은 광장에 모여 민주주의를 다시 쓰고 있다. 그리고 세계는 그 울림에 응답할 준비가 되어 있는가?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