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ar U.S. Forces Korea Commander Gen. Xavier Brunson:

Korea is Not a "Fixed Carrier" for a U.S.–China Showdown

Lessons from the American Founding Fathers:

Respect Korean Sovereignty

주한미군 사령관 제비어 브런슨 장군 귀하: 한국은 미중 대결을 위한 ‘고정 항공모함’이 아닙니다


“When a long train of abuses and usurpations… evinces a design to reduce them under absolute Despotism, it is their right, it is their duty, to throw off such Government.”

—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1776

“The tree of liberty must be refreshed from time to time with the blood of patriots and tyrants.”

— Thomas Jefferson

The American Declaration of Independence was more than a break from British rule—it was a moral stand against imperial domination and the erosion of self-governance. Nearly 250 years later, the United States risks betraying its founding ideals by interfering in the democratic process of its ally, South Korea, and turning the Korean Peninsula into a forward base in a new Cold War.

On May 15, U.S. Forces Korea Commander General Xavier Brunson declared that American troops must remain in South Korea not only to deter North Korea, but also to counter China and Russia. Referring to South Korea as a “fixed aircraft carrier floating in the water” near China, he reduced an entire nation—its people, history, and democratic institutions—to a military asset.

Even more troubling were his comments on South Korea’s upcoming June 3 presidential election. With President Yoon Suk-yeol impeached for abuse of power and opposition leader Lee Jae-myung favored to win, Brunson’s insistence that Korea’s next president must accept the current U.S.–ROK alliance trajectory reads as a veiled threat: no deviation from Washington’s strategic agenda will be tolerated.

This is not diplomacy—it is coercion. It is interference in a sovereign nation’s democratic process.

Lee Jae-myung, the frontrunner in the presidential election representing the Democratic Party, has stated clearly that South Korea should not be dragged into a U.S.–China confrontation or become a proxy in the Taiwan Strait. That vision for balanced diplomacy and peaceful coexistence challenges Washington’s Indo-Pacific strategy.

And yet, it is the Korean people who have consistently demonstrated what democracy looks like. Through mass mobilization and peaceful protest, they have overthrown authoritarian regimes, defended their Constitution, and revitalized their republic. For this, they are being punished—not by an adversary, but by an ally that treats Korea not as a partner, but as a pawn.

Let us be clear: South Korea is not America’s staging ground for future wars. It is not a "fixed carrier" to be deployed in a geopolitical showdown with China. It is a sovereign democracy with the right to choose peace, diplomacy, and national dignity over militarization and dependency.

If the United States truly values democracy, it must live up to its own principles. That means ending interference in Korea’s political affairs, halting military pressure, and respecting the will of the Korean people.

South Korea is not America’s front line. It is a nation striving for peace and self-determination—on its own terms.

As Americans once declared in their own fight for independence:

“When a long train of abuses and usurpations... evinces a design to reduce them under absolute Despotism, it is their right, it is their duty, to throw off such Government.”

South Korea, like all free nations, deserves nothing less.

General Brunson: Remember the Founding Fathers. Korea is not your aircraft carrier.

미국 ​독립운동과 건국의 교훈: 대한민국 주권을 존중하라

주한미군 사령관 제비어 브런슨 장군: 한국은 미중 대결을 위한 ‘고정 항공모함’이 아니다

“오랜 세월 이어져 온 학대와 권리 침해가 전제정치 아래에 놓이게 하려는 의도를 드러낼 때, 그 국민에게는 그런 정부를 타도할 권리이자 의무가 있다.” — 1776년, 미국 독립선언서

“자유의 나무는 때때로 애국자와 폭군의 피로 새로워져야 한다.” — 토머스 제퍼슨

미국 독립선언서는 단순한 영국으로부터의 독립 선언을 넘어, 제국주의 지배와 자치권 침해에 맞선 도덕적 입장이었다. 250년에 가까운 시간이 흐른 지금, 미국은 동맹국인 대한민국의 민주주의 과정에 간섭하고 한반도를 새로운 냉전의 전초기지로 만들며 자국 건국 이념을 배신할 위험에 처해 있다.

2025년, 5월 15일, 주한미군 사령관 제비어 브런슨 장군은 미군이 북한 억제뿐 아니라 중국과 러시아를 견제하기 위해 한국에 주둔해야 한다고 선언했다. 그는 한국을 ‘중국 근처에 떠 있는 고정 항공모함’이라 칭하며, 한 국가 전체—그 국민, 역사, 민주적 제도—를 단순한 군사 자산으로 축소했다.

더욱 우려스러운 것은 다가오는 6월 3일 대통령 선거에 대한 그의 발언이었다. ​내란수괴범으로 탄핵된 윤석열 대통령과 유력한 당선 후보인 ​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있는 상황에서, 브런슨 장군은 한국의 차기 대통령이 현재의 한미 동맹 노선을 반드시 수용해야 한다고 압박했다. 이는 워싱턴의 전략적 의제에서 벗어나는 ​그 어떠한 움직임도 용납하지 않겠다는 ​압박이다.

이것은 외교가 아니라 강압이며, 주권국가의 민주적 과정에 대한 간섭이다.

더불어민주당의 대통령 선거 유력 후보인 이재명은 한국이 미중 대결에 휘말리거나 대만 해협의 대리전이 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을 분명히 밝혔다. 이러한 균형 외교와 평화 공존에 대한 그의 비전은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에 도전하는 것이다.

그러나 ​대한민국의 미래를 결정할 자는 브런슨이 아니다. 국민들이다.

민주주의가 무엇인지를 꾸준히 보여준 것은 바로 한국 국민들이다. 대규모 집회와 평화적 시위를 통해 권위주의 정권을 무너뜨리고 헌법을 수호했으며 공화국을 되살렸다.​ 더불어민주당의 대통령 선거 유력 후보인 이재명은 한국이 미중 대결에 휘말리거나 대만 해협의 대리전이 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을 분명히 밝혔다. 이러한 균형 외교와 평화 공존에 대한 그의 비전은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에 도전하는 것이다.

분명히 하자. 한국은 미국의 미래 전쟁을 위한 전초기지가 아니다. 미중 지정학적 대결에 투입되는 ‘고정 항공모함’이 아니다. 한국은 군사화와 외세 의존이 아닌 평화, 외교, 국민의 존엄을 선택할 권리가 있는 주권 민주국가이다.

미국이 진정으로 민주주의를 존중한다면, 스스로의 원칙에 부합해야 한다. 그것은 한국 정치에 대한 간섭을 중단하고 군사적 압박을 멈추며 한국 국민의 뜻을 존중하는 것에서 시작된다.

한국은 미국의 최전선이 아니다. 한국은 스스로의 조건으로 평화와 자주권을 추구하는 국가이다.

미국인들이 자신들의 독립 투쟁에서 선언했듯이,

“오랜 세월 이어져 온 학대와 권리 침해가 전제정치 아래에 놓이게 하려는 의도를 드러낼 때, 그 국민에게는 그런 정부를 타도할 권리이자 의무가 있다.”

한국도 모든 자유 국가처럼 그 이상을 누릴 자격이 있다.

브런슨 장군, 미국 ​독립운동과 건국 아버지들의 교훈을 기억하라. 한국은 당신의 항공모함이 아니다.​ 대한민국 주권을 존중하라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A Pivotal Moment for U.S. Foreign Policy: Why South Korea’s Democratic Uprising Demands a Rethink
미국 외교정책의 중대한 기로: 왜 한국의 민주항쟁은 외교적 재고를 요구하는가

By Simone Chun


Korea’s 2025 Presidential Election: President Lee Jae-myung and the Democratic Revolution of Light—A Mandate for Sovereignty and Justice
이재명 대통령과 함께 여는 빛의 민주주의, 국민주권 혁명의 시대

“험한 세상에 다리가 되어?”


한국·중국·일본·인도네시아 노동자 석방 위해 조용히 빛난
이재명 대통령의 세계시민적 동북아 연대 정신



“Bridge Over Troubled Waters?”
The Korean government cooperated not only for its own citizens
but also for its Asian neighbors, including China, Japan, and Indones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