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plomacy or Deterrence?
South Korea’s 2025 Election Could Decide the Fate of the Peninsula

한반도의 미래, 전쟁인가 평화인가


South Korea’s 2025 presidential election has begun—and it could be one of the most consequential in recent memory. Following the impeachment of President Yoon Suk-yeol, this election isn’t just about choosing a new leader. It’s about choosing a new direction for the Korean Peninsula, particularly when it comes to the question of North Korea.

The two leading candidates, Lee Jae-myung of the Democratic Party and Kim Moon-soo of the conservative People Power Party, present radically different visions for how South Korea should engage—or not engage—with its northern neighbor.

Lee Jae-myung, who currently leads in the polls, is calling for a diplomatic reset grounded in national sovereignty and peaceful engagement. His proposals include restoring inter-Korean dialogue, resuming family reunions, reducing tensions at the border, and reforming national defense through a civilian-led, transparent process. Notably, Lee opposes the reintroduction of nuclear weapons on the Korean Peninsula and is skeptical of expanding nuclear cooperation with the United States. He supports regaining wartime operational control of South Korean forces from the U.S., a long-standing issue of sovereignty. His approach to foreign policy is marked by pragmatic diplomacy with all regional neighbors, including North Korea, Japan, China, and Russia.

In sharp contrast, Kim Moon-soo offers a hawkish platform that extends and amplifies the hardline policies of the impeached Yoon administration. Kim opposes any dialogue with Pyongyang and instead proposes an aggressive military buildup, including futuristic weapons like a “Sky Dome” missile shield and laser-based defense systems. He also advocates for nuclear sharing with the U.S. and supports the redeployment of American tactical nuclear weapons to South Korea. His foreign policy vision embraces a deepening trilateral alliance with the U.S. and Japan, a move likely to escalate tensions with both North Korea and China.

While both candidates support the U.S.-ROK alliance, their goals diverge sharply. For Kim, alliance means military integration and expanded nuclear deterrence. For Lee, it means equal partnership and strategic autonomy.

This election poses a critical question to South Korean voters:

Should the country double down on deterrence and militarization, or pursue diplomacy and de-escalation?

South Korea stands at a crossroads. Years of high tension, stalled diplomacy, and military provocations have made peace seem distant. Yet the stakes remain extraordinarily high. Another round of brinkmanship could tip the region into crisis. On the other hand, restoring dialogue and trust—however difficult—may offer the only sustainable path toward lasting peace.

Ultimately, the 2025 election is about more than just North Korea policy. It represents a critical choice between a sovereign Korea free from U.S. imperialism and militarized governance, and a nation bound by foreign dominance and authoritarianism. It is a decision between diplomatic pragmatism and ideological rigidity, between a path toward lasting stability or dangerous escalation. The future now lies in the hands of the Korean people.

The decision now rests with the Korean people.

한반도의 미래, 전쟁인가 평화인가?: 2025 대선과 남북관계의 갈림길

2025년 대한민국 대선이 본격적으로 막을 올렸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탄핵 이후 치러지는 이번 선거는 단순한 정권 교체를 넘어, 향후 한반도의 운명을 좌우할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남북관계에 대한 두 주요 후보의 상반된 입장은 국민적 주목을 받고 있다.

현재 여론조사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이에 맞서는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는 ‘북한’이라는 동일한 과제를 두고도 정반대의 해법을 제시하고 있다.

이재명 후보는 대한민국의 주권과 대화를 중심에 둔 평화적 접근을 내세운다. 남북 대화 복원, 이산가족 상봉 재개, 접경지역 군사 긴장 완화, 그리고 민간 주도의 국방 개혁 등, 이 후보의 대북정책은 2018년 평창 이후 무너진 신뢰를 복원하고 한반도 안정을 다시금 구축하자는 구상이다. 무엇보다도 그는 핵무기나 미국과의 전술핵 공유 논의는 한반도 긴장만 키울 뿐이라고 단언한다. 그는 작전통제권 환수를 통해 한국의 군사주권을 되찾고자 하며, 북한뿐만 아니라 일본, 중국, 러시아와의 실용적 외교를 통해 긴장을 줄이고 안정적인 동북아 질서를 구상하고 있다.

반면, 김문수 후보는 윤석열 정부의 강경 노선을 계승하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다. 김 후보는 북한과의 모든 대화를 거부하고, ‘스카이돔’과 레이저 요격 시스템 같은 신무기 개발, 미국과의 전술핵 공유, 전술핵 재배치 등을 주장한다. 그는 힘에 의한 평화, 즉 군사 억제를 통해 북한의 도발을 차단하겠다는 입장이며, 한미일 삼각 군사 동맹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양 후보 모두 한미동맹의 중요성에는 동의하지만, 그 지향점은 전혀 다르다. 이재명 후보는 ‘동맹은 주권을 침해하지 않아야 한다’며 작전통제권 환수를 강조하고, 김 후보는 ‘한미일이 하나의 안보 공동체로 나아가야 한다’며 미국 중심의 군사 협력을 확대하려 한다.

이제 질문은 분명해진다. 대한민국은 어디로 나아가야 하는가?

북한과의 무조건적 단절과 무기 체계 경쟁이 한반도에 진정한 평화를 가져올 수 있을까? 아니면 현실적 외교와 대화를 통해 긴장을 완화하고 군사 충돌의 가능성을 낮추는 것이 더 현명한 길일까?

2025년 대선은 단순한 대북 정책의 향방을 결정하는 선거가 아니다. 이 선거는 미국의 제국주의와 군사 중심 통치로부터 벗어나 자주적인 대한민국을 선택할 것인가, 아니면 외세에 종속된 채 갈등과 억압의 길을 지속할 것인가를 가르는 중대한 분기점이다. 외교적 현실주의와 이념적 경직성, 안정과 평화의 미래와 군사적 긴장의 격화 사이에서 국민은 분명한 선택을 해야 한다. 이제 대한민국의 운명은 국민의 손에 달려 있다.

이 질문에 대한 답은 유권자들에게 달려 있다. 대한민국이 전쟁의 문턱에 설 것인지, 혹은 지속가능한 평화를 향해 한 걸음 나아갈 것인지를 결정짓는 역사적 선택이다.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A Pivotal Moment for U.S. Foreign Policy: Why South Korea’s Democratic Uprising Demands a Rethink
미국 외교정책의 중대한 기로: 왜 한국의 민주항쟁은 외교적 재고를 요구하는가

By Simone Chun


Korea’s 2025 Presidential Election: President Lee Jae-myung and the Democratic Revolution of Light—A Mandate for Sovereignty and Justice
이재명 대통령과 함께 여는 빛의 민주주의, 국민주권 혁명의 시대


"Now Begins the True Republic of Korea"

Lee Jae-myung

이재명

진정한 대한민국 공화국이 이제 시작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