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 2025 Election Is a Turning Point for Peace—and Sovereignty
2025년 한국 대선, 평화와 주권의 분수령이 되다
With South Korea’s embattled president Yoon Suk-yeol recently impeached and removed from office, the country is heading into one of the most consequential elections in its modern history. The stakes of the 2025 presidential race extend far beyond Seoul or Pyongyang—they reach into the heart of the U.S. security architecture in East Asia.
The leading opposition candidate, Lee Jae-myung of the Democratic Party, has emerged as the clear front-runner. A former human rights attorney who rose from poverty and child labor, Lee is positioning himself as a champion of diplomacy, social equity, and national sovereignty. His opponent, Kim Moon-soo of the ruling People Power Party, represents the far-right continuation of Yoon’s hardline, pro-U.S. military stance.
At the center of the campaign is a foundational question: will South Korea reclaim agency over its own future—or remain locked in the U.S.-led framework of military confrontation and nuclear escalation?
Lee’s platform represents a meaningful shift away from permanent militarization and toward a diplomatic, post-Cold War vision for the Korean Peninsula. He supports restarting inter-Korean dialogue, reuniting separated families, and restoring the 2018 inter-Korean military agreement—dismantled under Yoon—which sought to reduce tensions along the Demilitarized Zone. He opposes provocative tactics like border loudspeaker propaganda and is a vocal critic of U.S.-ROK nuclear sharing agreements.
Crucially, Lee has called for the return of wartime operational control (OPCON) from the U.S. military to South Korea’s civilian leadership. It is a demand that many across the region see not as radical but as the bare minimum for a sovereign democracy.
Kim Moon-soo offers a starkly different vision—one grounded in deepened militarism and absolute alignment with Washington. He has pledged to expand missile defense, develop laser-based weapons systems, and pursue nuclear cooperation with the United States, including the possible redeployment of U.S. tactical nuclear weapons to the Korean Peninsula. His platform includes no mention of diplomacy with North Korea. Instead, it embraces a militarized U.S.-ROK-Japan bloc aimed squarely at countering China and Russia—turning Korea into a frontline state in a new Cold War.
Though both candidates express support for the U.S.-ROK alliance, they represent fundamentally opposing trajectories. Lee advocates a rebalanced relationship that allows for independent diplomacy and a multi-directional foreign policy in Northeast Asia. Kim’s campaign, by contrast, offers a continuation of South Korea’s subordination to U.S. strategic goals.
The election arrives at a moment of growing public fatigue with endless militarization and elite impunity. The impeachment of Yoon Suk-yeol was not simply a political crisis—it was a democratic reckoning. Yoon’s administration was widely criticized for suppressing dissent, prosecuting opposition leaders, and pushing South Korea toward an aggressive, U.S.-driven security doctrine with little public input. That approach collapsed under the weight of its own illegitimacy.
Now, South Korean voters have an opportunity to break with a militarized past and reclaim a democratic future grounded in peace and regional cooperation. But powerful interests—from the military-industrial complex to U.S. foreign policy circles—are deeply invested in the status quo.
South Korea’s democratic movements have long modeled people-powered resistance. The 2025 election is the next chapter in that struggle. The world should be paying attention—not just to the headlines, but to the underlying forces shaping the outcome.
The Korean Peninsula doesn’t need more missiles, more bases, or more war games. It needs demilitarization, reunification, and justice. This election might not deliver all of that—but it could open the door.
#KoreaElection2025 #PeaceOnThePeninsula #SovereigntyNow
2025년 한국 대선, 평화와 주권의 분수령이 되다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과 파면 이후, 한국은 근현대사에서 가장 중대한 선거를 앞두고 있다. 2025년 대선의 판세는 서울이나 평양을 넘어서, 동아시아 미군 안보 체계의 중심부까지 영향을 미친다.
야당의 유력 대선후보 이재명(더불어민주당)은 여론조사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다. 어린 시절 가난과 아동 노동을 겪고 인권 변호사로 성장한 그는 외교, 사회적 정의, 그리고 민족 주권을 핵심 의제로 내세우고 있다. 그의 상대인 김문수(국민의힘)는 윤석열의 극우 노선을 그대로 계승하는 군사 중심 정책을 내세우고 있다.
이번 대선의 본질은 단순한 남북 관계의 문제가 아니다. 그것은 한국이 자주적인 미래를 향해 나아갈 수 있을지, 아니면 미국 주도의 군사 대결 구도에 계속 종속될지를 가르는 시험대다.
이재명의 공약은 상시적 군사화로부터의 의미 있는 전환을 제시한다. 그는 남북 대화를 재개하고, 이산가족 상봉을 복원하며, 2018년 체결된 군사합의를 복원하겠다고 약속했다. 확성기 심리전과 같은 도발적 군사 행위에 반대하며, 한반도에 미국의 핵무기를 배치하는 것에도 반대 입장을 명확히 하고 있다. 특히, 그는 전시작전통제권(OPCON)을 미국으로부터 되찾아와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는 많은 이들이 단지 ‘급진적 요구’가 아닌, 주권 국가로서의 최소한의 권리라고 보고 있다.
반면 김문수는 극단적인 군사주의와 미국 추종 노선을 강화하려 한다. 그는 미사일 방어체계 강화, 레이저 기반 무기 개발, 미국과의 핵 협력 확대를 추진하고 있으며, 전술핵 재배치에도 찬성하고 있다. 그는 북한과의 대화 자체를 부정하며, 중국과 러시아를 견제하기 위한 한미일 군사 동맹 구축에 집중하고 있다. 김문수의 구상은 평화가 아닌, 한반도를 신냉전 전선의 최전방으로 만드는 것이다.
양 후보 모두 한미동맹을 지지한다고 밝히고 있지만, 그 방향은 극명하게 다르다. 이재명은 다자외교와 자주적 국방을 통해 균형 잡힌 동맹 관계를 추구한다. 반면 김문수는 미국 전략에 종속된 안보 중심 모델을 고수한다.
이번 대선은 끝없는 군사화와 권위주의적 통치에 대한 대중의 피로가 누적된 시점에서 치러진다. 윤석열 정권의 탄핵은 단순한 정치적 사건이 아니라, 민주주의를 되찾기 위한 국민적 심판이었다. 윤 정권은 반대파 탄압, 정치보복 수사, 일방적 군사정책으로 인해 대중적 정당성을 상실했다.
이제 한국 유권자들은 군사주의의 유산과 결별하고, 외교와 평화에 기반한 미래를 선택할 기회를 맞이하고 있다. 하지만 이를 가로막는 기득권 세력—군산복합체, 미국의 외교전략, 국내 극우 언론—은 여전히 강고하다.
4‧19 혁명, 광주, 촛불항쟁 등 한국의 민주주의 운동은 오랜 저항의 역사를 간직하고 있다. 2025년 대선은 그 연장선상에 있는 새로운 분기점이다. 한국 유권자들만의 싸움이 아니다. 세계는 이 싸움에 주목해야 하며, 연대의 목소리를 내야 한다.
한반도에 필요한 것은 더 많은 미사일, 더 많은 기지, 더 많은 전쟁 훈련이 아니다. 비핵화, 평화체제, 민족 자주가 필요하다. 이번 대선이 그 모든 것을 실현할 수는 없겠지만, 그 문을 여는 시작이 될 수 있다.
#2025한국대선 #한반도평화 #주권회복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