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ost Practical Solution to US-China Rivalry Lies with the Korean Peninsula

Simone Chun


Only 2% of Americans name North Korea as the greatest threat to the United States.

Tellingly, the same percentage identify the United States itself as the biggest threat to U.S. national security. The irony is not lost. For decades, Washington has used the specter of a North Korean threat to justify a bloated military presence in East Asia and push South Korea to the frontlines of a dangerous new Cold War against China. This strategy is not only outdated—it’s dangerously counterproductive.

A new Korea policy is urgently needed, one based not on confrontation but on cooperation and normalization.

Two key realities must be acknowledged at the outset:

First, North Korea does not pose a real threat to the United States. Its posture, as the Pentagon itself recognizes, is defensive. General Paul LaCamera, commander of U.S. Forces Korea, admitted in congressional testimony that Kim Jong Un’s priorities are “regime survivability” and “preparing to defend his nation.” Washington policymakers know this—and yet the myth of an aggressive North Korea persists because it serves a broader purpose: sustaining U.S. military primacy in Asia, with China as the real target.

Second, Washington’s misuse of the North Korean threat masks an unwillingness to craft a forward-looking strategy for regional peace and integration. This reluctance is especially dangerous now, as the U.S. seeks to manage China’s rise. Unlike the Cold War with the Soviet Union, China is not collapsing—it is ascending. And unlike East Germany, North Korea is not withering away—it is a nuclear-armed state with a defined agenda of economic development and deterrence.

So, where does that leave us?

The U.S. must shift toward a Korea-centered strategy.

If the United States wants to avoid a catastrophic confrontation with China and usher in a new era of stability in Northeast Asia, the most practical and viable path lies through the Korean Peninsula. Specifically, the U.S. must shift toward a Korea-centered strategy that prioritizes:

Normalization of relations with the DPRK,

Support for inter-Korean rapprochement,

Gradual economic integration on the peninsula, and

Constructive engagement with China.

This may sound ambitious, but history offers guidance. During the Cold War, the U.S. supported inter-German détente, which laid the foundation for German reunification and eventually, the peaceful end of the Cold War. Today, a similar opportunity exists on the Korean Peninsula. By abandoning militarized containment and instead supporting inter-Korean diplomacy, the U.S. could empower a unified Korea to act as a stabilizing "middle power" in Asia—buffering U.S.-China tensions, much as West Germany once did for East-West Europe.

Admittedly, current conditions differ sharply. Inter-Korean relations are at their lowest point in decades. South Korea, under its far-right leadership, functions more like a U.S. client state than a sovereign actor. North Korea, meanwhile, remains under harsh sanctions and diplomatic isolation. But this is precisely why a bold shift in U.S. policy is needed.

Far from irrational, North Korea has shown restraint. It has not tested nuclear weapons since 2017. Under Kim Jong Un, the regime has repeatedly emphasized its commitment to domestic economic development and regional modernization. As one analysis notes:

“If geopolitical conditions evolve to the point where some initial meaningful economic engagement becomes possible for the U.S. and South Korea, Kim’s domestic agenda offers important benchmarks for collaboration and support that should be a starting point for helping him achieve success on improvements in the lives of the North Korean people.”

Indeed, the potential benefits of such a shift are staggering. Estimates suggest that by 2050, a fully integrated Korean economy could reach $4 to $6.4 trillion—comparable to Japan, Germany, or the UK—with North Korea accounting for roughly a quarter of that total. The Korean Peninsula could become the world’s next epicenter of change, contributing to massive regional growth and transforming Northeast Asia into a zone of shared prosperity rather than military confrontation.

A Korea-centered policy offers a win-win path

To unlock this future, Washington must abandon its outdated obsession with great-power rivalry. It must stop using South Korea as a pawn and start treating the Korean Peninsula as the strategic center of regional peacebuilding. This means:

Ending provocative U.S.-South Korea military exercises,

Lifting counterproductive sanctions that block diplomatic openings,

Recognizing North Korea as a de facto nuclear state with legitimate security concerns,

And placing inter-Korean unity and U.S.-DPRK normalization at the core of U.S. foreign policy.

The U.S. can still pursue its strategic interests in the region—economic access, alliances, and regional stability—but through a framework that supports coexistence, not endless confrontation. A Korea-centered policy offers a win-win path: de-escalation with China, economic transformation in the North, and a more independent, stable Korean Peninsula.

In short, Washington must look beyond the myth of the “North Korean threat” and embrace a broader vision—one where the Korean Peninsula is not the frontline of a new Cold War, but the foundation of a new peace.

‘북한 위협’이라는 신화 너머, 한반도가 해법이다

미국인 가운데 이제 단 2%만이 북한을 미국에 대한 최대 위협으로 인식한다고 한다.

흥미롭게도, 같은 비율의 미국인들은 ‘미국 자신’을 최대 위협으로 지목했다. 이는 미국이 수십 년간 북한을 명분 삼아 동아시아 전역에 막대한 군사력을 주둔시키고, 한국을 그 전초기지로 삼아온 전략의 허구성을 드러낸다.

오늘날 한국은 미중 신냉전의 중심 전장이 되어가고 있다. 북한을 핑계 삼은 군사력 증강은 대중 압박의 수단으로 기능하며, 남북 간 화해와 평화 프로세스는 사실상 실종 상태다. 그러나 이러한 전략은 시대착오적이며, 오히려 동북아 전체의 불안정성을 키우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북한 위협론’의 허상

실제 미국 국방부와 주한미군 사령부조차 북한의 군사 태세가 기본적으로 ‘방어적’이며, 김정은 위원장의 최우선 과제가 체제 생존과 국가 방어라는 점을 인정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북한 위협’을 과장해 자국의 인도·태평양 전략을 정당화하고, 중국 견제 수단으로 삼아왔다.

그러나 이제는 전혀 다른 전략이 필요하다. 미중 대립 구도 속에서 미국이 동북아시아에서 안정적인 위치를 확보하려면, ‘대북 봉쇄’가 아닌, 한반도 중심의 외교 재정립이 시급하다.

평화와 협력의 한반도 전략

해법은 명확하다. 한반도를 군사적 대결의 공간이 아니라, 외교와 협력의 거점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미국은 다음과 같은 전략적 조치를 검토해야 한다.

북한과의 외교 관계 정상화

남북 화해와 경제 협력에 대한 적극적 지지

한반도의 점진적 경제 통합 유도

중국과의 상호 존중 기반 협력 구조 마련

이러한 접근은 현실과도 부합한다. 독일 통일 사례가 이를 뒷받침한다. 미국은 냉전 시기 동서독 간 데탕트를 지지했고, 이는 장기적으로 독일 통일과 유럽의 안정, 냉전 종식에 이바지했다. 한국 역시 이런 외교적 ‘교량 국가’로 성장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닌다.

더 나아가 북한의 변화 가능성도 존재한다. 김정은 위원장은 2017년 이후 핵실험을 중단했으며, 국내 개발과 지역 현대화를 지속적으로 강조해왔다. 적절한 경제 협력 여건이 조성된다면, 북한은 점진적인 개방으로 나아갈 수 있다. 한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의 개발 의제는 주민 삶의 실질적 개선과 국제사회 참여의 계기가 될 수 있다고 평가된다.

통일 한국의 잠재력과 미국의 선택

2050년까지 남북이 점진적으로 통합될 경우, 한국 경제는 4조~6.4조 달러 규모로 성장할 수 있으며, 이 중 최대 25%는 북한 지역에서 발생할 수 있다. 한반도는 ‘지정학적 화약고’가 아니라, 동북아의 평화와 공동 번영을 위한 전략적 축으로 재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미국은 다음과 같은 전환적 결단을 내려야 한다.

한미 연합 군사훈련의 중단

유엔 및 미국의 대북 제재 완화

북한의 핵보유 현실을 인정한 상호 안전보장 협상

북미 수교 외교 목표로 설정

이는 미국의 이익과도 부합한다. 동북아의 군사적 긴장을 완화하면서, 중국과의 파국을 피하고, 한국을 자율적이고 안정적인 동맹국으로 발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제 미국은 ‘북한 위협’이라는 낡은 프레임에서 벗어나야 한다. 한반도를 미중 패권경쟁의 전장이 아닌, 새로운 외교와 평화의 출발점으로 바라봐야 할 때다.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A Pivotal Moment for U.S. Foreign Policy: Why South Korea’s Democratic Uprising Demands a Rethink
미국 외교정책의 중대한 기로: 왜 한국의 민주항쟁은 외교적 재고를 요구하는가

By Simone Chun


Korea’s 2025 Presidential Election: President Lee Jae-myung and the Democratic Revolution of Light—A Mandate for Sovereignty and Justice
이재명 대통령과 함께 여는 빛의 민주주의, 국민주권 혁명의 시대


"Now Begins the True Republic of Korea"

Lee Jae-myung

이재명

진정한 대한민국 공화국이 이제 시작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