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거대한 촛불 시민 운동은 트럼프의 아킬레스건이다
이재명 대통령에게 보내는 메시지: 국민을 믿으시라. 혼자 싸우지 마시라. 국민의 힘을 의지하시라.
Korea’s Massive Candlelight Protest Is Trump’s Achilles’ Heel
이번 협상의 진정한 승자는 누구인가? 다름 아닌 한국 국민의 거대한 촛불 저항이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무모한 통상 압박은 일시적으로 멈춰섰다. 그 배경에는 소위 '합의'라고 불리는 협상이 있었으며, 그 실체는 곧 드러날 것이다. 미국은 거대한 시장 규모를 무기 삼아 사상 최악의 불평등한 조건을 한국에 강요했고, 결국 천문학적인 양보를 이끌어냈다.
이는 결코 승리도 아니며, 제대로 된 협상조차 아니다. 명백한 '경제적 강탈'이다.
합의에 따르면, 미국은 한국산 수출품에 15%의 관세를 부과하고, 그 대가로 한국은 미국에 3,500억 달러를 투자하고 1,000억 달러 규모의 에너지를 수입하기로 했다. 총액 4,500억 달러—이는 현재 한국의 외환보유액 4,097억 달러를 초과하는 금액이며, 한국이 사실상 모든 달러 기반 자산을 미국에 넘긴 것이나 다름없다.
국민 1인당 약 974만 원, 즉 약 1만 달러가 미국에 상납되는 셈이다. 참고로 정부의 12조 원 규모의 긴급재난지원금도 내수에 뚜렷한 효과를 냈다. 4,500억 달러라는 약속은 도를 넘은 것을 넘어선다. 이것은 경제적으로도 불합리하고, 정치적으로도 무책임하다.
일각에서는 유럽연합과 일본도 비슷한 조건으로 협상했기에 한국이 특별히 불리하지 않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는 전혀 다른 조건과 규모를 무시한 '사과와 오렌지를 비교하는' 궤변에 불과하다.
EU는 인구 4억 5천만 명, GDP 19조 6천억 달러의 경제권으로, GDP 대비 투자 규모는 8.5%에 불과하다. 일본은 4조 달러 규모의 경제에 대해 13.75%를 약속했다. 반면 한국은 GDP 1조 8천억 달러 규모의 경제임에도 25%에 달하는 비율을 약속했다. 가장 불균형하고 가혹한 조건이다. 1인당 부담은 말할 것도 없이 한국이 압도적으로 높다.
뿐만 아니라, EU의 대미 수출 품목 중 자동차나 운송장비 비중은 13.2%에 불과하며, 반도체 수출도 사실상 존재하지 않는다. 일본은 자동차 비중이 30% 수준이나 반도체는 적다. 그러나 한국은 수출 품목이 자동차와 반도체에 집중돼 있고, 이 두 산업은 매우 취약하다. 한국은 명백히 '절박한' 입장에서 협상에 임할 수밖에 없었다.
결국 한국 정부와 대기업들은 자동차와 반도체 산업을 지키기 위해 사상 최대 규모의 대미 투자를 수용했다. 하지만 그 대가는 한국 내 산업과 경제의 기반을 갉아먹는 결과로 이어질 것이다.
여기서 묻지 않을 수 없다. 대기업에 유리한 것이 과연 국가 전체에도 유리한가? 결코 그렇지 않다. 삼성과 현대 등 한국 주요 대기업의 외국인 지분은 40~50%에 달한다. 주주의 이익이 곧 국민의 이익이 될 수는 없다.
핵심적 시사점은 세 가지다.
첫째, 이번 합의는 한국 산업 정책의 실질적 주도권을 미국에 넘기는 결과를 초래했다. 미국은 이제 한국 자본과 산업 방향, 에너지 수급 구조에 대해 막대한 영향력을 갖게 되었다. 단순한 통상 협정이 아니라, 산업 주권의 구조적 상실이다.
둘째, 이는 경제주권의 위기로 직결된다. 탈산업화는 가속화될 것이며, 국내 혁신은 위축되고, 국가 재정은 심각한 제약을 받을 것이다.
셋째, 한국은 자국 산업을 보호하고 육성할 재정 여력이 급격히 줄어든다. 미국에 대한 수출 의존도는 9.8%에 불과한데도, 한국은 가장 큰 양보를 했다. 왜인가? 결국 대기업 중심 수출 구조 때문이다. 한국의 대미 수출 중 자동차와 반도체가 42%를 차지하며, 자동차 수출의 절반이 미국으로 향한다. 미국 관세 혜택이 '필요'한 정도를 넘어 '생존'의 문제로 직결된다.
그렇다면 한국이 이번 협상에서 얻은 것은 무엇인가? 시간이다. 다시 설계하고, 준비하고, 자주적 경제 주권을 위한 현실적인 길을 모색할 수 있는 짧은 시간이다. 미국이라는 쇠퇴하는 패권국의 분노를 일시적으로 달래고, 한국은 다음 전투를 준비해야 한다.이재명 대통령이 리더쉽을 발휘할 역사적인 기회다. 고도의 전략이 필요하다. 전 국민 단결해서 반드시 이겨야 한다. 이번 트럼프와 협상은 단지 워밍엎이었다.
그리고 이미 그 움직임은 시작되었다.
최근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의 전국 여론조사에 따르면, 전체 국민의 55.6%가 이번 불공정한 협상의 책임이 트럼프 행정부에 있다고 응답했다. 대한민국 국민들은 이재명 대통령을 신뢰한다. 대한민국 국민은 트럼프를 믿지 않는다. 과도하고 비상식적인 요구가 핵심 이유였다. 또한 퓨리서치센터(Pew Research)의 조사에 따르면, 2024년 77%였던 한국인의 미국 호감도는 최근 61%로 급락했다.
무조건적인 미국 추종의 시대는 끝났다.
그런 점에서, 이번 협상에서 가장 전략적인 움직임은 바로 촛불의 힘, 즉 국민의 힘을 트럼프에게 보여준 것이었다.
한국 협상단은 2008년 미국산 쇠고기 수입에 반대하며 전국을 뒤덮었던 촛불 시위 사진을 꺼내 들었다. 농림부의 한 젊은 실무자가 모은 이 사진에는 수백만 명이 거리로 쏟아져 나와 미국산 쇠고기 수입 철회와 정권 퇴진을 외친 장면이 담겨 있었다.
이 사진은 미국 상무장관 지나 레이몬도와 무역대표부(USTR) 관계자들에게 산책 도중 조용히 전달되었다. 정치적 위험을 암묵적으로 경고한 이 '침묵의 설득'은 실제로 효과를 거두었다. 미국 측은 더 이상 쇠고기 추가 양보를 요구하지 않았다.
최종 결론은 명확하다.
국민의 대중적 저항은 자기파괴적이고 제국주의적인 경제 강탈을 멈추게 할 수 있다. 그것은 한국뿐 아니라 미국 노동자와 민중에게도 해악을 끼친다.
민중이 일어설 때, 제국은 무너진다. 민중이 일어설 때, 주권은 되살아난다.
이재명 대통령에게 보내는 메시지: 국민을 믿으시라. 혼자 싸우지 마시라. 국민의 힘을 의지하시라.
우리 국민들은 무엇을 해야 하나? 이재명-트럼프 정상회담이 2주내 개최된다고 한다. 전 국민들의 거대한 봉기로 경제 주권의 힘, 군사주권의 힘을 보여야 한다.
Korea’s Massive Candlelight Protest Is Trump’s Achilles’ Heel
The winner is…? The Korean people’s massive candlelight protest.
Trump’s reckless trade extortion against Korea was temporarily halted yesterday with the so-called “deal”—which I’ll unpack shortly. By exploiting the size of the U.S. market, Trump managed to force through the most unequal trade terms imaginable, extracting staggering concessions from Seoul.
Let’s be clear: this was not a win.
It wasn’t even a deal. It was extortion.
Under the agreement, the U.S. will apply a 15% tariff rate on Korean exports. In return, South Korea has pledged to invest $350 billion in the United States and purchase $100 billion worth of American energy. That’s a total of $450 billion—more than Korea’s entire foreign exchange reserves, which currently stand at $409.7 billion. In effect, the U.S. demanded—and Korea agreed to surrender—all of its dollar-based assets.
To put this in perspective, this ₩487 trillion transfer equates to ₩9.74 million, or roughly $10,000, taken from each of South Korea’s 50 million citizens. For comparison, the government’s ₩12 trillion household stimulus program had a substantial impact on domestic demand. To call this $450 billion commitment excessive is an understatement. It is economically irrational and politically reckless.
Some try to downplay it by pointing out that Korea fared no worse than the EU or Japan, which pledged $770 billion and $550 billion in U.S. investments, respectively, along with similar energy purchases for the same 15% tariff rate. But this is like comparing apples to oranges.
The European Union, with 450 million people and a GDP of $19.6 trillion, pledged an amount equal to just 8.5% of its GDP. Japan, with a GDP of $4 trillion, is offering 13.75%. South Korea’s economy, at $1.8 trillion, is pledging 25% of its GDP—by far the most disproportionate and burdensome commitment. On a per capita basis, Korea’s load is exponentially heavier.
There’s more. The EU’s exports to the U.S. are less vulnerable: only 13.2% involve cars or transport equipment, and Europe lacks major semiconductor exports. Japan’s automobile exports make up around 30%, but again, semiconductors play a minor role. Korea, in contrast, is dangerously dependent on a narrow set of high-risk items. It entered the talks from a place of desperation, not strength.
In a bid to safeguard its automobile and semiconductor sectors, the Korean government and its corporate giants agreed to invest in the U.S. at unprecedented levels. But this decision will extract a heavy toll on Korea’s domestic economy.
Is what’s good for Korea’s conglomerates necessarily good for Korea? Not at all. Foreign capital owns more than 40–50% of major Korean firms like Samsung and Hyundai. What’s good for shareholders is not necessarily good for the Korean public.
Key Takeaways
First, this agreement effectively subordinates Korea’s industrial policy to American control. It hands Washington enormous influence over Korean capital, industrial direction, and energy sourcing. This isn’t just a trade agreement—it’s a structural surrender of autonomy. What South Korea has signed is not balanced. It is economic capitulation.
Second, it represents a full-blown crisis of economic sovereignty. It will accelerate de-industrialization, weaken domestic innovation, and impose deep fiscal constraints on national development.
Third, Korea’s capacity to support and develop its own industries will be severely undermined. Here lies the central irony: Korea’s export dependency on the U.S. stands at just 9.8%, and yet Seoul gave the biggest concessions. Why? To protect Korea’s largest multinational corporations. The answer lies in the composition of Korea’s exports: cars and semiconductors—its most vulnerable sectors—account for 42% of exports to the U.S. Nearly half of Korea’s car exports are U.S.-bound, making favorable tariffs not just desirable, but essential to survival.
So what did Korea gain? Time.
Time to regroup. Time to plan. Time to chart a real and independent path toward economic sovereignty.
This deal bought a fragile window. The U.S.—a declining hegemon—had to be appeased. But Koreans must now prepare for the real fight: the long struggle to reclaim their autonomy.
And, in fact, that reckoning has already begun.
A recent nationwide poll by the Korea Society Opinion Institute found that 55.6% of South Koreans blame the Trump administration for the unfair tariff talks, citing excessive and unreasonable demands. Meanwhile, a Pew Research Center survey released earlier this month shows that only 61% of South Koreans now view the U.S. favorably, down sharply from 77% in 2024.
The era of unquestioned submission to the U.S. is over.
On that note, the most strategic move by the Korean negotiation team was this: they revealed Trump’s Achilles’ heel—the power of the Korean people. And it worked.
According to negotiators, it was a collection of photos from the 2008 candlelight protests against U.S. beef imports that convinced the Trump team not to press for further concessions. A junior official at the Ministry of Agriculture had compiled the images—millions of Koreans in the streets, demanding an end to unsafe U.S. beef imports and calling for their government’s resignation.
These photos were shown to U.S. Commerce Secretary Gina Raimondo and officials from the U.S. Trade Representative’s office during a walk—a subtle but powerful appeal to political risk. They were reminded of the explosive potential of Korean civil resistance.
The final takeaway is this:
Mass protest can stop self-destructive, unilateral, and imperialistic economic extortion—extortion that hurts workers and ordinary people in bo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When the people rise, the empire falls. When the people rise, national sovereignty thrives.
The lesson for President Lee Jae Myung? Trust the Korean people. Don’t fight alone. Rely on the power of the people.
What must the Korean people do now?
It is said that the Lee Jae myung–Trump summit will take place within two weeks.
Through a massive nationwide uprising, we must show the power of our economic sovereignty and military sovereignty.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