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미 한국인 이재명 대통령 연대 미국 주요 도시 8.15 광복절 기념 주권, 자주, 독립 투쟁 대장정 선포: 필라델피아, 뉴욕, 워싱턴 디시, 시애틀, 샌프란시스코, 로스엔젤레스
Ending the U.S.-Led War Games as the Truest Celebration of Liberation
미국 주도의 대규모 군사훈련 중단이야말로 진정한 해방의 기념
오늘, 한민족이 일본 제국주의로부터의 해방 80주년을 기념하는 이 날, 나는 이미 세상을 떠난 어머니의 목소리를 떠올린다. “연합군에 항복한다는 천황의 목소리를 들었을 때의 충격과 기쁨을 기억한다.” 어머니는 자주 1945년 8월 15일 이야기를 꺼내셨다. 히로히토 천황이 일본의 무조건 항복을 선언하던 날, 조선인들은 처음으로 자신들이 ‘신’이라 믿도록 강요당했던 인물의 육성을 들었다. 35년간 조선을 식민 지배한 그 제국의 수장이었다.
1910년 8월 22일, 뉴욕타임스는 섬뜩한 제목을 내걸었다. “한국, 이번 주로 한 나라로서의 존재를 마감한다.” 일본의 조선 합방을 보도하며, 기사는 이를 질서 있고 무저항적인 주권 이양으로 포장했다. “한국 황제가 일본에 절대적인 통치권을 부여하는 조약에 합의. 소요 사태 예상 안 함. 국가는 철저히 치안 유지. 한국인들은 지금 벌어질 일을 전혀 알지 못함.” 이 문장 뒤에는 미국이 증폭시킨 제국주의적인 서사가 포함되어 있다. 조선의 주권은 조선인의 동의 없이, 강압에 의해, 열강 정치라는 허위 명분 아래 짓밟혔다. “국가가 철저히 경찰의 치안 유지 상태하에 있다” 라는 표현은 조선인이 무저항으로 굴복했다는 인상을 주며, 수많은 독립운동과 희생의 역사를 지워버렸다.
그 비극의 메아리는 지금도 계속된다.
80주년 광복절이 지닌 의식과 행사, 상징적 의미를 나는 이해한다. 그러나 진정한 해방은 현재의 현실에 대한 정직한 직시에서 비롯된다. 이는 한반도를 영구적인 군사 점령 상태에 가두고 있는 구조와 관행을 해체하는 과제다. 일본과 미국의 주둔을 합치면, 한국은 무려 115년 동안 외국 군대가 상주한 나라다. 이는 근대 국가 역사상 최장기 외국군 주둔 사례다.
그런 의미에서, 오늘 이 시각 진정한 해방의 기념은 미국 주도의 한반도 대규모 합동군사훈련을 끝내는 일이다. 축제만으로 즐기는 날이 되어선 안된다.
(1)2025년 8월 18일 예정된 ‘을지 프리덤 실드(UFS)’ 훈련은 공식적으로는 한미 방어 훈련이라 홍보되지만, 실상은 재래식 전쟁과 핵전쟁까지 포함하는 전 영역 실전연습이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최근 국제 분쟁에서 얻은 교훈을 반영해, 훈련은 단순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넘어 육·해·공·사이버·우주 작전을 통합하고 있다.
(2)한국은 점점 미국 주도의 다국적 군사력의 전략적 거점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영토는 훈련장이자 보급기지가 되었고, “동맹 현대화”와 “전략적 유연성”이라는 수사는 미군의 대중국 전력 재배치를 포장하는 말이 됐다.
(3)한 국제안보 전문가의 직설적인 표현을 빌리면, “한미군사 동맹 현대화는 중국과의 전쟁 준비를 뜻하고, 미군의 전략적 유연성은 ‘한국 군대는 앞에서 싸우고, 우리는 베이징을 폭격하겠다’는 전쟁의 분업을 의미한다.”
(4)게다가 바이든–윤석열 정부의 군사적 격화로, 이제 이 훈련에는 핵전쟁 시나리오까지 포함되었다. 이는 오판과 보복 가능성을 한층 높인다.
(5)미국에게 이 훈련은 한국 방어보다 전 세계 기동성과 대비태세 강화가 목적이다. 반면 한국에게는 막대한 재정 부담과 대미 군사 의존 심화, 그리고 전쟁 시 최우선 타격 대상이 될 위험이 따른다.
(6)이처럼 다국적화된 훈련은 한반도 긴장을 고조시키고, 대응–맞대응의 악순환을 만들어 전쟁에 한 걸음 더 다가서게 한다.
115년간 이어진 외국군 주둔, 그중 80년의 미군 점령이라는 현실에서, 대규모 합동군사훈련의 중단이야말로 해방절에 가장 의미 있는 기념이 될 것이다. 다시 1910년 뉴욕타임스의 그 제목을 떠올려 보자. “한국, 이번 주로 한 나라로서의 존재를 마감한다.” 35년간의 참혹한 일본 식민통치는 마치 한국인이 제국주의 앞에 순순히 무릎 꿇은 것처럼 보도됐다. 그리고 지금, 80년 넘게 한국을 점령한 미국은 관세 ‘폭탄’과 방위비 분담금 증액을 요구하며 또 다른 압박을 가하고 있다.
오는 8월 25일 개최될 이재명-트럼프 정상회담후 뉴욕 타임지는 “한국, 이번 주로 한 나라로서의 존재를 마감한다”라고 보도할 것인가 염려된다.
올해 광복절에 우리가 던져야 할 질문은 분명하다. 진정한 해방이란 무엇인가? 그것이 외국군 점령의 지속을 의미하는가, 아니면 미국 주도의 전쟁연습을 끝내고 전시작전권과 군사 주권을 회복하는 것을 의미하는가? 답은 명확하다. 전시작전권과 군사 주권 없이, 외국군에 의해 철저히 통제되는 국가는 해방된 나라가 아니다.
그리고 다시, 어머니의 목소리를 떠올린다. 언젠가 나는 어머니께 이렇게 말하고 싶다. “이제 모든 외국군이 한국을 떠났습니다. 우리는 마침내, 진정으로 자유로워졌습니다. 조상들이, 어머님께서 그렇게 염원했던 진정한 해방을 드디어 이루었습니다.”
Ending the U.S.-Led War Games as the Truest Celebration of Liberation
On this day, as Koreans celebrate the 80th anniversary of liberation from Japan’s imperialism, I hear the voice of my late mother: “I still remember the shock of hearing the voice of the emperor who announced Japan’s surrender to the Allied forces.” She often told me about August 15, 1945, when Emperor Shōwa (Hirohito) announced Japan’s unconditional surrender—the first time Koreans heard the voice of the man they had been indoctrinated to believe was a god, the same man whose empire had colonized Korea for 35 years.
On August 22, 1910, The New York Times carried a chilling headline: “Korea As a Nation to End This Week.” Reporting on Japan’s impending annexation of Korea, the article framed the transfer of sovereignty as an orderly, uncontested process: “Its Emperor Agrees to a Convention Giving Absolute Control to Japan. No Disturbance Expected. Country Thoroughly Policed. Koreans at Present Know Nothing of What Is About to Happen.”
Behind these words was an imperial narrative—amplified by the United States—designed to obscure the truth: Korea’s sovereignty was crushed by force, without the consent of its people, under the false pretense of great-power politics. The New York Times depiction that the “country [was] thoroughly policed” implied Koreans had surrendered without resistance, erasing the reality of countless acts of defiance and the sacrifices of independence fighters.
I understand the symbolic significance of the ceremonies and pageantry that Liberation Day warrants. But true liberation demands an honest reckoning with the present reality—one that requires dismantling the structures and practices keeping the peninsula in a perpetual state of military occupation. When you combine Japanese and American military presence, Korea has endured 115 years of foreign troops stationed on its soil—the longest continuous foreign military presence in any modern nation.
In that sense, the truest celebration of liberation would be to end the U.S.-led large-scale joint military exercises on an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1)The August 2025 Ulchi Freedom Shield (UFS) drills, officially branded as defensive exercises between the U.S., South Korea, and Japan, in reality function as full-spectrum rehearsals for conventional and nuclear war. Drawing lessons from recent global conflicts, including the Russia–Ukraine war, they are no longer limited to computer simulations but integrate land, sea, air, cyber, and even space operations.
(2)Increasingly, South Korea is positioned as a strategic hub for U.S.-led multinational forces, with its territory serving as both a training ground and a logistical base. Under carefully crafted jargon like “alliance modernization” and “strategic flexibility,” the role of U.S. Forces Korea (USFK) is shifting toward countering China—along with other costly demands from Washington to maintain the alliance.
(3) A prominent geopolitical security expert has put it bluntly: “Alliance modernization is code for war preparation against China. Strategic flexibility means an effective division of labor for war: you and him fight, we’ll bomb Beijing.”
(4) Furthermore, thanks to the Biden–Yoon administration’s escalation, these war games now include simulated nuclear scenarios—heightening the risk of miscalculation and retaliation. For the United States, they are less about defending Korea than about bolstering global mobility and readiness. For South Korea, they bring heavy financial burdens, deepen dependency on U.S. military strategy, and amplify the risk of becoming a prime target in any conflict.
(5) These increasingly multinational drills fuel tensions and create reaction–counterreaction cycles that edge the peninsula closer to real war. Suspending large-scale joint war games would be the most meaningful way to celebrate liberation in the context of 115 years of continuous foreign troop presence and 80 years of U.S. military occupation.
Back to The New York Times headline from 1910: “Korea As a Nation to End This Week.” The 35 years of brutal Japanese colonization was announced in the U.S. press as if Koreans had simply surrendered to imperial might. Now, the same nation—the United States—which has occupied Korea for more than 80 years, threatens the country with tariff “bombs” and demands for increased defense cost sharing.
I fear that after the Lee Jae-myung–Trump summit to be held on August 25, The New York Times might run a headline reading, “Korea, as a nation, to end this week.”
The question Koreans should ask on this Liberation Day is: What does true liberation mean? Does it mean the continuation of foreign military occupation, or does it mean ending U.S.-led war games and reclaiming operational control (OPCON) and military sovereignty?
To me, the choice is clear. A nation thoroughly policed by American troops, without OPCON and military sovereignty, is not a liberated nation.
And back to my mother’s voice—I would like, someday, to tell her that all foreign troops have left Korea. That we are, at last, truly free. We have at last achieved the true liberation that our ancestors, and my mother, so deeply longed for.
From Nodutdol
National Liberation Day: 80 Years of Occupation, 80 Years of Resistance – Join us for our national day of action as we mobilize on the 80th Anniversary of National Liberation Day to demand the end of US-ROK war games and US out of Korea! We’ll be holding actions on August 15 & 16 in NYC, Oakland, LA, Seattle, Philadelphia, and DC. More details can be found here.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