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본 이재명 대통령: 8.25 트럼프와의 정상회담에서 승리하다. "북한과 러시아 지도자들이 중국의 승전 기념일 행사에 참석"하는 상황에서, 글로벌 외교관이자 뛰어난 기술과 재능, 카리스마를 보여주며 빠르게 부상한 이 대통령은 중국에 가야만 한다.


President Lee Jae Myung: The Winner of the August 25 Summit with Trump

이재명 대통령, 8.25 트럼프와의 정상회담에서 승리하다
이번 정상회담의 가장 큰 교훈은 명확하다. 이재명 대통령이 승자로 부상했다는 것이다. 미국과 한국의 극우 연합은 이 대통령을 좌초시키려 했고, 트럼프는 정상회담 전부터 긴장감을 고조시켜 회담에서의 화해 효과를 극대화하려 했으나, 그들의 노력은 결국 실패했다. 워싱턴은 이재명 대통령을 꺾지 못했다.

도널드 트럼프가 불과 몇 시간 전 "서울에서 숙청이나 혁명"에 대해 추측하며 소셜 미디어 공격을 퍼부었음에도 불구하고, 계엄령과 반란 위기라는 격변기를 거쳐 새로 당선된 이재명 대통령이 폭풍우를 이겨냈다는 데는 의심의 여지가 거의 없다. 이는 그의 오랜 생존 역사에 새로운 장을 추가한다. 그는 전임자 윤석열의 박해, 검찰의 수백 차례 압수수색, 심지어 암살 시도까지 견뎌낸 인물이다. 바이든과 트럼프 행정부 관계자들은 물론, 한미 극우 연합의 끈질긴 노력에도 불구하고 한국 국민은 이 대통령을 선택했다.

워싱턴이 진정으로 두려워하는 것은 수백만 명의 시민을 거리로 불러내 독재 지도자들을 반복적으로 몰아낸 촛불 혁명, 즉 '빛의 혁명'으로 대표되는 한국 국민의 대규모 동원 능력이다. 이 두려움은 추상적이지 않다. 관세 협상 중, 한국 협상팀은 수백만 시민이 시위하는 사진을 보여주었고, 이 제스처는 트럼프 팀에게 강한 인상을 남겼다고 전해진다. 워싱턴은 한국 국민의 반미 감정을 용납할 수 없는데, 한미 관계가 너무나 중요하기 때문이다.

미국 언론은 8월 25일 정상회담을 생생하게 묘사했다. 분석가들은 회담의 전개 과정을 "손해를 수습하는 외교"로 적절히 규정했으며, 한 논평은 "대한민국이 백악관에서 매우 좋은 날들을 보냈다"고 요약했다. 수십 년간 한국을 취재해 온 미국 언론인 팀 쇼록은 "나는 한국 대통령이 궁극의 실용주의자라는 평판에 부합했음을 비로소 깨달았다"며, "더불어 그는 조국이 어렵게 쟁취한 민주주의를 찬양하고 한국의 주권을 수호함으로써 트럼프의 위협적인 게시물과 발언에서 김을 빼는 데 성공했다"고 논평했다.

여론조사 결과 한국인의 60.7%가 이번 정상회담이 성공적인 결과를 낳았다고 믿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인들은 성과로 경제 협력, 양국 정상 간의 개인적 신뢰, 북미 대화 및 한반도 평화 이니셔티브, 그리고 한미일 동맹을 꼽았다.

두 번째 교훈: 이 대통령, 북한 카드를 유리하게 활용하다

이제 평양은 전략 국가이자 잠재적 핵보유국으로 인정받고 있다. 트럼프의 "다극 질서" 속에서 북한은 강대국 간 안보 협상의 결정적 요소로 부상했으며, 그 국제적 위상은 많은 이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높고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다.

예리하고 실용적인 이 대통령은 이를 알고 이를 자신에게 유리하게 활용했다. 워싱턴이 핵 문제를 정치적 쇼로 활용하는 동안, 이 대통령은 트럼프의 북한에 대한 관심을 이용했다.

정상회담 중 이재명 대통령은 남북 관계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이 평화 조성자(peacemaker) 역할을 해준다면, 나는 촉진자(pacemaker)로서 최선을 다해 도울 것"이라며 트럼프에게 김정은 위원장과의 회담을 추진할 것을 제안했다.

이에 트럼프는 "기억하겠지만, 나는 김정은과 매우 좋은 관계를 가졌었고, 지금도 그렇다"고 말했다. 그는 계속해서 "나는 올해 그를 만나고 싶다. 우리는 북한과 큰 진전을 이룰 수 있다—물론이다. 우리는 핵무기가 확산되도록 내버려둘 수 없다. 그 위력이 너무나 크기 때문이다"라고 덧붙였다. 흥미롭게도 트럼프는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는 비핵화'라는 수십 년간의 요구와는 달리, 북한의 비핵화를 단 한 번도 언급하지 않았다.

중국과 관련하여 트럼프와 이 대통령 모두 강경한 수사를 피했다. 이 대통령의 매력 공세는 트럼프가 중국에 대한 매파적이거나 반중적인 발언을 삼가는 데에도 영향을 미쳤다. 한미 양국의 우파 비판론자들에게 이 대통령은 "외교에 친중이나 반중은 없다"고 말하며 중국과의 훌륭하고 건설적인 관계를 유지하겠다는 자신의 의지를 옹호했다. "더 긴밀한 관계가 우리의 국익에 부합한다면, 우리는 그것을 추구한다. 그렇지 않다면, 거리를 둔다"고 그는 말했다.

다음 단계는 무엇일까? 트럼프는 중국에 대해 농담 삼아 "어쩌면 우리 같이 갈 수도 있겠다. 비행기를 같이 타고, 에너지를 절약하고, 오존층을 보호하자"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같이 갈 수 있기를 바란다"고 따뜻하게 화답했다. 트럼프는 "당신이 가고 싶다면 특별 허가를 내주겠다... 우리는 중국과 좋은 관계를 가질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북한과 러시아 지도자들이 중국의 승전 기념일 행사에 참석"하는 상황에서, 글로벌 외교관이자 뛰어난 기술과 재능, 카리스마를 보여주며 빠르게 부상한 이 대통령은 중국에 가야만 한다. 그는 트럼프의 제안을 받아들여야 한다.

Photo Credit: President Lee Jae Myung's gift to Trump, a golden model of Admiral Yi Sun-sin's turtle ship: A symbol of a hero who vanquished the Japanese invaders 이재명 대통령이 트럼프에게 선물한 이순신 장군 금 거북선: 왜군을 무찌른 영웅의 상징

Takeaway 1. President Lee Jae Myung: The Winner of the August 25 Summit with Trump

The biggest takeaway from the summit is clear: President Lee Jae-myung emerged as the victor. Washington and its far-right coalition in the U.S. and Korea had sought to derail him, and while Trump ratcheted up pre-summit tension to maximize the impact of reconciliation, their efforts ultimately failed. Washington was unable to defeat Lee Jae Myung.

Despite Donald Trump's social media broadside just hours earlier—speculating about a “purge or revolution” in Seoul—there is little doubt that President Lee weathered the storm. The newly elected South Korean president took office after a tumultuous period of martial law and an insurrection crisis, adding another chapter to his long history of survival. He is a man who has endured persecution from his predecessor Yoon, hundreds of raids from prosecutors, and even an assassination attempt. Despite vigorous efforts from officials in both the Biden and Trump administrations, as well as the U.S.–Korea far-right coalition, Koreans elected Lee.

What Washington truly fears is the Korean people’s capacity for mass mobilization, epitomized by the Candlelight Revolution—the Revolution of Light—that has repeatedly ousted autocratic leaders by bringing millions into the streets. This fear is not abstract. During tariff negotiations, the Korean negotiating team reportedly showed a photo of millions of citizens protesting, a gesture that left a strong impression on Trump's team. Washington cannot afford to have anti-American sentiment among Koreans, as the relationship is simply too important.

American media described the August 25 summit vividly. Analysts aptly characterized the sequence as “damage-control diplomacy,” and one op-ed summed it up as “South Korea’s very good days in the Oval Office.” Tim Shorrock, an American journalist who has covered Korea for decades, commented, "I began to appreciate that the Korean president had lived up to his reputation as the ultimate pragmatist. Plus, he had managed to take the air out of Trump’s threatening posts and comments by celebrating his country’s hard-won democracy and defending South Korea’s sovereignty."

A poll found that 60.7% of Koreans believe the summit produced successful results, with accomplishments identified as economic cooperation, a personal trust between the two leaders, U.S.–North Korea dialogue and peace initiatives o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U.S.–Japan–Korea alliance.

Takeaway 2: President Lee Used the North Korea Card to His Advantage

Pyongyang is now acknowledged as a strategic state and a potential nuclear power. Under Trump’s “multipolar” order, it has emerged as a decisive factor in great-power security bargaining, with an international stature higher than many assume. The astute and pragmatic President Lee knows this and used it to his advantage. While Washington uses the nuclear issue as political theater, President Lee exploited Trump’s interest in North Korea.During the summit, President Lee Jae-myung said of inter-Korean relations: “If President Trump plays the role of peacemaker, I will do my best to support as a pacemaker,” proposing that Trump pursue a meeting with Chairman Kim Jong-un.In response, Trump remarked, “I had a very good relationship with Kim Jong-un, as you remember, and still do.” He continued, “I’d like to meet him this year. We can make big progress with North Korea—absolutely. We can’t let nuclear weapons proliferate. The power is too great.” Interestingly, Trump never mentioned North Korea's denuclearization, not once, marking a shift from decades of demands for “complete, verifiable, irreversible denuclearization.”

With regard to China, both Trump and Lee avoided harsh rhetoric. Lee’s charm offensive also influenced Trump to refrain from making hawkish and anti-China remarks. In response to his right-wing critics in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Lee also defended his commitment to maintaining excellent and constructive relations with China. “There’s no such thing as pro-China or anti-China in diplomacy,” he said. “If closer ties serve our national interest, we pursue them. If not, we keep our distance.”

The Next Step: President Lee Should Attend China's Victory Day Celebration

Given that leaders from North Korea and Russia are set to attend China's victory day celebrations, President Lee should seize this historic opportunity. As a newly recognized global diplomat and statesman, he can proactively pursue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by going to China.

This move would also be an excellent way to act on President Trump's playful offer. During their recent summit, Trump joked, “Maybe we’ll go together. Share a plane, save energy, save the ozone layer.” Lee warmly responded, “I hope we can go together.” Trump then added, “If you want to go, I’ll get special permission… we’re going to have a great relationship with China.” By accepting this invitation, President Lee can leverage his newfound international stature to advance his diplomatic goals and build on his successful summit with Trump.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A Pivotal Moment for U.S. Foreign Policy: Why South Korea’s Democratic Uprising Demands a Rethink
미국 외교정책의 중대한 기로: 왜 한국의 민주항쟁은 외교적 재고를 요구하는가

By Simone Chun


Korea’s 2025 Presidential Election: President Lee Jae-myung and the Democratic Revolution of Light—A Mandate for Sovereignty and Justice
이재명 대통령과 함께 여는 빛의 민주주의, 국민주권 혁명의 시대


"Now Begins the True Republic of Korea"

Lee Jae-myung

이재명

진정한 대한민국 공화국이 이제 시작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