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동포들의 시각에서 보는 이재명-트럼프 대통령 정상회담

"우리가 쫄 이유 없다"

"We have no reason to be intimidated”


트럼프를 이해하는 핵심은 단 하나이다. 그는 오직 남의 나라 주권을 강탈하여 미국의 주권을 수호하는 일에만 관심이 있다. 따라서 트럼프와 관련된 모든 사안은 이슈와 협상 자체보다 궁극적으로 ‘주권’이라는 렌즈를 통해 이해해야 한다. 그렇지 않고서는 트럼프와의 게임에서 결코 승리할 수 없다.

즉, 오는 8월 25일 이재명 대통령이 백악관에서 트럼프를 만날 때 마주하게 될 대상은 단순히 한 개인으로서의 트럼프가 아니다. 그 자리에서 대통령이 직면하는 것은 곧 대한민국의 주권 문제 그 자체이다. 주권은 협상의 대상이 될 수 없는 절대적 한계선이다.

오늘 한국 언론에는 케임브리지 대학의 저명한 진보 경제학자 장하준 교수와의 흥미로운 인터뷰가 실렸다. 요약하자면, 바로 이 한 문장으로 정리할 수 있다. “미국은 마지막 발악을 하고 있다—우리가 위축될 이유는 없다.”라는 제목의 이 대담은, 다가올 정상회담에서 이재명 대통령이 어떤 태도로 임해야 할지를 탐구한다.

장 교수는 몇 가지 중요한 논점을 제시한다.

첫째, 한국에 주둔한 미군의 존재 자체가 한국의 공정한 협상을 가로막는 최대 걸림돌이라는 것이다. 다시 말해, 한국의 군사 주권은 이미 크게 제약을 받고 있으며, 이는 경제 주권을 지키는 데도 심각한 장애가 된다.

둘째,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술, 금융, 과세, 농업, 그리고 더 넓은 의미에서의 경제 정책 결정권 등에서 주권을 지켜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장 교수의 표현을 빌리면, 단기적으로 돈을 더 내는 것이 장기적으로 주권을 잃는 것보다 훨씬 낫다. 일단 주권을 잃으면 그것을 되찾기는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셋째, 한국은 강대국, 나아가 트럼프와 같은 ‘불량 국가 지도자’가 자신의 입맛에 맞게 조건을 강요하려 할 때, 위축되지 않고 원칙과 자신감을 가지고 인내해야 한다.

넷째, 그 이유는 분명하다. 모든 신뢰할 만한 자료가 보여주듯, 세계는 지금 다극 체제로 향하고 있으며 미국의 패권은 필연적으로 약화될 운명에 있다. 그것은 내일 태양이 떠오르는 것만큼 확실한 일이다.

다섯째, 따라서 이재명 대통령이 가장 먼저 지켜야 할 것은 단기적 이해관계가 아니라, 국민에 대한 신뢰와 함께 주권이라는 근본적 권리이다.

(이와 함께 장 교수는 트럼프의 관세 위협에 대한 진보적 경제 분석도 제시하는데, 일독을 권한다.)

장 교수는 이렇게 말한다.

“우리의 가장 큰 약점은 주한미군이 주둔하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협상 과정에서 양보를 해야 한다면, 차라리 돈으로 해결하는 것이 낫습니다. 수백억 달러를 아끼려다 주권을 내주게 되면 훗날 땅을 치고 후회하게 될 것입니다. 주권에는 기술 주권, 금융 규제권, 인터넷 플랫폼 과세권, 농업 주권 등이 포함됩니다. 좁은 의미의 주권을 넘어 경제 정책을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는 경제적 주권도 포함됩니다. 차라리 돈을 더 내는 것이 낫습니다. 한 번 내어준 주권은 장기적으로 더 많은 것을 잃게 만들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주권을 한 번 잃으면 되찾는 일은 거의 불가능하다. 한국인들은 이를 뼈아프게 경험했다. 우리는 이미 미국에 군사 주권을 내주었고, 지금도 그것을 되찾기 위해 애쓰고 있다.

압박 속에서도 주권국가의 원칙과 비전을 수호해야 한다는 교훈은 지난주 광복 80주년 기념 기사에서 발견할 수 있다. 1909년 하얼빈역에서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한 독립투사 안중근 의사의 마지막 유묵(遺墨)이 재발견된 것이다.

안중근 의사는 1910년 2월, 사형을 앞두고 남긴 이 유묵에 “장탄대국(長歎大哭)하여 일본의 멸망에 조위를 표한다”, “독립”과 같은 글귀를 남겼다. 최후의 순간에 쓴 그의 글씨는 완전한 자기 절제와 강철 같은 의지, 깊은 신념을 드러낸다. 나는 이 점에서 큰 매혹을 느낀다. 그는 이러한 비전으로 35년 뒤 일본 제국주의의 몰락을 예견하며, ‘독립’이라는 원칙 위에 굳건히 섰다.

안 의사는 뤼순 감옥과 법정을 관리하던 일본 관동도독부 고위 관리에게 유묵을 맡겼고, 그 관리의 후손이 대대로 이를 간직해왔다. 불과 25년 전에서야 다시 세상에 드러났으며, 현재 경기도의 주도로 이를 한국에 반환하기 위한 준비가 진행 중이다.

반환이 이루어지면, 유묵은 안 의사의 친필과 수장(手掌)이 함께 새겨진 최초의 공개 전시물이 될 것이다. 경기도는 또한 그의 고향이자 현재 북한 영토인 황해도 해주와 인접한 DMZ에 ‘안중근 평화센터’를 설립하겠다고 밝혔다. 그곳은 동아시아 평화를 위해 봉사하는 공간이 될 것이며, 안 의사의 외침—“동양 평화를 만세 삼창하자”—를 이어가는 뜻을 담게 될 것이다.

사형대 앞에서 쓰인 그의 마지막 글들은 우리에게 중요한 메시지를 전한다. 가장 암울한 순간에도, 국민의 힘을 믿고 독립을 상상하며, 주권을 지켜내야 한다는 신념을 끝까지 지닌 개인은 후대에 영감을 주고 역사를 움직일 수 있다는 사실이다.

오는 8월 25일, 이재명 대통령은 그 어떤 신임 대통령도 맞닥뜨리지 못한 거대한 압력과 전례 없는 도전에 직면할 것이다. 그것은 단순히 트럼프 개인이나 미국과의 문제가 아니다. 그것은 바로 대한민국의 주권 문제다. 대통령은 눈앞의 편의나 단기적 경제·정치적 이해, 여론조사 수치에 흔들려서는 안 된다. 오직 확고한 힘을 모으고, 무엇보다 자신을 선택한 국민—“촛불혁명”의 진정한 주인공—을 신뢰해야 한다.

대통령이 해야 할 일은 분명하다. 주권은 결코 타협할 수 없는 절대적 한계이다. 우리 자신에게도 질문해야 한다. 80년간 이어진 불평등한 "한미동맹" 아래, 우리는 정치, 경제, 군사뿐만 아니라 심리적·사고 면에서도 하위 국가로서의 존재를 받아들여왔으며, 과연 주권을 온전히 소유하고 행사하는 현실을 상상할 수 있는가? 이재명 대통령에게 기대하는 만큼 우리 자신에게도 엄격한 주권 의식을 요구해야 한다.

"우리가 쫄 이유 없다"

The bottom line about Trump is this: he cares only about preserving America’s sovereignty. Therefore, every matter involving him must ultimately be understood through the lens of sovereignty. On August 25, when President Lee meets with Trump at the White House, he will not simply be confronting Trump the man—he will be confronting the very question of Korea’s sovereignty.

Sovereignty is nonnegotiable—a red line. That is how I would summarize a fascinating interview with Dr. Chang Ha-joon, a prominent Korean economist at Cambridge University, published today in the Korean media. Titled “America is in the last desperate struggle — we have no reason to be intimidated,” the interview explores how President Lee Jae-myung should approach the upcoming summit.

Prof. Chang makes the following key points:

(1)The presence of U.S. troops in Korea is the biggest obstacle to Korea’s ability to negotiate fairly. In other words, Korea’s military sovereignty is already compromised, making it difficult to maintain economic sovereignty.

(2)Nevertheless, it is critical to safeguard sovereignty in technology, finance, taxation, agriculture, and broader economic policymaking. In his words, paying more money is preferable to giving up sovereignty in the long run. Once sovereignty is lost, it is extremely difficult to regain.

(3)Korea must withstand pressure from a powerful—even rogue—state determined to dictate terms, such as Trump. Do not be intimidated; remain patient, confident, and principled.

(4)Why? Because all credible data indicate that the world is moving toward a multilateral system in which the U.S. will lose its hegemony. That outcome is as certain as tomorrow’s rising sun.

(5)Therefore, President Lee’s priority must be to safeguard the fundamental rights of sovereignty with confidence and faith in his people.

I fully agree. Professor Chang’s own words:

“Our biggest weakness is that U.S. forces are stationed in Korea. In my view, if we have to make concessions during the negotiations, it’s better to settle the issue with money. If we try to save a few tens of billions of dollars but end up giving up sovereignty, we’ll regret it deeply later. Sovereignty isn’t just about territory—it includes technological sovereignty, the right to regulate finance, the right to tax internet platforms, agricultural sovereignty, and so on. In a broader sense, it’s also about economic sovereignty—the ability to freely shape our own economic policies. It’s far better to pay more money than to surrender those rights, because once such sovereignty is given away, in the long run we stand to lose even more.”

Indeed, once sovereignty is lost, it is almost impossible to regain. Koreans know this firsthand: we gave up military sovereignty to the U.S., and we are still struggling to reclaim it. (Alongside this argument, Chang also provides an excellent progressive economic analysis of Trump’s tariff threats, which I highly recommend.)

This lesson about standing firm under pressure calls to mind Ahn Jung-geun, the Korean independence fighter who assassinated Ito Hirobumi at Harbin Station in 1909. Last week, as Koreans marked the 80th anniversary of liberation, I came across news that beautifully captures the intersection of death, memory, and hope: the rediscovery of Ahn’s final writings, preserved for decades by a Japanese family.

These works, known as Yumok—literally “brush writings before death”—contain phrases such as: “To let out a long, loud sigh and offer advance condolences for Japan’s downfall,” and “Independence.” Written in February 1910, just before his execution, they convey both defiance and vision. His last calligraphy, created in those final moments, reflects complete self-control, unwavering strength, and deep faith—qualities that I find personally fascinating. With this vision, Ahn foresaw the fall of Japanese colonial rule thirty-five years in advance, standing resolutely on the principle of independence.

For decades, these writings remained hidden. Ahn had entrusted them to a senior official of the Japanese Kwantung Government-General, who oversaw Lüshun Prison and the court. The official’s descendants preserved them privately for generations. Only twenty-five years ago were they rediscovered in Japan, and now preparations are underway for their repatriation to Korea through the efforts of Gyeonggi Province.

Once returned, the writings—bearing not only Ahn’s calligraphy but also his palm print—will be displayed publicly for the first time. Gyeonggi Province has also announced plans to establish an Ahn Jung-geun Peace Center in the DMZ, near his birthplace of Haeju in Hwanghae Province, now part of North Korea. The center will be dedicated to advancing peace in East Asia, echoing Ahn’s call: “Let us sing, ‘Long live peace in East Asia,’ three times.”

The story of Ahn’s final works—written under the shadow of execution—reminds us that even in the darkest of times, a person with unshakable imagination and faith in the people’s capacity to envision an independent nation, and in the necessity of defending sovereignty, can endure and inspire.

On August 25, President Lee will face enormous pressure and unprecedented challenges, unlike any other newly elected Korean president before him. I’m not talking about Trump or the United States per se. I’m talking about Korea’s sovereignty. To safeguard it, President Lee must not yield to expediency, short-term economic or political interests, or poll numbers. Instead, he must summon unwavering strength and, above all, place his faith in the people who elected him—the true protagonists of the “Revolution of Lights.”

President Lee should do what he must: sovereignty cannot be compromised—it is the absolute limit.

We, too, must ask ourselves: under 80 years of U.S. military occupation, have we accepted a subordinate existence politically, economically, militarily, and even psychologically, impairing our ability to imagine a world in which we fully exercise our sovereignty? Are we ready to reclaim, assert, and safeguard it?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A Pivotal Moment for U.S. Foreign Policy: Why South Korea’s Democratic Uprising Demands a Rethink
미국 외교정책의 중대한 기로: 왜 한국의 민주항쟁은 외교적 재고를 요구하는가

By Simone Chun


Korea’s 2025 Presidential Election: President Lee Jae-myung and the Democratic Revolution of Light—A Mandate for Sovereignty and Justice
이재명 대통령과 함께 여는 빛의 민주주의, 국민주권 혁명의 시대


"Now Begins the True Republic of Korea"

Lee Jae-myung

이재명

진정한 대한민국 공화국이 이제 시작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