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의 관세 전쟁: 한국을 향한 IMF 2.0.
트럼프의 관세 협박과 경제적 갈취는 한국 경제를 근본적으로 전환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다
Trump’s Tariff War: IMF 2.0 for South Korea
With the backing of more than 60% of the Korean people, President Lee’s duty is not to surrender—but to fight for sovereignty!
“1992년에 해고됐고, 이후 4년간 노동운동에 참여했습니다.
1996년에 복직했지만, 다음 해 삼미제철이 포항제철에 인수되면서 다시 해고당했습니다.".
— 금속노동자, 울산, 2002년 12월
박사 논문 연구를 위해 한국에서 노동자들을 인터뷰했던 기억이 생생하다:
그 해고된 노동자와 눈물을 함께 흘리면서 인터뷰을 했다.
그래도 살아서 끝까지 투쟁해야 한다고 다짐하고 격려했었다.
아이러니칼 하게도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최근 해고된 남편에게, 내가 그때 한국의 해고된 금속 노동자에게 한 말을 요즈음 하고 있다.
"해고는 살인이다!
한국 해고 노동자들의 투쟁 구호를 한번 외쳐 본다.
국내외를 막론하고 해고와 긴축의 공포는 전 세계 노동자들의 일상에 그림자처럼 드리우고 있다.
이것이 세계화된 자본주의 하에서 살아가는 대다수 노동자의 현실이다.
트럼프의 지속적인 관세 위협은 글로벌 경제를 다시금 성찰하게 만들었다.
추상적 차원이 아니라, 실제 사람들의 삶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를 생각하게 만든 것이다.
해고의 위협은 단지 잠재적 가능성이 아니라, 이미 현재진행형인 일상이다.
예를 들어, 지금의 통상 환경을 보자.
한국은 무려 4,800억 달러(약 630조 원) 규모의 수입 및 투자, 그리고 '15% 대 무관세'라는 불균형한 무역 조건을 받아들이는 상황에 내몰렸다.
굴복, 무저항, 침묵.
이것이 지금 트럼프의 관세 전쟁을 둘러싼 분위기다.
"국민주권 정부"를 자임했던 이재명 정부의 선언은 어디로 갔는가?
국민주권은 슬로건이 아니다. 구체적인 실천이다.
오늘도 트럼프의 무지와 오만이 뒤섞인 무역전쟁 수사전은 계속되었다.
이번 표적은 한국의 자동차 시장이다.
“우리는 한국에 훨씬 더 많은 미국차를 팔 수 있게 될 것이다.” — 트럼프, 최근 발언
미국차는 이미 한국에서 팔리고 있다. 바로 한미 FTA 덕분이다.
개정된 협정에 따라, 한국은 미국의 자동차 안전 기준을 자국 기준과 동등하게 인정하기로 했다.
이는 오랫동안 워싱턴이 요구해 온 사안으로, 한국의 환경·안전 기준을 “비관세 장벽” 으로 몰아붙이던 미국의 전략과 맞닿아 있다.
그 결과, 미국산 차량은 사실상 아무 제약 없이 한국 시장에 진입할 수 있게 되었다.
트럼프가 관세 위협을 본격화하기도 전에, 현대·기아차는 이미 미국 현지 생산 능력을 연 연간 150만 대 규모로 확대하고 있었다.
미국 현지에 인프라를 구축하고, 부품업체를 끌어들이며, 자리를 잡는 방식으로 본격적인 현지화 전략에 나선 것이다.
자본의 관점에서 보자면, 이는 트럼프의 관세를 회피하기 위한 전략적 판단이다.
그러나 진짜 대가는 한국의 자동차 산업과 그 노동자들이 치르게 된다.
그렇다면 그 대가는 무엇인가?
한국에게 이는 'IMF 2.0'이 될 수 있다.
1997~98년 외환위기의 재연이다.
공장 폐쇄, 대량 해고, 국내 산업 생태계의 붕괴, 그리고 생산의 해외 이전이 그것이다.
트럼프의 관세, 그리고 이재명 정부가 수용한 모든 양보의 부담은 고스란히 한국 노동자와 시민, 그리고 국가가 떠안게 된다.
그렇다면 노동은 무엇을 하고 있는가?
현대·기아차 노동조합은 국내 생산기지의 공동화를 막기 위해 단체협약과 노정 협의를 통해 집단적 대응에 나서고 있다.
이들은 한 발 더 나아가, 국내 공장을 차세대 차량의 연구개발 및 생산 거점으로 전환하자는 전환적 전략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금속노조 내부에서는 한미 양국 노조가 공동으로 주도하는 ‘국경을 넘는 노동자 협약’, 즉 글로벌 공급망 내 최소임금과 안전 기준을 공유하는 공동 선언에 대한 진지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물론, 이는 쉽지 않은 과제다.
그러나 현장 노동자의 지식과 연대, 실천 속에 진짜 희망의 가능성이 숨어 있다.
결론은 분명하다:
한국은 현재의 한미관계에서 벗어날 수 있는 명확한 출구 전략이 필요하다.
지금의 관계는 여전히 비대칭적이며, 사실상 '클라이언트-스테이트' 구조에 가깝다.
이 근본 구조를 재구성하지 않고서는, “무역 다변화”나 “다극 체제 수용” 같은 말들은 그저 겉치레에 불과하다.
기존의 동맹 프레임에 갇혀 있는 한, 진정한 다변화는 한계에 부딪칠 수밖에 없다.
우리는 단지 트럼프식 보호무역주의가 더 나빠 보인다는 이유로, 실패한 신자유주의 세계화의 길로 되돌아가서는 안 된다.
잊지 말아야 할 것은, 트럼프라는 존재 자체가 신자유주의 세계화의 산물이라는 사실이다.
그 체제는 전 세계 노동자를 희생시켰고, 민주주의의 회복 탄력성을 파괴했다.
이제는 신자유주의도, 트럼프의 일그러진 보호무역주의도 아닌, 전혀 다른 세계 질서를 만들어 나가야 할 때다.
사실 트럼프의 관세 협박과 경제적 갈취는 한국 경제를 근본적으로 전환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다.
지금까지의 불평등하고 제국적인 종속 구조에서 벗어나 자립과 주권의 길로 나아갈 수 있는 전환점인 것이다.
이 역사적 순간을 이재명 대통령이 반드시 포착해야 한다. 국민에게 자주적 비전을 분명히 제시하고, 트럼프를 당당하게 주권을 행사해야 한다.
이재명 대통령의 임기는 5년이고 트럼프 임기는 4년 남짓하다
이재명 대통령은 60% 넘는 국민 지지율을 받고 있고 트럼프는 30% 정도의 국민 지지율에 허덕이고 있다.
60% 넘는 국민 지지율 받는 이재명 대통령의 임무는 투항이 아닌 투쟁이다.
진정한 리더십의 증거다.
80 years since Liberation:
Complete eradication of insurrectionist forces
and resistance against U.S. economic and security exploitation.
A peaceful Korean Peninsula—built by the hands of workers and the people.
—KCTU (Korean Confederation of Trade Unions)
“In 1992, I was laid off and got involved in the labor movement for the next four years. In 1996, I returned to work, but the very next year, Sam-mee Steel was bought out by Pohang Iron and Steel, and I was laid off again.”
— Korean metalworker, Ulsan, South Korea, December 2002
I still vividly remember interviewing workers in Korea while conducting research for my doctoral dissertation research.
During one interview, I wept alongside a laid-off worker. Yet even in that moment of shared sorrow, we encouraged each other to endure—and to keep fighting until the end.
And yet, I encouraged him—and myself—to survive and keep fighting to the end.
Ironically, these days I find myself saying the same words to my husband, who was recently laid off from Microsoft, that I once said to a laid-off Korean metalworker.
"Layoffs are murder!"
Let me shout once more the rallying cry of Korea's laid-off workers.
But whether in Korea or abroad, the fear of layoffs and austerity casts a long shadow over workers’ everyday lives.
This is the reality for most workers living under globalized capitalism.
Trump’s ongoing tariff threats have forced a reckoning with the global economy.
Not in abstract terms, but in asking: how does this affect real people’s lives?
The threat of layoffs is not just a potential risk—it is already an ongoing, everyday reality.
Take for instance.
South Korea has been pushed into a situation where it has accepted an imbalanced trade deal—imports and investments worth approximately $480 billion, along with a “15% versus zero-tariff” arrangement.
Submission, no resistance, and the sound of silence—that’s the atmosphere surrounding Trump’s tariff war.
That’s the impression I get these days.
Am I mistaken?
What happened to the Lee Jae Myung administration’s bold slogan: “a government of popular sovereignty”?
Popular sovereignty is not a slogan—it is a concrete practice.
Meanwhile, at home and abroad, the constant threat of layoffs and austerity defines daily life for most workers under globalized capitalism.
Trump’s ongoing tariff threats have forced me to reflect again on the global economy—not in abstract terms, but in how it actually affects people’s lives.
Indeed, a perpetual threat of layoff is the condition of workers at home and abroad.
And here we are, yet another round of Trump’s trade war rhetoric—full of misinformation, oversimplification, distortion, and plain ignorance.
This time, the target is South Korea’s auto market.
“We’ll be able to sell a lot more American cars in [South Korea],” Trump recently boasted.
What he fails to mention is that a lot of American cars are already being sold in Korea, thanks to the KORUS FTA.
Under the revised tariff agreement, South Korea reportedly agreed to recognize U.S. auto safety standards as equivalent to Korean ones—a long-standing demand from Washington, which had branded Korea’s environmental and safety rules as “non-tariff barriers.”
As a result, U.S.-made cars can now enter the Korean market virtually without restrictions.
Even before Trump escalated his tariff threats, Hyundai and Kia had already begun expanding their U.S. production capacity to 1.5 million vehicles annually—bringing in suppliers, building infrastructure, embedding themselves in the U.S. industrial base.
From the standpoint of capital, this is a strategic move—an attempt to sidestep Trump’s tariffs.
But the real cost will be paid by Korea’s domestic auto industry—and its workers.
So what does that look like?
For South Korea, it risks becoming IMF 2.0—a repeat of the 1997–98 crisis: factory shutdowns, mass layoffs, and the unraveling of the domestic industrial infrastructure system as production shifts overseas.
The burden of Trump’s tariffs—and any concessions made by the Lee Jae-myung administration—will fall squarely on Korean workers, the Korean public, and the Korean state.
So, what is the Korean labor movement doing?
(1)The Hyundai and Kia labor union is pushing back—resisting the erosion of domestic production through collective bargaining and tripartite labor-management-government negotiations.
(2)They’ve proposed turning domestic plants into hubs for research, development, and production of next-generation vehicles.
(3)Meanwhile, within the Korean Metal Workers’ Union, there are serious discussions about launching a cross-border labor protocol—shared commitments on safety standards and minimum wages across the global supply chain, jointly led by Korean and U.S. unions.
These are difficult, complex challenges—but they show us where hope lies: in the knowledge, solidarity, and action of workers on the ground.
The bottom line is this:
(1)South Korea needs a clear exit strategy from its current U.S.–ROK relationship—a deeply asymmetric, client-state dynamic.
(2)Without fundamentally restructuring that relationship, any talk of “diversifying trade” or “embracing a multipolar world” is just window dressing.
(3)As long as Korea remains trapped in the old alliance framework, diversification will always hit a wall.
(4)We cannot return to the failed path of neoliberal globalization, simply because Trump’s version of protectionism seems worse.
After all, it was neoliberal globalization that gave rise to Trump in the first place—sacrificing workers across the globe and hollowing out democratic resilience.
That road offers no real alternative but mass layoffs, austerity and humiliation.
It’s time to build a different kind of global order—one that moves beyond both neoliberalism and Trump’s bastardized protectionism.
In fact, I believe Trump’s tariff threats and extortion present the best opportunity to fundamentally transform Korea’s economy—from a system rooted in unequal, imperial relationships to one founded on self-determination and sovereignty.
President Lee must seize this historic moment, clearly articulate a vision of independence to the Korean people, and firmly confront Trump.
That is the true mark of leadership. President Lee Jae Myung enjoys over 65% public support, while Trump struggles with approval ratings around 30%.
With the backing of more than 60% of the Korean people, President Lee’s duty is not to surrender—but fight for sovereignty!
Photo Credit, Maui, Hawaii, 2019, D. Jaeger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