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이 지명한 주한미군 사령관 브런슨, 트럼프와 이재명을 동시에 훈계하다?

Joe Biden’s USFK Nominee Brunson Lectures Both Trump and Lee?


미국 정치가 나의 주요 연구 분야는 아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랫동안 미국 정치와 역사에 흥미를 갖고 공부하고 가르쳐 왔다. 특히 가장 흥미롭다고 느끼는 시기는 미국이 영국으로부터 독립을 쟁취해가는 시기이다. 독립과 해방의 서사는 어떤 역사적 서사에서도 가장 극적인 핵심을 이루기 마련이다.

한국도 마찬가지다. 매년 8월 15일은 일제 강점기 35년으로부터의 해방을 기념하는 국가적 명절이며, 올해 역시 이를 기념하기 위한 대규모 행사가 준비되고 있다. 그러나 이 해방의 기념은 동시에 하나의 불편한 진실과 마주하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 해방 이후 대한민국 정부는 일본군 대신 미군의 영향력 아래 놓였고, 이는 실질적으로 군사 식민지 통치의 연장선이었다. 총독부는 떠났지만, 그 자리를 차지한 것은 또 다른 외세의 군사력이었다.

최근 벌어진 한 사례를 보자.

2024년, 새로 부임한 주한미군 사령관 브런슨(Xavier Brunson) 장군이 지난 금요일, 취임 후 처음으로 공식 기자회견을 열었다. 외국 군 사령관이 한 국가의 안보 문제를 중심으로 대규모 기자회견을 개최한다는 것은 결코 사소한 일이 아니다. 왜 하필 지금인가? 브런슨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아닌 조 바이든 대통령에 의해 지명된 인물이다. 그럼에도 그는 인도-태평양 전략, 한미 관계, 북한, 중국 문제에 대해 트럼프나 이재명 대통령보다 더 자주, 더 강도 높게 목소리를 내고 있다. 실질적으로 그는 한미 연합작전이나 다자간 군사훈련에 있어서 한국 대통령보다 더 높은 위치에서 결정권을 행사한다. 한국 대통령 위에 군사적으로 군림하는 미군 사령관의 존재는 대한민국이 전시작전통제권(OPCON)을 갖지 못한 세계 유일의 국가라는 사실을 적나라하게 드러낸다. 브런슨의 지위는 매우 특수하다. 그는 미국 대통령에게 직속으로 보고하는 동시에, 유사시 한국군 전체를 지휘할 수 있는 권한을 갖는다. 전쟁이나 위기 상황에서 한국 대통령은 주한미군 사령관의 작전 통제 하에 놓이게 된다. 이런 구조에서 한국은 사실상 군사적 자율권이 박탈된 ‘미국의 군사 식민지’에 다름 아니다.

특히 주목할 점은, 브런슨 장군이 기자회견을 연 시점이 남북한이 동시에 확성기를 철거한 바로 그 주간이라는 사실이다. 이는 분단 이후 가장 작은 단위의 군사적 긴장 완화 조치이지만, 그 의미는 결코 작지 않다. 남북 모두가 상호 긴장 완화의 의지를 보였기 때문이다.

필자는 지난 주 블로그에서 다음과 같이 지적한 바 있다.

“한국 군 당국은 북한이 대남 확성기를 철거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는 한국이 먼저 선제적으로 확성기를 철수한 것에 대한 반응이며, 분명히 양측 모두가 긴장 완화를 위한 의지를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진전이다. 하지만 여전히 방 안의 코끼리는 존재한다. 바로 미국이다. 그리고 미국이 유발하는 모순적인 군사 행보들이다. 현실은 워싱턴과 이재명 정부 내 일부 외교·안보 인사들이 ‘긴장이 전쟁을 억제한다’고 믿고 있으며, 세계 최대 군사력을 기반으로 한 도발적인 연례 훈련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조심스러운 남북 간의 완화 움직임이 진행되던 바로 그 주에, 브런슨 장군은 한국인들을 향해 훈계조의 메시지를 던졌다.

2025년 8월 10일, 국내외 언론의 헤드라인은 다음과 같았다. “주한미군 사령관, 지역적 위협에 대응한 미군 역할 확대 강조”

브런슨는 다음과 같이 발언했다. “우리는 북쪽에 핵무장을 한 적이 있으며, 북한과 함께 러시아의 관여도 늘어나고 있다. 또한 자유롭고 열린 인도-태평양을 위협하는 중국의 존재도 있다.” 이어 그는 “북한은 여전히 ‘보트에 가장 가까이 있는 악어’이며 가장 즉각적인 위협이지만, 그 외에도 다양한 전략적 위협이 부상하고 있다”고 밝혔다. 같은 날, 브런슨은 대만 문제에 대해서도 언급하며 다음과 같은 말을 남겼다. “우리는 중국과 관련된 어떠한 시나리오에도 대비할 수 있도록 훈련과 연습을 지속해야 한다.” 이러한 발언은 직·간접적으로 ‘동맹 현대화’라는 명분이 실질적으로는 중국에 대한 적대적 군사 협조를 의미한다는 사실을 드러낸다.

전작권 전환 문제에 대해서도 브런슨 장군은 강한 경고를 남겼다. “기존에 합의된 경로대로 간다면 순조롭게 진행되겠지만, 손쉬운 지름길을 택한다면 한반도의 전력 대비태세를 위험에 빠뜨릴 수 있다.”

전작권은 대한민국의 군사주권과 관련된 문제이며, 그 결정권은 당연히 한국 정부에 있다.

오는 8월 20일 예정된 트럼프–이재명 정상회담을 앞두고, 미국은 무역부터 안보에 이르기까지 전방위적으로 한국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필자를 포함한 대다수 한국 국민은 이재명 대통령을 지지한다. 그러나 우리는 현실을 직시하고, 워싱턴이 점점 더 노골화하는 강압적 행태의 본질과 파장을 국민들에게 알려야 할 책임도 갖고 있다. 최악의 시나리오를 경고받고 준비하는 것이, 아무런 준비 없이 충격을 받는 것보다 낫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 문정인 연세대 명예교수가 ‘이재명–트럼프 시대의 동아시아 지정학과 한국의 외교전략’이라는 강연에서 제안한 정책 방향은 주목할 만하다.

문정인 교수의 주요 제언:

(1)한국은 두 가지 시나리오에 대비해야 한다.  – 미군이 없는 한반도 – 미국이 없는 한반도

(2)전시작전통제권을 이양받아 한국군이 주도하고, 미군은 지역 또는 역외 지원군 역할을 하는 방향을 적극 검토해야 한다.

(3)북한과의 관계 개선을 적극 추진해야 한다.

(4)이재명 정부는 전쟁을 예방하고 평화 가능성을 극대화하는 예방외교에 외교적 상상력과 회복력, 결기를 가지고 임해야 한다.

(5)미국, 중국, 러시아, 북한에 분명하게 할 말을 하면서도, 평화를 향한 노력을 꾸준히 이어가야 한다.

(6)마지막으로, 평화와 통일을 위한 정부의 외교 전략에는 국민적 합의와 지지가 수반되어야 한다.
이상의 제언은 단순한 외교적 슬로건이 아니라, 현재 한반도가 처한 지정학적 현실 속에서 우리가 주체로서 대응하기 위한 실질적 전략이다. 한국은 더 이상 외세의 눈치를 보며 평화를 포기할 이유가 없다. 주권을 행사할 용기와 준비, 그리고 국민적 연대가 필요한 시점이다.
Joe Biden’s USFK Nominee Brunson Lectures Both Trump and Lee?
Although American politics is not my primary focus, I’ve always enjoyed studying and teaching it. My favorite era in American history is the struggle for independence from Great Britain—something I’d love to explore further in the future. The story of independence and liberation is, in many ways, the most exciting part of any historical narrative.

Speaking of independence, preparations are currently underway in Korea for a massive national celebration on August 15—marking liberation from 35 years of brutal Japanese colonization. But this celebration will no doubt include a somber reckoning with an uncomfortable truth: that the South Korean government remained dominated by the (U.S.) military, a continuation of colonial rule once dominated by the (Japanese) military.

Take, for instance, the latest development.

Imagine a foreign military commander holding a major press conference to address your country’s national security. That’s exactly what U.S. Forces Korea (USFK) Commander Gen. Xavier Brunson did last Friday—his first press conference since assuming command in 2024. Why now? Brunson isn’t a Trump nominee—he was appointed under Biden. And yet, he’s speaking more frequently and more forcefully on Indo-Pacific strategy, U.S.–Korea relations, North Korea, and China than either President Trump or President Lee. Brunson literally ranks above President Lee when it comes to U.S.–South Korea joint military operations and multilateral military maneuvers. So, it’s no surprise he behaves as though he reigns above the Korean president—a humiliating reality for Korea, the only nation in the world that does not possess wartime control over its own military. Militarily, Brunson occupies a very special position: while he reports directly to the U.S. President, he also holds the authority to command the South Korean military. In times of war or crisis, the South Korean president effectively comes under Brunson’s control. South Korea is a U.S. military colony.

Notably, Brunson held his press conference during the same week that both North and South Korea dismantled their border loudspeakers—a small but meaningful gesture to reduce tensions and open the door for rapprochement. As I noted in last week’s blog:

“South Korea’s military has confirmed that North Korea is dismantling propaganda loudspeakers along its borders in response to the South’s earlier removal of its own. It’s an important step, showing mutual willingness to de-escalate. But the elephant in the room remains: the United States, and the contradictory developments it continues to provoke. The reality is that Washington—and, I fear, some within President Lee’s foreign policy team—believe that tension prevents war, that the presence of the world’s largest and most provocative military, along with its annual provocations, is a necessary deterrent to war.”

And so, precisely in this same week of cautious de-escalation, Gen. Brunson decided to lecture Koreans. On August 10, headlines read: “USFK Commander Stresses Expanded Role for US Troops in Korea Against Broader Regional Threats.”

“We have a nuclear-armed adversary to the north, increasing Russian involvement alongside the DPRK, and the Chinese threat to a free and open Indo-Pacific,” Brunson said.

He went on to acknowledge that while North Korea remains “the closest alligator to the boat,” or the most immediate threat, other strategic challenges are also emerging.That same day, Brunson commented on the Taiwan issue, stating:“We must continue to conduct exercises and training to maintain readiness for any scenario involving China. These remarks—both direct and indirect—make clear what “alliance modernization” really means: hostile military coordination against China.

And when it comes to the transfer of wartime operational control (OPCON), Brunson offered a pointed warning: “If we continue on the established (previously agreed) path, things will go well. But taking an easier shortcut will put the readiness of forces on the Korean Peninsula at risk.”

So what does the U.S. really think about transferring OPCON to South Korea? OPCON is a matter of South Korea’s sovereign military rights. The rightful authority to make decisions lies solely with South Korea.

Yet, ahead of the August 25 Trump–Lee summit at the White House, Washington’s pressure on South Korea’s newly elected President Lee Jae-myung is mounting—across every front, from trade to military.

Most Koreans, including myself, fully support President Lee. But we also bear the responsibility not only to recognize the reality we face but to expose the implications of Washington’s increasingly coercive posture. It is better to be warned and prepared for the worst-case scenario than to be caught off guard.

Consider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from Prof. Moon Chung-in, Professor Emeritus at Yonsei University, in his recent lecture titled “The Lee Jae-myung–Trump Era: Prospects for the Geopolitical Situation in East Asia and the Lee Administration’s Foreign Policy.”

Key Recommendations:

(1)South Korea must prepare for two possible scenarios: – a Korean Peninsula without U.S. forces, and – a Korean Peninsula without the United States.

(2)The US must actively consider transferring wartime operational control, allowing the South Korean military to take the lead while U.S. forces serve in a regional or extra-regional support role.

(3)We should actively pursue improved relations with North Korea.

(4)The Lee Jae-myung administration must prioritize preventive diplomacy—aimed at preventing war and maximizing the possibility of peace. This requires diplomatic imagination, resilience, and determination.
(5)It is crucial to speak clearly and firmly to the United States, China, Russia, and North Korea while steadily advancing toward the goal of peace.
(6)Finally, the Lee administration must seek broad national consensus in its pursuit of peace and unification.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A Pivotal Moment for U.S. Foreign Policy: Why South Korea’s Democratic Uprising Demands a Rethink
미국 외교정책의 중대한 기로: 왜 한국의 민주항쟁은 외교적 재고를 요구하는가

By Simone Chun


Korea’s 2025 Presidential Election: President Lee Jae-myung and the Democratic Revolution of Light—A Mandate for Sovereignty and Justice
이재명 대통령과 함께 여는 빛의 민주주의, 국민주권 혁명의 시대


"Now Begins the True Republic of Korea"

Lee Jae-myung

이재명

진정한 대한민국 공화국이 이제 시작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