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의 냄비: 김대중 대통령은 남북이 함께 만든 냄비 속에서 한반도의 미래를 보았다
The President’s Cooking Pot: Kim Dae-jung saw a shared future in a pot made by two Koreas
8월 12일부터 28일까지 예정된 한미연합 군사훈련을 중단하라Stop the August U.S.-Led War Games (August 12-28) in South Korea
Photo Credit, Drying Korean Redpeppers, D. Jaeger
냄비 하나가 대통령의 기쁨의 원천이 될 수 있을까? 이상하게 들릴 수도 있겠지만, 실제로 그러했다.
“2004년 12월 15일, 개성공단에서 처음 생산된 냄비를 대통령님께 직접 전달해 드렸던 그날을 저는 아직도 생생히 기억합니다. 대통령님은 제 어깨를 다정히 감싸며 칭찬과 격려의 말씀을 아끼지 않으셨습니다. 그러나 그 개성공단은 이제 꿈처럼 사라져버렸습니다.”
— 정동영 통일부 장관
이 말은 김대중 전 대통령의 묘소를 참배하며, 정 장관이 새롭게 통일부 장관으로 취임하기 직전에 했던 발언이다. 김 대통령이 직접 발탁했던 인사로서, 이번이 두 번째 취임이었다.
그 냄비는 단순한 조리기구가 아니었다. 남북이 함께 만든 첫 공동생산품이자, 개성공단이라는 협력과 희망의 상징이었다.
그 순간 김대중 대통령이 느꼈을 감격이 상상된다.
“그 개성공단은 이제 꿈처럼 사라졌습니다,”
정동영 장관은 다시 한번 되뇌었다.
그리고 그는 고인의 유지를 받들어 “이 땅에 평화의 빛을 다시 밝히겠다”고 다짐했지만, 오늘 한반도를 지배하는 현실은 정반대다.
또다시 시작되는 미국의 한반도 전쟁연습.
오는 8월 12일부터 28일까지, 미국 주도 하에 한국(그리고 일본)과 함께 ‘을지프리덤실드(UFS)’ 연합 군사훈련이 실시될 예정이다.>
이번에는 바이든과 윤석열이 아닌, 트럼프와 이재명 정부 아래에서 이루어지는 훈련이다.
그렇다면 질문해야 한다:
트럼프는 바이든의 실패한 대북 정책을 그대로 답습할 것인가?
이재명 대통령은 탄핵당한 윤석열의 군사주의 노선을 계속 따를 것인가?
바이든과 윤석열 정책의 결과는 이미 명확하다: 군사화된 정체, 고조된 긴장, 그리고 평화 파괴.
이제 트럼프는 독자적인 한반도 정책을 선택할 것인가, 아니면 바이든의 각본을 그대로 연기할 것인가?
그리고 이재명은 어떤 길을 선택할 것인가?
촛불혁명과 함께 탄생한 이재명 정부—그는 과연 과거와 결별하고 새로운 평화의 길을 열 용기를 가질 것인가?
아직 단언하긴 이르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모습은 실망스럽다.
‘한미동맹’에 올인하고, ‘비핵화’라는 구호를 되풀이하며, 한미일 삼각군사협력을 고수하고, 미국 주도의 전쟁연습에 동참하는 모습은, 마치 윤석열 2.0을 보는 듯하다.
이재명 정부 외교 안보 라인의 균열
이재명 대통령의 외교안보 라인 내부에는 뚜렷한 분열이 존재한다.
국가안보실장 위성락, 국방장관 안규백—북한을 ‘주적’으로 규정하며 미국과의 군사동맹을 강화하려는 대표적인 ‘동맹파’.
반면, 정동영 장관과 같은 ‘자주파’는 민족 주권과 남북 평화를 추구한다.
최근 보도에 따르면, 동맹파는 트럼프 정부와 긴밀히 협력하며 ‘한미동맹의 현대화’를 추진 중이라고 한다.
이것은 현대화가 아니다.
군사화된 예속이다.
그 기사에 따르면, 주한미군의 역할이 단순한 ‘북한 억지력’을 넘어, 인도·태평양 전역으로 확대될 수 있다고 한다.
이는 소위 ‘전략적 유연성’이라는 명분 아래, 주한미군이 중국을 겨냥한 군사행동의 전초기지로 활용된다는 뜻이다.
미국 국방장관 피트 핵세스는 최근, 전면전 가능성은 낮지만 ‘국지적 충돌’이 발생할 경우 한국이 불가피하게 개입될 것이라고 발언했다.
그의 표현에 따르면, 주한미군은 전투기 대신 에스코트 서비스를 수행한다고 한다. (escort service)”를 맡게 된다고 한다.
에스코트 서비스?
이것은 단순한 비유가 아니다.
한국이 미국 대신 총알받이가 되고, 주한미군은 에스코트 서비스를 한다는 것인가?
이는 명백한 진실 하나를 드러낸다:
대신 한국이 싸우게 만든다.
이것이 과연 동맹의 현대화인가?
한국을 중국 견제를 위한 전진기지로 전환하는 것일 뿐이다.
가정해보자. 북한의 핵이 실제 위협이라면, 과연 한국은 스스로를 방어할 수 있는가?
한국은 세계 12위(아시아 4위) 경제 대국이다.
군사력은 세계 5~6위권, 상위 3% 안에 든다.
한국은 미국 없이도 스스로를 지킬 수 있다.
쇠락하는 제국에 발목 잡힌 한국
한미동맹은 이제 한국의 번영을 가로막는 장애물이다.
트럼프의 관세 압박 속에서, 한국은 쇠락하는 제국에 여전히 발목이 잡혀 있다.
반면, BRICS는 이제 10개 정회원국과 10개 파트너국으로 확장되었고, 세계 인구의 56%, 세계 GDP의 44%를 차지한다.
지금 세계의 흐름은 글로벌 사우스로 향하고 있다. 그런데 한국은 여전히 침몰 중인 배에 타고 있다.
“동맹 현대화”라는 허울 좋은 말장난은 그만두자.
한국이 지금 진정으로 필요한 것은 다음과 같다:
한미연합 일본 자위대와 군사훈련의 전면 중단
모든 군사 도발의 중지
북한과의 협력과 평화로 가는 새로운 길
이미 많은 한국 시민들이 이를 요구하고 있다. 비록 미국이나 한국 주류 언론이 이를 보도하지 않는다 해도 말이다.
지난 7월 31일, 시민단체 ‘촛불행동’은 이재명 정부에 을지프리덤실드 훈련의 단순 재검토가 아니라 전면 중단을 요구했다.
정동영 장관이 미국의 전쟁게임 훈련 재검토 의사를 밝힌 점은 환영할 만하지만, 촛불행동은 명확히 밝혔다:
그 정도로는 부족하다.
전쟁연습이 계속되는 한, 평화는 없다.
트럼프든, 바이든이든, 문재인이든, 윤석열이든
이전 정부들은 2018년 남북 군사합의를 무력화시키고, 합동훈련을 강화하고, 군사주의로 국내 정세를 불안하게 만들었다.
미국·일본이 주도하는 이번 훈련도 마찬가지다.
이 훈련은 미국과 일본에는 아무런 타격을 주지 않지만, 이재명 정부에게는 커다란 정치적 손실이 될 것이다.
이제 결단의 시간이다.
주한미군의 미래를 둘러싼 국민적 논의가 시급하다.
한국은 이제 한미전쟁동맹에서 벗어나 주권을 회복해야 한다.
그것은 우리가 거의 잊어버린 어떤 가능성을 상기시켜 준다.
평화는 가능하다.
진정한 용기는 희망이 전혀 없는 상황에서 임무를 수행하는 것이다.
아라곤은 『반지의 제왕: 반지 원정대』에서 이렇게 말한다. “우리는 희망 없이 나아가야 한다. 길은 멀고, 해야 할 일은 많다.”
The President’s Cooking Pot: Kim Dae-jung saw a shared future in a pot made by two Koreas
Stop the August U.S.-Led War Games (August 12–28) in South Korea
A cooking pot as a source of presidential joy? Strange as it sounds—apparently so.
“I still vividly remember when I brought you the first pot produced at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on December 15, 2004. You placed your arm around my shoulders, praising and encouraging me. That Kaesong Complex has since vanished like a dream.”
—Chung Dong-young, Minister of Unification
Minister Chung offered these words at the grave of the late President Kim Dae-jung, just before taking office—again—as Minister of Unification, a role he first held under Kim himself.
That humble pot symbolized more than cookware. It was the first product jointly manufactured by North and South Koreans at the now-defunct Kaesong Industrial Complex—a testament to cooperation and hope.
I can almost feel President Kim’s joy in that moment.
“That Kaesong Complex has since vanished like a dream,”
Chung repeated.
And despite his solemn vow to restore “the light of peace to this land,” today’s Korean Peninsula is gripped by a different reality—one of military drills and renewed escalation.
Stop the August U.S.–Led War Games
Here we go again.
The U.S.–led Ulchi Freedom Shield military exercises—alongside South Korea and, likely, Japan—are scheduled from August 12 to 28.
But this time, they’ll take place under the Trump and Lee administrations—not Biden and Yoon.
So we must ask:
Will Trump blindly inherit Biden’s failed Korea policy?
Will he pursue a truly independent policy—or simply copy Biden’s playbook?
And what of President Lee Jae Myung?
Elected on the wave of the Revolution of Light that ousted Yoon Suk-yeol, will he break from Yoon’s militarist legacy—or continue marching in lockstep with Washington?
Biden and Yoon’s record speaks for itself: militarized stagnation, rising tensions, and zero progress toward peace.
And yet, today, it feels like déjà vu.
Hostaged by his own pro-U.S. foreign policy team, the Lee Jae-myung administration appears to be carrying forward the same failed framework:
Parroting “denuclearization”
Clinging to U.S.–Japan–Korea trilateral coordination
Endorsing U.S.–led war games
President Lee Jae Myung’s foreign policy team—the conservative, pro-U.S. alliance bloc—deeply worries me.
The key figures are:
National Security Advisor Wi Sung-lac
Defense Minister Ahn Gyu-baek, who insists North Korea is the “main enemy”
Foreign Minister Cho Hyun, who, in a recent Washington Post interview, claimed that China is causing regional problems and vowed to work with the U.S. and Japan in response—echoing the Yoon administration’s pro-military trilateral stance. Cho cited China’s tensions with neighboring countries and emphasized international law, yet provided no evidence. His prior visit to Japan suggests a pre-aligned strategy for containing China.
According to reports, this “pro-U.S. alliance faction” is now working closely with the Trump administration under the banner of “modernizing the U.S.–Korea alliance.”
But what does that actually mean?
First, it means expanding the role of U.S. Forces Korea (USFK) beyond deterring the North—to broader operations across the Indo-Pacific. That’s strategic flexibility—a euphemism for using Korea as a launchpad for U.S. military provocations against China.
Second, U.S. Defense Secretary Pete Hegseth has stated that while full-scale war with China is unlikely, in a “limited conflict,” Korea would “inevitably be involved.” USFK, he added, would play escort services—not fly combat sorties into Beijing.
Escort services?
The grotesque metaphor is hard to ignore—Korea as cannon fodder, USFK playing chaperone for a crumbling empire’s war machine.
Let’s put that in plain terms:
American troops won’t do the real fighting. Korean troops will.
So this is “modernizing the alliance”?
No—it’s transforming South Korea into a forward operating base for U.S. aggression.
It means:
Submitting to a permanent U.S. military presence that overrides Korea’s sovereignty
Becoming a target for retaliation from U.S.-manufactured adversaries like China
Killing any chance of reconciliation with the North
This isn’t modernization.
It’s militarized subjugation.
Let’s suppose, for the sake of argument, that North Korea’s nuclear weapons are a threat.
Can South Korea defend itself?
Yes.
South Korea is the 12th largest economy in the world (4th in Asia).
Its military ranks 5th or 6th globally—within the top 3%.
It does not need U.S. troops to defend itself.
Shackled to a Sinking EmpireThe U.S.–ROK alliance has become a roadblock to Korea’s prosperity.
While Trump extorts Korea through tariffs, the country remains shackled to a declining empire.
Meanwhile, the BRICS alliance—now with 10 member states and 10 partner nations—represents 56% of the world’s population and 44% of global GDP.
The tide is turning toward the Global South.
Yet Korea clings to a sinking ship.
It’s time to stop hiding behind euphemisms like “modernization of the alliance.”
What South Korea needs is:
An end to U.S.–Japan-led war games
A halt to provocative military actions
A new path of reconciliation, cooperation, and peace with the North
The Korean people are already demanding this—though you won’t hear it in the U.S. or mainstream Korean press.
On July 31, the civic group Candlelight Action called on the Lee administration to stop Ulchi Freedom Shield—not merely review it.
They welcomed Minister Chung Dong-young’s openness to reconsider the US-led war drills—but they were clear:
That’s not enough.
Why mince words? Just say it.
Stop.
Candlelight Action reminds us that past administrations—Trump, Biden, Moon, and Yoon—dismantled the 2018 inter-Korean military agreement, escalated joint drills, and stoked domestic instability through militarism.
As long as war games continue, inter-Korean peace remains impossible.
The Trump–Lee administration can repeat buzzwords like “Indo-Pacific,” “ironclad alliance,” “U.S.–Japan–Korea unity,” and “denuclearization” all it wants—but in today’s shifting geopolitical climate, those words ring hollow.
They offer no peace, no stability, no prosperity—only escalation.
And these provocative U.S.–Japan–led drills won’t hurt the U.S. or Japan.
They’ll only hurt the Lee administration.
Time for a Reckoning
Enough illusions. A bold national conversation about the future of U.S. Forces Korea is long overdue.
Let’s say it plainly:
South Korea must break free from the U.S.–ROK alliance and reclaim its sovereignty.
That cooking pot—crafted by North and South Korean hands—means more than all the U.S. weapons “protecting” Korea today.
It symbolizes something we’ve almost forgotten:
That peace was once possible.
And it can be again.
True courage is carrying out one’s duty even when there is no hope at all.
“We must do without hope...Come! We have a long road, and much to do.”
— Aragorn, The Fellowship of the Ring, J. R. R. Tolkien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