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정상회담을 앞두고: 이재명 대통령, 가장 친미적인 길을 선택하다

A pro-American Korean President comes to Washington — at what cost?


8월 20일, 주미 한국 대사관은 고든 창이 *더 힐(The Hill)*에 기고한 글에 대해 반박하는 칼럼을 발표했다. 고든 창은 이재명 대통령을 “반미적”이라고 비난했다. 대사관은 성명에서 이렇게 밝혔다. “최근 고든 창의 칼럼은 대한민국의 민주주의와 대통령, 그리고 한미동맹을 부정확하고 왜곡되게 묘사한 것으로, 우리는 깊은 우려를 표한다.”

동의한다. 고든 창은 틀렸다. 이재명 대통령은 반미가 아니다. 오히려 그 반대다. 대한민국 대통령은 지금 워싱턴에, 친미적인 지도자 중 한 사람으로 가고 있다. 증거는 명확하다.

1. 외교의 워싱턴 인도-태평양 구상 종속

이재명 정부는 사실상 워싱턴이 설계한 듯한 정상회담 전 외교 일정을 충실히 따랐다. 8월 25일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8월 8일 한–베트남 정상회담, 8월 23~24일 한–일 정상회담이 연이어 진행되었다. 이 일정은 분명한 메시지를 보여준다. 베트남은 인도-태평양 전선의 보조 축, 한–일–미 삼각축은 그 핵심이라는 것이다. 한국 외교는 워싱턴의 인도-태평양 전략에 철저히 종속되어 있다.

2. 미 주도의 전쟁 연습 수용

이재명-트럼프 정상회담은 8월 18일 시작된 미 주도의 을지연습과 시기를 같이 한다. 이 훈련은 한반도 군사적 긴장을 고조시키지만, 이재명 정부는 시민사회의 강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강행했다. 더 심각한 것은, 이 대통령이 이를 “순수한 방어 훈련”이라고 옹호했다는 점이다. 이는 명백히 사실을 호도하는 주장이다.

3. 관세·투자 전면 항복

브라질, 인도, 중국과 같은 나라들은 트럼프의 관세 협박에 저항했지만, 이재명 정부의 한국은 전면 항복했다. 한미 FTA를 무시한 채, 한국 정부는 트럼프의 15% 관세 위협을 받아들이고 무려 3,500억 달러(한국 전체 연간 예산의 80% 이상)에 달하는 미국 투자를 약속했다. 그중 1,500억 달러는 사실상 미 해군을 보조하는 조선업에 투입되며, 반도체·배터리 공장은 미국 내로 흡수되어 한국의 전략산업을 고갈시킨다. 게다가 한국은 1,000억 달러 규모의 미국산 LNG 구매까지 약속했다. 불균형은 극명하다. 미국의 약속은 모호하게 남는 반면, 한국의 약속—투자, 구매, 방위비 분담—은 모두 법적으로 구속력이 있다. 미국을 위대하게, 한국을 더 가난하고 무력하게.

4. “동맹 현대화” 서명

마지막으로, 이재명은 워싱턴이 요구하는 이른바 “동맹 현대화”에 서명하려 한다. 그러나 이 미사여구 뒤에는 가혹한 현실이 숨어 있다. 한국은 미·중 대결의 하위 부속으로 편입되고, 미군 지휘 하에서 한국군의 전진 배치가 확대되며, 남한은 사실상 영구적인 미군의 군사적 전진 기지가 된다. 이는 한반도를 전면적인 전쟁 체제로 끌어들이고, 외교와 평화의 공간을 송두리째 지운다. 국제정치 분석가 KJ 노에 따르면, 미국은 한국군 병력과 군수·산업 역량을 필요로 하며, “연합” 전쟁 지휘 속에서도 한국군에 대한 작전통제권을 유지한다. “동맹 현대화는 대중국 전쟁 준비의 코드다. 전략적 유연성이란 전쟁의 분업을 의미한다. 너와 그는 (한국군)싸우고, 우리는 베이징을 폭격한다.”

결론: 이재명 대통령은 결코 반미가 아니다. 오히려 가장 친미적인 길을 선택했다. 외교, 안보, 통상, 군사 정책 모두가 워싱턴에 대한 더 깊은 종속으로 수렴하고 있다. 그를 “반미”라고 부르는 것은 터무니없다. 이 대통령은 워싱턴에 한국의 주권을 지키러 가는 것이 아니라, “미국을 위대하게” 만들러 간다. 그러나 그 대가로 잃어버리는 것은 한국의 자주와, 빛의 혁명이 요구해온 주권의 길이다.

307 organizations held a press conference at Gwanghwamun Square in Seoul, demanding that the Lee Jae-myung government must firmly reject the U.S. demand for alliance modernization.

I have supported President Lee Jae Myung, and I know this won’t make me popular, but I’m going to say it.

On August 20, the Embassy of the Republic of Korea in Washington published an op-ed responding to Gordon Chang’s recent piece in The Hill, which accused President Lee Jae Myung of being “anti-American.” The embassy stated: “We express our deep concern over the recent commentary by Gordon Chang, which presented an inaccurate and misleading portrayal of the Republic of Korea’s democracy, its president, and its alliance with the U.S.”

Agreed. Gordon Chang was wrong. Lee Jae Myung is not anti-American.

In fact, I will go further: South Korea’s president is coming to Washington as a pro-American leader. The evidence is overwhelming.

1. Subordination of diplomacy to Washington’s Indo-Pacific script

Thus far, the Lee administration has dutifully followed what looks like a carefully choreographed sequence of pre-summit events designed in Washington. Ahead of the August 25 Korea–U.S. summit, Seoul hosted the Korea–Vietnam summit on August 8, followed by the Korea–Japan summit in Tokyo on August 23–24. The sequencing itself reveals the logic: Vietnam serves as a link in shoring up the Indo-Pacific front, while the Japan–Korea–U.S. axis functions as its core. The Lee government’s diplomacy is clearly nested within Washington’s Indo-Pacific strategy.

2. Embracing U.S.-led war games

The Lee–Trump summit also coincides with the U.S.-led Ulchi war games that began on August 18. These drills generate heightened military tension on the peninsula, yet the Lee administration pressed forward despite strong opposition from civil society. Worse still, President Lee defended them as “purely defensive,” a claim that is plainly misleading.

3. Total capitulation on tariffs and investment

Unlike countries such as Brazil, India, or China that have resisted Trump’s tariff threats, South Korea under Lee has surrendered wholesale. Disregarding the KORUS FTA, the Lee government accepted Trump’s threats of 15% tariffs on Korean goods and pledged an astronomical $350 billion in U.S. investments (more than 80% of Korean entire annual budget)—$150 billion of which will flow into shipbuilding, effectively subsidizing the U.S. Navy, alongside semiconductor and battery plants that drain Korea’s strategic industries. On top of this, Seoul agreed to purchase $100 billion worth of American LNG. The imbalance is stark: while U.S. promises remain vague, Korea’s commitments—in investment, purchases, and cost-sharing—are all legally binding. Make America Great, Make Korea Poorer and Powerless.

4. Signing onto “alliance modernization”

Finally, Lee is set to endorse Washington’s demand for so-called “alliance modernization.” This euphemism conceals a harsher reality: Korea’s induction as a subordinate cog in the U.S.-led confrontation with China, with expanded forward deployment of Korean forces under U.S. command,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South into a permanent U.S. military launchpad. This path drags the peninsula deeper into a war footing, eroding any space for diplomacy or peace. According to the prominent geopolitical analyst, KJ Noh, the US needs Korean troops as proxy manpower and Korea’s military-industrial-logistical capacity while the US retains operational control over Korean forces in its “joint” warfighting. “Alliance modernization is code for war preparation against China. Strategic flexibility means an effective division of labor for war: you and him fight, we’ll bomb Beijing.”

In sum: Far from being anti-American, President Lee Jae Myung has chosen the most pro-American course imaginable. His policies in diplomacy, security, trade, and military affairs all point in the same direction: deeper subordination to Washington. To call him “anti-American” is absurd. President Lee comes to Washington to make America Great. What’s being lost is the Revolution of Light that demands Korean sovereignty.

Photo Credit: Nodutdol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A Pivotal Moment for U.S. Foreign Policy: Why South Korea’s Democratic Uprising Demands a Rethink
미국 외교정책의 중대한 기로: 왜 한국의 민주항쟁은 외교적 재고를 요구하는가

By Simone Chun


Korea’s 2025 Presidential Election: President Lee Jae-myung and the Democratic Revolution of Light—A Mandate for Sovereignty and Justice
이재명 대통령과 함께 여는 빛의 민주주의, 국민주권 혁명의 시대


"Now Begins the True Republic of Korea"

Lee Jae-myung

이재명

진정한 대한민국 공화국이 이제 시작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