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의 노래": 오늘의 한국 지도자는 과연 백성을 지키겠다는 이순신의 굳센 결의를 가지고 있는가, 아니면 제국에 예속되기를 선택하고 있는가?

“The Song of the Sword”: Does today’s Korean leader possess Admiral Yi Sun-sin’s unwavering commitment to protect his people—or is he merely choosing subordination to empire?


포탄과 화살이 우박으로 나는 싸움의 뒷전 에서 조선 수군은 적의 머리를 잘랐고 일본 수군은 적의 코를 베었다. 잘려진 머리와 코는 소금에 절여서 상부에 바쳤었다. 그것이 전과의 증거물이었다. ...포구로 몰려진 적들은 산속으로 피난민의 아녀자들까지 모조리 죽이고 코를 베어갔다. 피난민들의 다만 얼굴 가운데 코가 있기 때문에 죽었다. 목이야 어디로 갔던 간에 죽은 자는 죽어서 그 자신의 전쟁을 끝낸 것 처럼 보였다. 이 끝없는 전쟁은 결국은 무의미한 장난이며, 이 세계도 마침내 무의미한 곳인가. 내 몸의 깊은 곳에서, 아마도 내가 알 수 없는 뻣속의 심연에서, 징징징. 칼이 울어대는 울음이 들리는 듯했다. 나는 등판으로 식은 땀을 흘렸다. 캄캄한 바다는 인광으로 뒤채었다.”

–김훈, “칼의 노래”

16세기 조선의 전설적 장수 이순신을 다룬 이 역사소설에서, 전직 언론인이자 전쟁 특파원이었던 김훈은 임진왜란의 참혹한 전쟁과 일본군의 침략을 섬세하고도 날카롭게 묘사한다. 그의 문장은 전장의 살육만을 그리지 않는다. 전쟁이 짊어지게 하는 실존적 무게까지 함께 드러낸다.

이 소설은 허구적 화자인 이순신 장군의 1인칭 시점으로 전개된다. 영웅을 신화적 초인으로 그리지 않고, 고뇌하고 흔들리면서도 결코 책임을 내려놓지 않는 인간적 지휘관의 내면을 파고든다. 세상이 무의미하게만 보이는 순간에도, 유일한 의미는 백성을 지키겠다는 그의 다짐에서 비롯된다.

이 책을 로스앤젤레스의 한 한국 서점에서 구입했다. 미국에서 실제로 한국 문학 서적을 직접 손에 쥘 수 있는 몇 안 되는 도시 중 하나다. 진열대에 있던 단 한 권의 『칼의 노래』를 집어 들었는데, 지금 돌이켜보면 참 잘한 일이었다.

책장을 넘기다 보니, 허구가 아닌 오늘의 한국 현실이 떠올랐다. 이번 주, 한국은 또다시 미군 주도의 대규모 합동훈련, 을지 프리덤 실드(UFS)의 한가운데 있다. 8월 18일에 시작된 이번 훈련에 대해 당국은 “방어적 훈련”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사실은 전혀 다르다. 이번 훈련은 전면전 시나리오에 기반한 공격적 전쟁 리허설이며, 그 뿌리에는 바이든과 윤석열 정권이 2024년에 새로 도입한 ‘작전계획 2022(OPLAN 2022)’가 있다.

(1)OPLAN 5015가 이미 북한 지도부에 대한 선제타격과 ‘참수작전’을 강조했다면

(2)OPLAN 2022는 이를 훨씬 더 구체적이고 확대된 시나리오로 발전시켰다.

(3)전시 선제타격 목표인 JDPI(공동 목표점)를 700개 이상으로 늘려 북한 지도부를 넘어선 전방위 ‘참수작전’을 포함시켰다.

(4)전국 단위의 핵전쟁 훈련을 포함해 군뿐 아니라 공공기관, 지방정부, 민간기업까지 동원해 핵전쟁 상황을 가정한 전면적 사회 총동원 체계를 연습한다.

(5)이는 바이든–윤석열 안보협의회의(SCM) 결정에 따른 것으로, 핵 대응 시나리오가 결합된 합동훈련이다.

(6)또한 OPLAN 2022는 “전영역 통합작전” 개념을 도입했다. 육·해·공뿐 아니라 우주, 사이버, 전자전, 심리전까지 동시다발적 전개를 포함한다. 즉, 위협 징후 포착 → 사이버·전자 공격으로 지휘 체계 마비 → 700여 개 목표에 대한 동시 타격 순서다. 이 체계에서는 작은 신호 오판만으로도 선제공격이 발동되고, 곧바로 전면전으로 비화될 수 있다.

(7)한마디로 이번 훈련은 방어가 아니라, 700개 목표를 겨냥한 선제타격, 전국적 핵전쟁 동원, 다영역 동시 공격을 연습하는 공격적 전쟁 시뮬레이션이다. 그러나 이러한 훈련이 벌어지는 동안, 한일 정상회담과 한미 정상회담은 나란히 열리고 있다. 대중의 시선을 다른 곳으로 돌리기 위한 정치적 연극일 뿐이다.

다시 김훈으로 돌아가자. 그는 『칼의 노래』에서 명 황제의 원군을 기다리며 무력하게 울부짖던 조선의 비극을 기록한다.

때대로 명나라 황제의 사신이 압록강을 건너왔다. 임금은 강가 나루터에서 황제의 시신을 맞았다. 사신이 황제의 말을 전했다. "너희가 본래 부강하다 하였는데 하루아침에 이 지경에 이른 까닭을 짐은 심히 의아하게 여긴다. "임금은 길게 울었다. 신하들도 따라 울었다. 사신이 또 황제의 말을 전했다. "너희가 신하된 나라의 굳셈을 잃지 말고 스스로 조치하라". 임금은 흐느껴 울었고 중신들도 울었다. 백성들도 울었다. 명의 구원병이 압록강을 넘어왔을 때 임금은 강가에까지 마중 나가 울었다. (p.184-185).

역사의 울음은 지금에도 메아리친다.

오늘의 한국 지도자는 과연 백성을 지키겠다는 이순신의 굳센 결의를 가지고 있는가, 아니면 제국에 예속되기를 선택하고 있는가?

이순신의 말이 다시 귓가에 맴돈다.

“살고자 하면 죽을 것이고, 죽고자 하면 살 것이다.”

명량대첩을 앞둔 이순신 장군이 구체적인 전략을 구상했던 진도 벽파정과 벽파진 전경. The view of Byeokpajeong Pavilion and Byeokpajin in Jindo where Admiral Yi Sun-sin devised his concrete strategy on the eve of the Battle of Myeongnyang

In the background of a battle where cannonballs and arrows rained like hail, the Joseon navy cut off the heads of their enemies, while the Japanese navy sliced off their noses. The severed heads and noses were salted and presented to higher authorities as proof of victory. The enemies driven into the harbors were then pursued into the mountains, where even women among the refugees were killed, their noses cut off simply because they had them. Refugees died not for who they were, but for the features on their faces. Necks could disappear anywhere, but the dead, in their death, seemed to have concluded their own wars. This endless fighting revealed itself as a meaningless game, and perhaps the world itself was nothing more than a meaningless place. From deep within my body, perhaps in some abyss of my marrow that I could not reach, I thought I heard the sound of jing-jing-jing—the weeping of swords. Cold sweat ran down my back. The pitch-black sea was alive with phosphorescent light.”

–Kim Hoon, “The Song of the Sword”

In this historical novel about Korea’s legendary 16th-century Admiral Yi Sun-sin, the former journalist and war correspondent-turned writer describes the horror and brutality of Japan’s invasion of Korea, the Imjin War (1592–1598), with haunting precision. His sentences evoke not just the carnage of battle, but also the existential weight of war.

Written in the first-person voice of a fictionalized Admiral Yi, Kim explores the inner life of a commander—sensitive, tormented, yet unyielding in duty. Yi is not portrayed as a glorified superhero, but as a deeply human figure who, despite doubts and despair, shoulders the burden of saving his nation. In a world that seems stripped of meaning, meaning is made only through his commitment to protect his people.

I bought The Song of the Sword at a Korean bookstore in Los Angeles—one of the few U.S. cities where such shops still exist, carrying not only Amazon’s mass-ordered titles but also purse-sized editions of Korean literature. There was only one copy of Kim’s novel on the shelf. I grabbed it, and I’m glad I did.

Reading it now, I can’t help but think not of fiction but of present reality in Korea. This week, the country is in the midst of yet another massive U.S.-led war game: Ulchi Freedom Shield (UFS), which began on August 18.

Authorities claim these are “defensive drills.” The facts suggest otherwise. UFS is a full-scale rehearsal for conflict, based on Operational Plan (OPLAN) 2022—a strategy far more offensive and aggressive than its predecessors, introduced in 2024 under Biden and Yoon Suk-yeol:

(1)OPLAN 5015 had already emphasized preemptive strikes and decapitation operations against North Korea’s leadership.

(2)OPLAN 2022 goes further, escalating scenarios in detail and scope.

(3)It raises the number of Joint Desired Points of Impact (JDPI)—wartime preemptive targets—to more than 700, extending decapitation strikes beyond core leadership.

(4)It incorporates a nationwide nuclear war drill, mobilizing not only the military but also public institutions, local governments, and private companies in a full-scale rehearsal for nuclear conflict.

(5)This nuclear component stems from the Biden–Yoon Security Consultative Meeting (SCM), which explicitly included nuclear response scenarios in combined exercises.

(6)OPLAN 2022 introduces “all-domain integrated operations”: simultaneous land, sea, air, space, cyber, electronic, and psychological warfare. The sequence: detect threat signals → paralyze command through cyber/electronic attacks → strike 700+ JDPI targets at once. In this system, even a misread signal could trigger a preemptive attack and cascade into all-out war.

(7)In short, this week’s U.S.-led exercise is not defensive. It is an offensive rehearsal for nuclear war, preemptive strikes, and nationwide mobilization. And yet, as the drills unfold, Korea–Japan and Korea–U.S. summits are staged in parallel—political theater that diverts public attention. Don’t ask, don’t tell.

Kim Hoon’s words return to mind here. In The Song of the Sword, he describes the helpless pathos of a nation under siege, waiting desperately for Ming relief troops:

From time to time, envoys of the Ming emperor crossed the Amnok River. The king went to the riverside ferry landing to receive them. The envoy conveyed the emperor’s words: “It was said that your country was once prosperous and strong, and yet in a single day it has fallen into such ruin. I find this deeply perplexing.” The king wept at length, and his ministers wept with him. The envoy again relayed the emperor’s words: “Do not lose the firmness of a nation that serves its sovereign state. Take measures for yourselves.” The king sobbed, the senior ministers also wept, and the people too wept. When Ming relief troops finally crossed the Amnok River, the king went out to greet them—and he wept.

The resonance is chilling. History’s laments echo into the present.

Does today’s Korean leader possess Admiral Yi Sun-sin’s unwavering commitment to protect his people—or is he merely choosing subordination to empire?

As Yi declared: “If you seek to live, you will die; if you seek to die, you will live.”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A Pivotal Moment for U.S. Foreign Policy: Why South Korea’s Democratic Uprising Demands a Rethink
미국 외교정책의 중대한 기로: 왜 한국의 민주항쟁은 외교적 재고를 요구하는가

By Simone Chun


Korea’s 2025 Presidential Election: President Lee Jae-myung and the Democratic Revolution of Light—A Mandate for Sovereignty and Justice
이재명 대통령과 함께 여는 빛의 민주주의, 국민주권 혁명의 시대


"Now Begins the True Republic of Korea"

Lee Jae-myung

이재명

진정한 대한민국 공화국이 이제 시작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