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전략적으로 중요한 지정학적 위치 중 하나를 차지하고 있다

What Korea Can Learn from China


Photo Credit, A Door, Korea, D. Jaeger

미래와 주권을 향한 열망: 중국에서 한국이 배워야 할 것

“과거의 투쟁으로부터 얻은 지식을 무기로 삼아, 오래된 질서를 무너뜨리고 새로운 세계로 나아가는 불확실한 여정을 열기 위한… 미래에 대한 열정적인 희망.”

어제 트럼프의 관세 전쟁이 한국에 초래될 치명적 결과에 대해 블로그에 대해 저명한 국제관계 전문가의 코멘트를 받았다. “한국이 계속해서 중국과 무역을 유지한다면, 괜찮을 겁니다.”

중국은 미국과의 무역이 11% 넘게 감소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대(對) 아세안, 유럽연합, 아프리카, 중앙아시아 무역은 오히려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는 중요한 데타를 지적했다. 이는 단순한 수치의 이동이 아니라, 국제 질서의 근본적인 재편을 의미한다. 이러한 세계 질서의 전환 속에서 중국은 후퇴하지 않는다.

"미국과의 무역 축소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대외 무역은 계속해서 성장하고 있다. 중국 해관총서가 7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7월 한 달 동안 중국의 상품 수출입 총액은 3조 9,100억 위안으로 전년 동월 대비 6.7% 증가했으며, 이는 6월보다 증가율이 1.5%포인트 가속된 수치로 올해 들어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한 것이다. 올해 1월부터 7월까지의 누적 상품 수출입 총액은 25조 7,000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3.5% 증가했으며, 이는 상반기 대비 0.6%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같은 기간 동안 아세안, 유럽연합, 아프리카, 중앙아시아와의 무역은 각각 9.4%, 3.9%, 17.2%, 16.3% 증가하였다. 이 가운데 아세안 및 유럽연합과의 무역은 중국 전체 대외 무역의 약 30%를 차지하였다. 일대일로(一帶一路) 참여국들과의 수출입 총액은 5.5% 증가했다. 반면, 미국과의 수출입은 11.1% 감소했으며, 중국 전체 대외 무역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9.4%에 그쳤다."

그 전문가의 의견에 전적으로 동의한다. 오늘날 한국은 지정학적으로 가장 중요한 지점 중 하나에 위치하고 있다. 중국과 유라시아 내륙을 연결하는 다리이자, 태평양과 대륙 세력권을 잇는 접점이다. 미국의 경제적 압박이 거세지는 상황에서, 동북아 중심의 지경학적 재정렬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생존의 문제로 다가오고 있다.

이 대화를 나누며 잠시 한국에만 고정하고 있었다는 관심에서 벗어나 오래전 강의때 교과서로 이용했던 책 한권을 소개한다. 조너선 D. 스펜스의 "현대 중국을 찾아서(The Search for Modern China)"였다.

중국정치, 동북아 정치경제, 한국정치와 같은 과목에서 즐겨 사용했다. 미국에서 동아시아의 역사와 정치를 가르치는 일은 결코 쉽지 않다. 수천 년에 걸친 왕조, 혁명, 개혁, 전쟁, 조약들, 익숙하지 않은 사상과 인물들로 가득하다. 한 중국인 역사학자 동료는 내게 농담 삼아 이렇게 말한 적이 있다. “한 강의에서 중국 이름은 세 개 이상 말하지 마세요. 아무도 기억 못 해요.”

그러나 스펜스는 그 복잡한 역사를 서사시처럼 풀어낸다. 생생한 장면들, 복합적인 서사, 그리고 중국을 있는 그대로 이해하고자 하는 한 미국인 역사가의 조용한 공감이 책 전반에 흐른다. 아직 AI도, 챗GPT도 없던 시절이었다. 학생들과 교수는 그 방대한 자료를 함께 읽고, 토론하고, 질문하며 천천히 정복해 나가야 했다. 나는 학생들을 그룹으로 나눠 각 장을 요약하고 토론하도록 했다. 27장에 달하는 이 책은 중국사를 처음 접하는 학부생에게는 두려울 수 있다. 하지만 15주 동안 우리가 함께 만들어낸 것은 단순한 지식이 아니라 공동의 여정이었다. 사유와 대화, 지적 우정의 경험이었다.

스펜스 자신도 이 책을 “여정”이라 부른다. 1990년 서문에서 그는 중국 문명의 오랜 호흡 속에서 끈질기게 살아 숨 쉬는 정신, 바로 ‘적응하고, 재구성하고, 운명을 스스로 개척하는 능력’을 강조한다.

그는 이렇게 쓴다. “중국인들이 종종 절박하거나 불리한 상황 속에서도 스스로의 운명을 쥐고 외세의 간섭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투신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것은 수동성의 서사가 아니다. 재창조와 저항의 서사이다.

내게 가장 깊은 인상을 준 것은, 스펜스가 중국인의 존엄과 생존, 정의에 대한 갈망을 결코 중국만의 특수성으로 묘사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그는 그것을 인간 보편의 감정으로, 깊은 공감으로 제시한다. “아름다움에 대한 사랑, 지적 모험에 대한 열정, 부드러움과 생동감 넘치는 감각성, 그리고 정의를 향한 열망” 그가 묘사한 이들은 단지 역사의 희생자가 아니라, 역사의 주체였다. 그들은 서구 제국이나 강대국이 정의한 미래가 아닌, 자신들의 꿈으로 새로운 미래를 창조하고 있었다.

그리고 바로 지금, 이처럼 세계 질서가 균열을 일으키는 시기—과거가 무너지고 미래가 아직 도래하지 않은 이 전환기에, 이러한 이야기는 단지 위안이 아니라 나침반이 될 수 있다.

오늘날 한국은 “철통 동맹”이라는 이름으로 복종을 강요하는 제국적 동맹국과 마주하고 있다. 우리는 우리 스스로의 저항의 역사뿐만 아니라, 주변 이웃들의 회복탄력성과 지혜로부터도 배워야 한다.

중국과 한국은 단순한 인접국이 아니다. 양국은 모두 서구 세력의 침략과 전쟁, 식민과 분단을 겪었다. 두 나라 모두 민중의 투쟁을 기억하고 있으며, 앞으로의 길을 스스로 선택할 권리가 있다.

주권, 생존을 향한 여정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오히려 지금 이 순간에도 계속 지속되고 있다. 그리고 그 여정 속에서 우리가 의지해야 할 것은 향수도, 강대국에 대한 외교적 예의도 아니다. 오직 과거 투쟁에 대한 명확한 이해, 그리고 위협과 압박을 넘어서는 용기와 연대, 민중의 존엄에 대한 확고한 신념뿐이다.

스펜스의 말처럼, “미래에 대한 열정적인 희망.”

A Passionate Hope for the Future and Sovereignty: What Korea Can Learn from China

“…a passionate hope for the future to bring the old order crashing down, opening the way for an uncertain passage to the new. And armed with knowledge of those earlier struggles…”

Yesterday, I wrote about the dire consequences of Trump’s escalating tariff war on Korea. In response, a China expert offered a calm reassurance: “As long as Korea continues to trade with China, it will be okay.”

He pointed me to China’s latest trade data—and it told a larger story. Despite an ongoing contraction in trade with the United States—down over 11%—China’s trade continues to grow steadily with ASEAN, the European Union, Africa, and Central Asia. These numbers aren’t just shifting balance sheets; they reflect a deeper reconfiguration of global relationships. In this evolving international order, China is not retreating. It is reorienting. And so must Korea.

“China's foreign trade continues to grow despite a contraction in trade with the United States. Data released by the General Administration of Customs on the 7th showed that in July, the total value of China's goods imports and exports reached 3.91 trillion yuan, a year-on-year increase of 6.7%, accelerating by 1.5 percentage points compared to June and marking the highest growth rate this year. In the first seven months of this year, the total value of goods imports and exports amounted to 25.7 trillion yuan, up 3.5% year-on-year, with the growth rate accelerating by 0.6 percentage points compared to the first half of the year. Imports and exports with ASEAN, the European Union, Africa, and Central Asia increased by 9.4%, 3.9%, 17.2%, and 16.3%, respectively. Trade with ASEAN and the European Union accounted for nearly 30% of China’s total foreign trade. The combined imports and exports with countries involved in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rose by 5.5%. During the same period, China's imports and exports with the United States declined by 11.1%, accounting for 9.4% of China's total foreign trade.”

I agree. Korea today occupies one of the most strategic geopolitical locations in the world—serving as a vital bridge between China and the Eurasian heartland, between the Pacific sphere and the continental one. Faced with intensifying economic coercion from the United States, a realignment toward a Northeast Asia–centered geopolitical and economic framework is no longer optional. It is fast becoming a matter of national survival.

That conversation stirred something deeper in me. As I’ve been so focused on Korea, I realized I hadn’t recently turned my attention to China—not in reading, nor in reflection. So I returned to my bookshelf. And there it was: Jonathan D. Spence’s The Search for Modern China.

I had used it regularly when teaching courses like Politics of China, Political Economy of Northeast Asia, and Politics of Korea. Teaching East Asian history and politics in the U.S. is no easy task. It spans millennia—dynasties, revolutions, reforms, restorations—filled with unfamiliar names, philosophies, wars, and treaties. A Chinese colleague of mine, a historian, once joked: “Don’t say more than three Chinese names in one lecture. No one will remember them.”

And yet, Spence made it memorable. His book reads like an epic novel—woven with vivid scenes, layered narratives, and the quiet empathy of a conscientious American historian striving to understand China on its own terms.

That was before AI, before ChatGPT—when students and professors had to slowly wrestle with the material together. I used to divide the class into groups, each tasked with presenting, reviewing, and reflecting on assigned chapters. The book has 27 chapters—intimidating for undergraduates unfamiliar with Chinese history. But over the course of fifteen weeks, what we built was not just knowledge. It was a shared journey—an act of inquiry, conversation, and intellectual companionship.

Spence himself calls it a journey. In his 1990 preface, he evokes the resilient spirit that pulses through China’s long civilizational arc: its ability to adapt, to reimagine, and to seize its destiny under even the most overwhelming odds.

He writes: “We can see how often the Chinese people, operating in difficult or even desperate circumstances, seized their own fate and threw themselves… to keep free from foreign interference.” This is not a narrative of passivity—it is one of reinvention and resistance.

What struck me most is that Spence never renders China’s longing for dignity, survival, or justice as something uniquely Chinese. Instead, he presents it as deeply and universally human. He writes of “a love of beauty, a passion for intellectual adventure, a gentleness, an exuberant sensuality, and a yearning for justice”—qualities that shine through even in the darkest chapters. The people he writes about were not just reacting to history; they were shaping it. They were building an imagined yet real future—not one defined by Western powers, imperialists, or extortionists, but one born of their own dreams.

In moments of rupture—when the old order begins to crack and the new is yet to emerge—such stories matter.

Today, as Korea confronts a hyper-militarized, imperialist “ally” that demands obedience under the guise of “ironclad partnership,” the lesson is urgent. We must not only look inward to our own history of resistance, but also outward—to learn from the resilience of our neighbors.

China and Korea share more than geography. Both have endured war, colonization, invasion, and division. Both bear the living memory of popular struggle—and the right to choose their own path forward.

The search for sovereignty is not over. We must move forward not under the shadow of tariffs and threats, but with courage, solidarity, and the unwavering belief in the dignity of peoples who refuse to be subjugated.

In Spence’s words:

“A passionate hope for the future.”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A Pivotal Moment for U.S. Foreign Policy: Why South Korea’s Democratic Uprising Demands a Rethink
미국 외교정책의 중대한 기로: 왜 한국의 민주항쟁은 외교적 재고를 요구하는가

By Simone Chun


Korea’s 2025 Presidential Election: President Lee Jae-myung and the Democratic Revolution of Light—A Mandate for Sovereignty and Justice
이재명 대통령과 함께 여는 빛의 민주주의, 국민주권 혁명의 시대


"Now Begins the True Republic of Korea"

Lee Jae-myung

이재명

진정한 대한민국 공화국이 이제 시작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