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트럼프는 이재명 대통령을 정상회담에 초대하는가? 워싱턴은 중국과의 미래 전쟁을 방해할 수 있는 북한을 반드시 관리해야 한다.
Why is Trump inviting President Lee for a summit? Washington must ensure that North Korea, which could disrupt a future war with China, is kept under control.
Photo Credit: Let’s stop the U.S. tariff assault with a candlelight protest.
첫 번째 이유는 명확하다. 워싱턴은 이재명을 꺾는 데 실패했다. 바이든과 트럼프 양측 관리들뿐 아니라 한미 극우 연합까지 총동원된 강력한 시도에도 불구하고, 한국 국민들은 이재명을 선택했다. 이제 와서 그를 인정하지 않는 것은 의미가 없다.
워싱턴이 진정으로 두려워하는 것은 한국 국민의 대중 동원 능력이다. 촛불혁명, 즉 ‘빛의 혁명’은 수백만 명을 거리로 불러내 독재적 지도자들을 반복해서 몰아낸 사례로, 한국의 집단적 힘을 상징한다. 이러한 두려움은 추상적인 것이 아니다. 관세 협상 과정에서 한국 협상단이 수백만 명이 시위하는 사진을 보여주었고, 이는 트럼프 측 협상단에게 강한 인상을 남겼다고 전해진다.
이 주제는 나중에 다시 다루겠지만, 지금으로서는 트럼프가 이재명과 정상회담을 추진한 중요한 이유 중 하나를 보여주기에 충분하다.
“김정은 위원장은 어떻게 지내는가? 왜 북한은 미국과 협상 테이블에 나오지 않는가?”
트럼프는 관세 협상 과정에서 한국 협상단에게 이렇게 물었다고 전해진다. 김정은에 대한 그의 반복된 질문은 트럼프의 진짜 관심사가 무엇인지를 보여준다. 바로 2018년 트럼프–김정은 정상회담의 모멘텀을 되살리는 것이다. 그러나 평양은 이미 실패한 협상을 반복할 의사가 없음을 분명히 했으며, 미국과 한국의 제안을 단순히 2018년의 재탕으로 치부하며 거부했다.
만약 의제가 단순히 관세 협상이나 방위비 분담금 증액에 국한된다면 굳이 이재명 대통령과의 대면 정상회담이 필요할 이유가 없다. 더 깊은 동기는 따로 있다. 바로 북한이다. 다가올 이–트럼프 정상회담에서 핵심 의제, 이른바 ‘코끼리’는 평양일 것이다.
트럼프의 전략적 계산에서 북한의 중심성은 분명하다.
(1)북한은 러시아, 중국과 더불어 미국의 군사 패권에 도전할 의지와 능력을 동시에 가진 세 나라 중 하나다. 그러나 모스크바나 베이징과 달리, 북한은 미국 본토를 노골적으로 위협할 뿐 아니라 실제로 타격할 수 있는 신뢰할 만한 능력을 지니고 있다. 이 때문에 트럼프는 종종 청중 앞에서 북한이 핵보유국임을 강조하며, 워싱턴이 그러한 나라와 “잘 지낼 필요가 있다”고 주장해왔다.
(2)대만해협에서 전쟁이 발발할 경우, 워싱턴이 직면할 전략적 문제는 더욱 심각해진다. 중국과 방위조약으로 묶여 있는 북한은 주한미군을 공격할 수 있으며, 이는 제2의 전선을 열어 분쟁을 세계적 차원으로 확대시킬 수 있다.
(3)이미 북한과 중국의 함대는 태평양 전역에서 미군 기지를 압박하고 있다. 이런 상황이 심화되면 미국은 제1, 제2도련선에서 후퇴할 뿐 아니라 오키나와, 괌, 하와이에서조차 철수해야 할 수도 있다. 이런 시나리오 속에서 북한은 미국의 주요 적대국들을 연결하는 핵심 고리로 부상한다.
(4)많은 분석가들은 북한이 대만 전쟁에 개입할 것이라고 전망한다. 북한이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러시아를 지원한 전례가 그 근거다. 만약 주한미군이 중국을 공격한다면, 북한은 미군 기지를 타격할 수 있으며, 이는 전쟁을 대만과 한반도의 양 전선으로 분리시켜 미국의 전쟁 수행을 기하급수적으로 어렵게 만들 것이다.
(5)바로 이런 이유 때문에 “북한의 국제적 위상 상승: 통합적이고 포괄적인 외교의 필요성” 같은 평가는 결코 과장이 아니다. 북한은 이제 전략국가이자 잠재적 핵보유국으로 인정받고 있다. 트럼프의 ‘다극 체제’ 국제질서 속에서 북한은 강대국 안보 거래의 결정적 변수로 부상했다. 북한의 국제적 위상은 많은 이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높으며, 무시할 수 없는 존재가 되었다.
(6)바로 이러한 시나리오를 막기 위해 워싱턴은 오랫동안 북한과의 관계를 관리하거나 개선하려 해왔다. 트럼프 1기 북미정상회담도 이러한 논리에 따른 것이었다. 그리고 지금 트럼프가 이재명 대통령의 도움을 구하는 것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그는 “2018의 재현”을 위해 다시금 판을 짜려는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보면, 트럼프가 이재명 대통령을 초대한 것은 관세나 방위비 분담 문제 때문이 아니다. 그의 진짜 목적은 이재명이 2018년 문재인 대통령이 했던 것처럼 북미 대화의 중재자 역할을 다시 맡을 수 있는지를 시험하려는 것이다. 트럼프의 궁극적 목표는 김정은과 다시 직접 연결되는 통로를 여는 데 있다.
트럼프에게 중요한 것은 미국의 전략적 유연성을 확보할 만큼 동북아를 잠시 안정시키는 것이다.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만들기 위해, 워싱턴은 중국과의 미래 충돌 준비를 방해할 수 있는 북한을 반드시 관리해야 한다. 그러나 여기서 그의 딜레마가 드러난다. 국제정치학의 기본 원리, 즉 현실주의가 말하는 바에 따르면, 주권과 권력은 궁극적으로 군사력에 기반한다. 그 어떤 국가보다 이 원리를 집요하게 구현하는 나라가 바로 북한이다.
트럼프의 문제는 평양은 매수되거나, 뇌물로 움직이거나, 강압으로 굴복할 수 있는 국가가 아니란 점이다. 북한의 주권은 협상의 대상이 아니다.
대한민국의 주권도 절대 협상의 대상이 아니다란 것을 이재명 대통령이 당당하게 보여 줄 것을 기대한다.
Photo Credit:Korean Confederation of Trade Union
Why Is Trump Inviting President Lee Jae Myungmyung for a Summit?
The first reason is simple: Washington has failed to defeat Lee Jae Myung. Despite vigorous efforts—not only from Biden and Trump’s officials but also from the U.S.–Korea far-right coalition—Koreans elected Lee. At this point, there is no sense in refusing to recognize him.
What Washington truly fears is the Korean people’s capacity for mass mobilization, epitomized by the candlelight revolution—the revolution of light—that has repeatedly ousted autocratic leaders by bringing millions into the streets. This fear is not abstract. During tariff negotiations, the Korean negotiating team reportedly showed a photo of millions of citizens protesting, a gesture that left a strong impression on Trump’s team.
I will return to this theme later. For now, it is enough to highlight one important reason behind Trump’s decision to seek a summit with Lee.
"How is Chairman Kim Jong-un? Why is North Korea not coming to the negotiation table with the U.S.?” During tariff talks, Trump reportedly asked Korean negotiators, “His repeated inquiries about Kim reveal his true preoccupation: reviving the momentum of the 2018 Trump–Kim summits. Yet Pyongyang has made it clear that it has no interest in repeating failed negotiations, rejecting both U.S. and South Korean overtures as nothing more than a rehash of 2018.
If the agenda were only tariff negotiations or increased defense cost-sharing, there would be little reason for a face-to-face summit with President Lee. The deeper motive lies elsewhere—North Korea. In fact, the elephant in the room at the upcoming Lee–Trump summit will be Pyongyang.
North Korea’s centrality to Trump’s calculations is unmistakable:
(1)Alongside Russia and China, it is one of the three states with both the intention and capability—individually and collectively—to challenge U.S. military hegemony.
(2)Unlike Moscow or Beijing, North Korea is the only one that openly threatens the U.S. mainland, both rhetorically and with credible capability. This is why Trump often reminds audiences that Pyongyang is a nuclear-armed state and stresses the need for Washington to “get along” with such a power.
(3)The strategic problem for Washington becomes acute in the event of war over the Taiwan Strait. Bound by a defense treaty with China, North Korea could strike U.S. Forces Korea, opening a second front and pushing the conflict toward global war.
(4)With North Korean and Chinese fleets already pressuring U.S. bases across the Pacific, Washington could be forced to retreat from the first and second island chains and even from Okinawa, Guam, and Hawaii. In such a scenario, North Korea emerges as the critical link among America’s adversaries.
(5)Analysts widely expect that Pyongyang would intervene in any Taiwan conflict, citing its precedent of supporting Russia in the Ukraine war. Should U.S. forces in Korea attack China, North Korea could retaliate against American bases, splitting the war into dual fronts and making U.S. operations exponentially more difficult.
(6)This is why assessments such as “North Korea’s Rising International Standing: Need for Unified and Comprehensive Diplomacy” are not exaggerations. Pyongyang is now acknowledged as a strategic state and potential nuclear power. Under Trump’s “multipolar” order, it emerged as a decisive factor in great-power security bargaining. Its international stature is higher than many assume and cannot be ignored.
It is precisely to prevent such a scenario that Washington has long sought to manage or improve relations with Pyongyang. This logic drove Trump’s first-term summits with Kim—and it explains why he now seeks President Lee’s help in recreating “2018 again.”
Seen in this light, Trump’s invitation to President Lee Jae Myung is less about tariffs or defense burden-sharing and more about testing whether Lee can reprise Moon Jae-in’s 2018 role as a facilitator of U.S.–North Korea talks. Trump’s ultimate goal remains a direct channel back to Kim Jong-un.
For Trump, the imperative is to stabilize Northeast Asia just long enough to secure U.S. strategic flexibility. To “Make America Great Again,” Washington must prevent North Korea from undermining preparations for a future confrontation with China. Yet here lies his dilemma. International Relations 101 reminds us of a Realist principle: sovereignty and power ultimately rest on military capability. No state embodies this principle more fiercely than North Korea.
Trump’s problem is that Pyongyang cannot be bought, bribed, or coerced; its sovereignty is non-negotiable.
I urge President Lee Jae Myung to boldly demonstrate that South Korea’s sovereignty is absolutely non-negotiable as well.
Photo Credit:Korean Confederation of Trade Union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