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의원 20명, 조지아주 배터리 공장 대규모 이민 단속 비판.
트럼프의 이민 정책 쇼에 인질이 되어 사슬에 묶이고 체포된 300명의 한국 노동자들 위해 촛불을 밝힌다.
20 U.S. lawmakers criticize large-scale raids targeting Korean workers at a Korean battery plant in Georgia.
l light a candle for 300 Korean workers who were chained, arrested, and taken hostage in Trump’s immigration policy spectacle.
Photo Credit: Donghwa Buddhist Temple, Daegu, South Korea, D. Jaeger. 대구 동화사
트럼프의 이민 정책 쇼에 인질이 되어 사슬에 묶이고 체포된 300명의 한국 노동자들을 위해 촛불을 밝힌다.
과거에는 미국으로 가는 일이 가장 설레는 경험이었다. 이는 개인의 일이 아니라 온 가족과 친구, 친척 모두가 함께 축하하고 기원하는 일이었으며, 많은 이들이 부러워하는 일이기도 했다. 외국인 학생으로서 처음 미국에 도착했을 때의 설렘과 기쁨, 그리고 오랜 준비 끝에 비자를 받고 로스앤젤레스 국제공항에 도착하며 느꼈던 포부가 아직도 생생하게 기억난다.
그런 점에서 미국에 와서 공장을 세우고 ‘미국을 위대하게 만드는’ 데 기여하려던 한국 노동자들이 체포되며 구금되는 참혹한 현실은 상상조차 어렵다. 이번 사건은 단순한 법 집행이 아니라 트럼프 행정부의 이민 정책을 과시하기 위한 정치적 연출에 다름없으며, 인질 사태에 비견할 만한 사안으로 평가된다. 이번 단속은 이재명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 1,500억 달러 신규 투자(기존 3,500억 달러에 추가)를 약속한 지 불과 며칠 만에 발생했으며, 한미 관세 협상과 맞물려 한국에 사실상 백지 수표를 요구하는 성격을 띠고 있다.
2025년 9월 4일, 미국 당국(HIS, ICE, DEA, 조지아주 순찰대)은 조지아에 있는 현대-엘지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에서 군사 작전과 같은 단속을 실행했다. 이 공장은 바이든 행정부의 대표적 프로젝트였으나, 트럼프 행정부의 단속으로 그 서사가 훼손되었다. 총 475명이 체포되었으며, 당국은 다수가 비자 위반을 한 한국인이라고 밝혔다. 이는 미국 역사상 한국 기업을 대상으로 한 첫 대규모 단속으로, 미국이 ‘메이드 인 아메리카’ 외국인 투자를 요구하면서도 이를 수행할 숙련된 한국 노동력은 차단한다는 구조적 모순을 여실히 보여준다.
이에 대응하여 이재명 대통령은 체포된 노동자들의 구출을 위해 총력 대응을 지시했으며, 조현 외교부 장관은 무거운 책임을 표명하고 필요 시 워싱턴 방문 의사를 밝혔다. 9월 5일 외교부 대변인 이재웅은 “우리 기업의 경제 활동과 국민의 권리가 미국 법집행 과정에서 부당하게 침해되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한국 정부는 워싱턴 대사관과 애틀랜타 총영사관에서 영사 직원을 파견하고 긴급 태스크포스를 가동하며, 이번 문제를 개별 사건이 아닌 구조적 문제로 인식하고 있다.
기업들도 대응하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구금된 직원들의 신속한 석방을 위해 모든 노력을 다하고, 미국 출장을 전면 중단했다. 현대차는 법규 위반에 대해 무관용을 강조하면서도, 체포된 이들이 회사의 직접 고용 직원이 아님을 분명히 밝혔다. 현대, LG, SK, 삼성 등 한국 기업들은 배터리, 반도체, 조선 등 미국 산업에 5천억 달러 이상을 투자하고 있다.
이번 단속은 단순히 법적 문제가 아니라 노동자들을 ‘불법’ 상황으로 몰아넣는 구조적 현실을 보여준다. 미국의 이익을 위해 파견된 노동자들이 이제 범죄자로 취급받고 있는 것이다. 미국은 오랫동안 이러한 관행을 묵인해왔지만, 트럼프는 이를 정치적 연출로 무기화하며 경제적 현실보다 이민 단속이 우선임을 입증했다. 한국 기술자는 필수적이지만, 미국의 노동력 부족과 엄격한 비자 규정은 심각한 병목을 초래한다. 한국 전용 비자가 없고, ‘파트너 위드 코리아 법안’은 통과되지 못했으며, H-1B 비자 연간 한도 85,000명은 다수 직종을 제외하고, B1/ESTA 단기 비자는 점차 ‘불법 취업’으로 간주된다. 결과적으로 한국 기업은 임시 비자에 의존할 수밖에 없으며, 이는 체포, 추방, 프로젝트 지연으로 이어질 위험이 크다. 미국 노동자들은 엄격한 기한 내에 첨단 공장을 건설할 수 없기 때문에, 한국 기업들은 우회 방법을 동원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한국의 항의에 거의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9월 5일 트럼프 대통령은 조지아 단속을 옹호하며 “그들은 불법 이민자였으며, ICE는 단지 임무를 수행한 것뿐”이라고 밝혔다. 같은 날, 마르코 루비오 국무장관은 해외에서 미국인을 부당하게 구금한 개인이나 단체에 제재를 부과하는 전례 없는 행정명령을 발표하며 “미국인을 협상 카드로 이용하는 자는 대가를 치를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이번 행정부가 ‘미국 우선’이 아닌 ‘미국인 우선’을 구현하고 있음을 강조했다. 그의 발언은 한미 관세 협상과 한국인 대규모 체포가 동시에 이루어진 가운데, 사실상 서울에 대한 압력으로 해석된다. 관찰자들은 이중 잣대를 지적한다. 미국은 국내에서 한국인과 외국인을 구금하면서, 해외에서는 미국인이 구금되는 것을 결코 용납하지 않으려 한다.
한국내 반응은 강력하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KCTU)은 이번 단속을 과도하고 위선적이라고 규탄하며, “투자를 요구할 때는 우리를 환영하고, 편리할 때는 희생양으로 삼는 것은 갱단 행동과 다름없다”고 비판했다. 국민주권당도 이번 체포를 관세 협상에서 용납할 수 없는 압력으로 규탄하며, 구금된 한국인들의 즉각적인 석방을 요구했다. 또한 이러한 상황에서 700조 원 규모의 미국 투자 지속이 현명한 선택인지 강하게 의문을 제기했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할 때, 한국 기업들은 건설을 무기한 중단하거나 아예 취소하는 것을 진지하게 검토해야 한다. 미국에 있는 한국인들은 구금된 이들과 연대하며, 그들의 신속한 석방을 강력히 촉구해야 한다. 모든 가능한 방법을 동원해 이 노동자들을 지원해야 한다.
사슬에 묶이고 체포된 300명의 한국 노동자들을 위해 다시 한 번 촛불을 밝히며 그들의 안전과 석방을 기원한다.
JNC TV
[속보] 연방의원 20명, 조지아주 배터리 공장 대규모 이민 단속 비판
연방의원 20명, 조지아주 배터리 공장 대규모 이민 단속 비판 -CAPAC 의원·상원 앤디 김·조지아주 민주당 연방 하원의원 5명 서명 -체포 명단에 시민권자·영주권자 포함 -무분별한 단속으로 가족 갈라지고 경제 피해·국제 신뢰 훼손 -체포된 노동자들에게 적법한 절차 보장 요구
I light a candle for the 300 Korean workers who were chained, arrested, and taken hostage in Trump’s immigration policy spectacle.
In the good old days, coming to America was the most exciting experience. It wasn’t just for yourself—your entire family, friends, and relatives shared in the well-wishes. Many people would envy you. I recall my own arrival in America as a foreign student. I still remember the excitement, joy, and aspirations I felt after years of preparation when I finally received my visa and landed at Los Angeles International Airport.
I cannot fathom the horror and trauma experienced by the Korean workers who came to America to build factories and contribute to making America great, only to be raided, arrested, and detained—all for the sake of showcasing Trump’s immigration policy.
This is akin to a hostage crisis. The raid came just days after President Lee Jae Myung met Trump, pledging $150 billion in new U.S. investments on top of $350 billion earlier. The crackdown appeared linked to tariff negotiations, during which lowering U.S. tariffs on Korean imports from 25% to 15% was discussed, with the Trump administration demanding South Korea sign a blank check.
Here are quick updates and facts, along with key takeaways.
On September 4, U.S. authorities, including HSI, ICE, DEA, and the Georgia State Patrol, staged a military-style raid at the Hyundai–LG battery plant construction site in Georgia. The Georgia factory, which had been a showcase project of the Biden administration, is now undermined by Trump’s crackdown narrative. A total of 475 people were arrested, with officials claiming that many were South Korean nationals who had violated their visa status. This was the first large-scale enforcement action in U.S. history against a Korean company. The situation highlights a structural contradiction: the U.S. demands “Made in America” foreign investment but blocks the skilled Korean labor needed to deliver it.
In response, President Lee Jae Myung ordered “all-out efforts” to resolve the arrests. Foreign Minister Cho Hyun expressed “heavy responsibility” and indicated readiness to travel to Washington if necessary. On September 5, Foreign Ministry spokesperson Lee Jae-woong declared, “The economic activities of our companies and the rights of our nationals must not be unjustly infringed during U.S. law enforcement.” Korea dispatched consular officials from its Embassy in Washington and the Consulate in Atlanta and launched an emergency task force. The Korean government frames the issue as systemic, not isolated.
Corporate responses followed. LG Energy Solution pledged to secure the release of detained employees and suspended all U.S. business trips for its staff. Hyundai emphasized zero tolerance for legal violations but noted that none of the detainees were directly employed by the company. Collectively, Korean firms such as Hyundai, LG, SK, and Samsung are investing over $500 billion in U.S. industries, including batteries, semiconductors, and shipbuilding.
The crackdown reveals a deeper structural reality: this is not simply about legality, but about conditions that push workers into “illegality.” Workers sent to build factories that benefit the U.S. are now treated as criminals. While the U.S. has long tolerated this practice, Trump weaponized it for political theater, demonstrating that immigration enforcement takes precedence over economic realities. Korean technicians are essential, yet U.S. labor shortages and restrictive visa rules create severe bottlenecks. Structural problems include the absence of a Korea-specific visa (unlike Australia, Singapore, or Chile), the failure of the proposed Partner with Korea Act to pass, the limited H-1B cap of 85,000 annually that excludes many trades, and the increasing treatment of B1 and ESTA short-term visas as “illegal employment.” The result is heavy reliance on temporary visas, which risks arrests, deportation, and project delays. U.S. workers cannot construct such advanced factories under strict deadlines, forcing Korean firms to resort to workarounds.
Washington has shown little concern for Seoul’s protests. On September 5, President Trump defended the Georgia raid, stating, “They were illegal immigrants, and ICE was simply doing its job.” The same day, Secretary of State Marco Rubio announced an unprecedented executive order imposing sanctions on individuals or groups involved in the wrongful detention of Americans abroad. Rubio warned, “Anyone who uses Americans as bargaining chips will pay the price. This administration is implementing not just ‘America First,’ but ‘Americans First.’” His statement, coinciding with Korea–U.S. tariff negotiations and the mass arrests of Korean nationals, was widely viewed as a means of pressuring Seoul. Observers noted the double standard: Washington detains Koreans and other foreigners at home, yet insists Americans abroad must never be detained.
Domestic reaction in Korea has been fierce. The Korean Confederation of Trade Unions (KCTU) condemned the raid as excessive and hypocritical, stating, “To embrace us when investment is needed, then scapegoat us when convenient, is nothing short of gangster behavior.” The People’s Sovereignty Party denounced the arrests as an intolerable leverage tactic in tariff negotiations, calling for the immediate release of the detained Korean nationals. The party also questioned the wisdom of continuing ₩700 trillion in U.S. investments under such conditions.
Given the circumstances, Koreans should consider suspending construction indefinitely—or canceling it outright. Koreans in the United States should stand in solidarity with those detained and advocate for their swift release. Let us do everything we can to support these workers.I lit a candlelight vigil for the 300 Korean workers who were chained, arrested, and detained.
JOINT STATEMENT FROM CAPAC, GEORGIA MEMBERS ON GEORGIA IMMIGRATION RAID
"We are deeply alarmed by the recent immigration raid at a battery plant in Georgia. Hundreds of immigrants- many of whom are of Korean descent-have been detained, reportedly including U.S. citizens and lawful permanent residents. Instead of targeting violent criminals, the Trump administration is going after immigrants at work and in communities of color to meet its mass deportation quotas. These senseless actions rip apart families, hurt the economy, and undermine the trust of our global partners. We are closely monitoring the situation and demanding the administration uphold due process for the workers impacted."
The joint statement was signed by 20 Members of Congress, including CAPAC Chair Grace Meng (NY-06); Senator Andy Kim (NJ); Reps. Mark Takano (CA-39); Jill Tokuda (HI-02); Ami Bera (CA-06); Suhas Subramanyam (VA-10); Judy Chu (CA-28); Dan Goldman (NY-10); Pramila Jayapal (WA-07); Doris Matsui (CA-07); Dave Min (CA-47); Bobby Scott (VA-03); Marilyn Strickland (WA-10); Shri Thanedar (MI-13); Derek Tran (CA-45); and all five members of Georgia’s Democratic House Delegation, Reps. Sanford Bishop (GA-02); Hank Johnson (GA-04); Lucy McBath (GA- 06); David Scott (GA-13); and Nikema Williams (GA-05).
Source: JNC TV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