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예 계약 거부”와 “경제적 계엄 거부”: 한국을 파산시킬 수 있는 미 3,500억 달러 갈취를 거부하라

“Say No to a Slave Contract” and “Say No to Economic Martial Law”: Reject the U.S. $350 Billion Extortion That Could Bankrupt Korea
>

나는 결심했다. 비록 형식상 노예로 남아 있을지라도, 실제로 노예일 수 있는 날은 이제 영원히 지나갔음을. 나를 채찍질하려는 백인은 나를 죽이기까지 성공해야 한다는 사실을 나는 주저 없이 알렸다.”



맞다. 당신을 괴롭히고 채찍질하는 자는 실제로 당신을 죽일 수 있다. 그때는 이미 너무 늦다—당신은 시체가 될 뿐이다. 지난주, 나는 학생과 함께 프레더릭 더글라스의 노예 생활 기록을 읽으며 이 생각을 떠올렸다. 삶의 일부 투쟁은 문자 그대로 생존의 문제, 즉 생사와 직결된다. 그리고 국가에게도 마찬가지다. 명백한 사례가 바로 트럼프가 한국에 가하는 최신 ‘채찍질’이다—관세를 이용한 경제적 압박이다.



트럼프 행정부가 수행하는 일은, 경제력을 제국적 목적을 위해 한국에 무기화하는 것으로, 사실상 금수 조치와 제재 체제와 다름없다. 이는 한국의 생존 자체를 위협하는 행위다. 이번 요구는 무역이나 관세와는 아무 관련이 없으며, 한국을 직접 겨냥한 노골적 경제 약탈 행위다. 이런 의미에서, 워싱턴의 ‘채찍질’은 국가 자체를 위협하는 데 성공할 수도 있다.



트럼프는 서울이 3,500억 달러를 “선지급”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는 한국 연간 정부 예산의 약 74퍼센트에 해당하며, 최근 5년간 한국의 전 세계 외국인 직접투자 총액을 넘어선다. 더욱이 워싱턴은 그 이익의 90퍼센트를 요구한다고 전해진다. 서울에서라면 누구나 이 조건이 받아들일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45일 내에 이러한 금액을 전달하는 것은 경제적 자살 행위다. 트럼프의 첫 ‘자본 호출’ 3,500억 달러만으로도 이미 국가 재정을 말살할 위협이 존재한다. 이를 충족하려면 한국은 4,100억 달러의 외환보유액 중 84퍼센트를 거의 하루아침에 내보내야 하며, 이는 외환 위기를 불러올 수 있다. 그리고 여기서 끝나지 않는다. 지금까지 공개된 요구만 이미 총 6,850억 달러를 넘는다.



이는 바로 1997년 IMF 위기가 시작된 방식과 같다. 갑작스러운 외환 부족으로 원화가 폭락하며, 달러당 1,400원이던 환율이 거의 두 배로 뛰었다. 같은 상황이 반복된다면 한국 시민과 기업 모두가 경제적 지옥으로 떨어질 수 있다. 한국인들은 여전히 1997년 IMF 위기의 트라우마를 안고 있다. 많은 이들이 완전히 회복하지 못했고, 파산한 기업과 가계, 실업과 부채에 시달린 청년들은 저임금 노동으로 내몰렸으며, 가계 부채는 위험한 수준으로 치솟았다. 이후 윤석열 정부가 들어서면서 경제는 더욱 약화됐다. 한국인은 빛의 혁명을 통해 간신히 침몰하는 국가를 구했고, 결국 이재명 대통령을 선출했다.



이러한 압력 속에서도 이재명 정부는 조용히 저항하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은 9월 22일 로이터 인터뷰에서, 만약 워싱턴의 요구에 굴복한다면 국가가 1997년과 맞먹는 위기를 맞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비자 문제 등 기본적인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한국의 미국 투자 프로젝트가 동결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 국가안보실장 역시 이러한 요구를 한 번에 충족할 수 없다고 전했다.



국회도 맞서고 있다. 일방적인 미국 투자 요구를 반대하는 결의안이 신속하고 광범위한 지지를 얻고 있다. 민주당, 진보당, 재건한국당, 기본소득당 등 65명의 의원이 워싱턴의 3,500억 달러 최후통첩 철회를 촉구하는 결의안에 공동 발의자로 참여했다. 진보당 의원 윤종오가 제안을 시작했으며, 진보당은 9월 23일부터 미국 대사관 앞에서 시위를 이어가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은 현재 새로 선출된 한국 지도자에게 워싱턴이 가하는 가장 혹독한 압력에 직면해 있다. 이 순간, 국가 전체가 한 목소리로 트럼프 행정부의 강압적 전술에 맞서야 한다.



한국보다 경제 규모가 큰 일본과 유럽연합이 굴복한 상황에서, 한국만이 이재명 대통령 아래 조용히 저항하며 트럼프에게 직접 도전하고 있다는 사실은 워싱턴에 용납될 수 없다. 이것이 바로 문제의 핵심이다.



나는 역사가 작고 겉보기에 힘없는 사람들에 의해 만들어진다고 믿는다. 한국인들은 지금 바로 그 역할을 맡아야 한다. 국가와 세계가 지켜보고 있다. 워싱턴의 강력한 압박은 오히려 한국인들이 미국에 맞서 독자적인 길을 걸어갈 힘이 되어야 한다. 이재명 대통령은 국민을 믿고, 이 착취적 미국 요구를 단호히 거부해야 한다. 이재명 대통령은 미국 상무장관에게 한국이 “노예 계약”에 서명하지 않을 것이라고 이미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의 조용한 저항은 “굶주린 사자의 굴”에서 벗어나기 위한 국제적 연대가 필요하다.



프레더릭 더글라스가 노예 생활에서 성공적으로 탈출한 후를 다시 떠올리자.



자유 주에 도착했을 때 내가 어떤 기분이었는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대답할 수 없다. 그것은 내가 경험한 가장 큰 흥분의 순간이었다. 나는 마치 굶주린 사자의 굴에서 탈출한 것처럼 느꼈다.”

“Say No to a Slave Contract” and “Say No to Economic Martial Law”: Reject the U.S. $350 Billion Extortion That Could Bankrupt Korea

I now resolved that, however long I might remain a slave in form, the day had passed forever when I could be a slave in fact. I did not hesitate to let it be known of me that the white man who expected to succeed in whipping me must also succeed in killing me.”


Yes, the person who bullies and whips you like that can kill you. Then it would be too late—you would be a corpse. That was my thought last week when I read Narrative of the Life of Frederick Douglass, an American Slave with my student. Some struggles in life are literally matters of life and death: pure survival. The same can be true for a nation. A clear case in point is Trump’s latest “whipping” of Korea—tariff bullying against the country.



What the Trump team is doing—weaponizing economic power for imperial ends against Korea—amounts to an embargo and a sanction regime in all but name. It threatens Korea’s very survival. This latest demand has nothing to do with trade or tariffs; it is a naked act of economic plunder aimed squarely at Korea. In this sense, Washington’s “whipping” can succeed in threatening the nation itself.



Trump is insisting that Seoul pay $350 billion “up front.” That figure equals roughly 74 percent of Korea’s annual government budget and exceeds the nation’s total global foreign direct investment over the past five years. Worse, Washington reportedly expects 90 percent of the profits in return—terms that anyone in Seoul can see are untenable.



Handing over such a sum within 45 days would be economic suicide. Trump’s first “capital call” of $350 billion already threatens to gut the nation’s finances. Meeting it would require Korea to ship out 84 percent of its $410 billion in foreign reserves almost overnight, inviting a catastrophic foreign-exchange crisis. And it will not end there: demands disclosed so far already total over $685 billion.



This is precisely how the 1997 IMF crisis began—a sudden shortage of foreign currency drove the won into freefall, doubling the exchange rate from ₩1,400 per U.S. dollar to nearly twice that level. A repeat would plunge Korean citizens and businesses alike into an economic hellscape. Koreans still carry trauma from the 1997 IMF crisis. Many never fully recovered—bankrupt businesses, young people who grew up in households ravaged by layoffs and debt were pushed into low-wage labor, while household debts soared dangerously. Then came Yoon Suk-yeol, who further weakened Korea’s economy. Koreans barely rescued the sinking nation through the Revolution of Light and elected Lee Jae-myung.



Despite this pressure, the Lee administration is resisting quietly. President Lee Jae-myung warned in a September 22 Reuters interview that the nation could face a crisis rivaling 1997 if it bows to Washington’s demands. Prime Minister Kim Min-seok has stated that Korean investment projects in the U.S. will remain frozen until basic issues—such as visa access—are resolved. South Korea’s own National Security Advisor has said the country cannot possibly meet such a demand at once.



The National Assembly is also pushing back. A resolution opposing the unilateral U.S. investment demand has drawn swift, broad support. Sixty-five lawmakers—including members of the ruling Democratic Party, the Progressive Party, the Rebuilding Korea Party, and the Basic Income Party—have co-sponsored a motion urging Washington to withdraw its $350 billion ultimatum. Progressive legislator Yoon Jong-oh initiated the proposal, and the Progressive Party has maintained a sit-in outside the U.S. Embassy since September 23.



President Lee now faces the most brutal pressure Washington has ever directed at a newly elected Korean leader. At this moment, the nation must speak with one voice to resist the Trump administration’s strong-arm tactics.



That economies larger than Korea’s—Japan and the European Union—have capitulated, while Korea under President Lee is quietly resisting and posing a direct challenge to Trump, is unacceptable to Washington—that is the real problem.



I believe that history is made by the small and the seemingly powerless. Koreans must assume that role now. The country—and the world—are watching. Washington’s intensified coercion should empower Koreans to stand up against the United States and chart an independent path. President Lee must trust the people and refuse this exploitative U.S. demand outright. President Lee Jae-myung reportedly told the U.S. Secretary of Commerce that Korea will not sign a “slave contract.” Korea’s quiet resistance deserves global solidarity to escape from “a den of hungry lions.”



Returning to Frederick Douglass after his successful flight from slavery: “I have never been able to answer the question of how I felt when I found myself in a free State. It was a moment of the highest excitement I ever experienced. I felt as one might feel upon escape from a den of hungry lions.”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A Pivotal Moment for U.S. Foreign Policy: Why South Korea’s Democratic Uprising Demands a Rethink
미국 외교정책의 중대한 기로: 왜 한국의 민주항쟁은 외교적 재고를 요구하는가

By Simone Chun


Korea’s 2025 Presidential Election: President Lee Jae-myung and the Democratic Revolution of Light—A Mandate for Sovereignty and Justice
이재명 대통령과 함께 여는 빛의 민주주의, 국민주권 혁명의 시대

“험한 세상에 다리가 되어?”


한국·중국·일본·인도네시아 노동자 석방 위해 조용히 빛난
이재명 대통령의 세계시민적 동북아 연대 정신



“Bridge Over Troubled Waters?”
The Korean government cooperated not only for its own citizens
but also for its Asian neighbors, including China, Japan, and Indones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