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종적 사고를 버려라”: 이재명 대통령의 자주 국방 외교 독트린

“Discard Submissive Thinking”: The Lee Jae-myung Foreign Policy Doctrine of Korea’s Self-Reliance

유엔 방문을 앞두고 이재명 대통령은 한국의 민주주의와 주권을 중시하는 모든 이들에게 촛불혁명의 정신, 즉 자주·독립·주권 국가를 향한 열망을 다시금 강조하며 직접 호소했다.

이 대통령은 최근 비공식 페이스북 글을 통해 한국의 자주 국방과 주권을 핵심으로 한 외교 독트린을 밝혔다. 그는 “완전한 자주국방 태세”를 천명하며 한국이 “외국군 없이는 스스로를 방어할 수 없다”굴종적 사고를 버려야 한다”고 단언했다.


국민을 향한 메시지

페이스북이라는 매체 선택은 그의 주요 독자가 평범한 한국 국민, 특히 촛불혁명을 통해 자신을 선택한 지지층임을 보여준다. 그는 향후 국가가 나아갈 방향을 국민에게 미리 알리고 지지를 결집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워싱턴으로부터의 강력한 압박을 마주하며, 이 대통령은 일찍부터 자신의 비전에 대한 국민적 지지를 확보하려 한다.

그는 담화 전반에서 한국인과 생각을 나누듯 비공식적 어조를 유지하면서도, 미국의 요구와 맞닿은 구체적 정책 과제를 교묘히 드러냈다:

  • 안보·통상 압박: 한국의 국익을 해치는 어떤 합의도 서명하지 않겠다는 기존 입장.
  • 전략적 유연성 요구: 주한미군의 역외 재배치 및 한국군의 역내 작전 참여 요구에 대한 저항과 방위비 분담 문제 제기.
  • 전시작전통제권(OPCON) 환수: 5년 임기 내 미국으로부터 작전권을 이양받아 군사 주권을 되찾겠다는 계획.

논리·감성·신뢰의 수사

이 대통령은 고전적 설득 방식인 로고스·파토스·에토스를 결합해 국방비 증액 비판에 대응하고 더 큰 비전을 제시했다.

그는 먼저 세계 정세를 다음과 같이 진단했다:

“인류가 역사상 가장 긴 평화와 공존의 시기를 지나고 있지만, 이제 전 세계는 갈등과 대립을 넘어 극단적 대결과 대규모 무력 충돌로 향하고 있다.”

이어 로고스에 호소하며 한국의 인구 절벽 문제를 직시했다:

“2040년이 되면 한국군은 27만 명으로 줄고 북한군은 113만 명에 이를 것이다. 병력 자원이 부족한 것은 사실이지만 상비병력의 절대 숫자만으로 우리의 국방력을 걱정할 필요는 없다.”

이 대통령은 한국의 강점을 구체적으로 열거했다. 북한 국내총생산(GDP)의 40%를 웃도는 국방비, 세계 5위 수준의 군사력, 역동적인 경제력, 260만 명의 예비군이 그것이다. 그는 병력을 줄이되 첨단 기술 중심의 “스마트 강군”으로 전환하겠다고 제안했다.


침묵이 드러내는 것

눈에 띄게 언급되지 않은 주제는 북한의 핵무기다. 그의 침묵은 북한의 핵전력이 본질적으로 방어적이며 남침을 위한 것이 아니라는 암묵적 판단을 시사한다.

결국 쟁점은 재래식 전력이다. 이 대통령은 한국의 국방비·경제 규모·인구가 북한을 압도하기 때문에 주한미군 없이도 독자적 방위가 가능하다는 메시지를 전한다.


역사를 소환한 감성

이 대통령은 자주와 주권을 강조하기 위해 노무현 전 대통령의 직설적 비판을 인용했다:

“국방비를 이렇게 많이 쓰는 나라에서 외국 군대 없이는 국방을 못 한다는 인식을 질타하며, 심지어 ‘똥별’이라는 거친 표현까지 쓴 노무현 대통령이 떠오른다.”

자주 국방의 서약

이 대통령은 다음과 같이 다짐했다:

“경제력과 문화력을 포함한 통합 국력을 키우고, 국방비를 늘리며, 사기가 높은 스마트 강군으로 재편하고, 방위산업을 강력히 육성하고, 안보 외교 강화로 다자 안보 협력체계를 확보함으로써 다시는 침략받지 않고 의존하지 않는 나라를 만들겠다.”

이어 다음과 같이 강조했다:

“대한민국은 강하다. 국민은 강하다. 경제 회복과 국민 통합을 바탕으로 강력한 국방 개혁을 신속히 추진해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완전한 자주 국방 체제를 갖추겠다. 우리는 국민의 저력을 모아 위기를 기회로 바꿔 왔고, 촛불과 응원봉을 들고 최고 권력을 이겨 낸 위대한 국민이다. 강력한 국방 개혁으로 완전한 자주 국방 태세를 신속히 갖춰 나가겠다.”

결론

이재명 대통령에게 주권이란 타국이 촉발한 역내 군사 갈등에 끌려가지 않는 것이다.

“굴종적 사고를 버려라.”

“Discard Submissive Thinking”: The Lee Jae-myung Foreign Policy Doctrine of Korea’s Self-Reliance

Just before departing for the United Nations, President Lee Jae-myung appealed to Koreans—and to anyone who values Korea’s struggle for democracy and sovereignty—by invoking the spirit of the Revolution of Light: the quest for an autonomous, independent, and sovereign nation.

In a recent informal Facebook post, Lee outlined his foreign-policy doctrine of self-reliance and sovereignty. Calling for a “complete independent defense posture,” he declared that South Korea must “discard submissive thinking—the notion that Koreans cannot defend themselves without foreign troops.


Preparing the Public

Choosing Facebook as his platform signals that Lee’s audience is primarily ordinary Koreans, especially the supporters who elected him during the Revolution of Light. He appears intent on preparing citizens for the direction he plans to take the country and on rallying early support. Confronted with intense pressure from Washington, Lee is seeking to secure that backing now.

Although his post maintains an informal, almost thinking-aloud tone, it subtly identifies concrete policy challenges, all linked to U.S. demands:

  • Security and trade pressures from the United States, where Lee has already said he will not sign any deal that harms Korea’s national interest.
  • Strategic flexibility—Washington’s push to redeploy American troops in Korea and involve Korean forces in broader regional missions, which Lee signals he will resist.
  • Transfer of wartime operational control (OPCON) from the U.S. to Korea during his five-year term to restore full military sovereignty.

Rhetoric and Reason

Blending the classical modes of rhetoric—logos, pathos, and ethos—Lee set out to answer critics of his defense policy, particularly those alarmed by a rising defense budget, while articulating a broader vision.

He began with a stark warning:

“Humanity is passing through the longest period of peace and coexistence in history, but the entire world is heading beyond conflict and confrontation toward extreme confrontation and large-scale armed clashes.”

Turning to logos, he addressed Korea’s demographic challenge:

“By 2040, South Korea’s military will number 270,000 versus North Korea’s 1.13 million—manpower collapsing under the population cliff. It is true that the population issue is serious and that we currently face a shortage of military manpower, but there is no need to worry about our national defense solely by comparing the absolute numbers of standing troops.”

Lee underscored South Korea’s strengths: a defense budget roughly 40% larger than North Korea’s entire GDP, the world’s fifth-strongest armed forces, a dynamic economy, and 2.6 million trained reserves. He proposed shifting to a smaller, technology-driven “smart force.”


What He Didn’t Say

Notably absent was any direct reference to North Korea’s nuclear weapons. Lee’s silence suggests an implicit belief that Pyongyang’s arsenal is primarily defensive, not designed for an offensive invasion of the South.

For Lee, the real issue lies in conventional forces. He implies that South Korea’s economic scale, defense budget, and population all exceed the North’s, making independent defense feasible without U.S. troops.


Invoking History and Pathos

To strengthen his case for self-reliance, Lee cited former President Roh Moo-hyun, who once condemned military leaders clinging to the belief that foreign armies were essential:

“I’m reminded of President Roh Moo-hyun, who even used the harsh term ‘ddong-byeol’—‘shit stars’ to criticize the notion that a country spending so much on defense cannot protect itself without foreign troops.”

A Pledge of Sovereignty

Lee concluded with a sweeping promise:

“I will build a nation that can never again be invaded and that depends on no one—by strengthening our overall national power, including economic and cultural strength; increasing the defense budget; reorganizing the military into a high-morale, smart, and strong force; vigorously fostering the defense industry; and reinforcing security diplomacy to secure a multilateral security-cooperation system.”

He added:

“The Republic of Korea is strong, and its people are strong. On the foundation of economic recovery and national unity, we will swiftly carry out bold defense reforms to establish a fully self-reliant defense system that allows our citizens to feel secure. We have always turned crises into opportunities through the strength of our people, and we are the great citizens who once defeated the highest power with candles and cheering sticks. We will move swiftly to establish a fully independent defense posture through robust defense reforms.”

Bottom Line

For President Lee, sovereignty means refusing to be dragged into broader regional conflicts triggered by other nations. His guiding principle is clear and unflinching:

“Discard submissive thinking.”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A Pivotal Moment for U.S. Foreign Policy: Why South Korea’s Democratic Uprising Demands a Rethink
미국 외교정책의 중대한 기로: 왜 한국의 민주항쟁은 외교적 재고를 요구하는가

By Simone Chun


Korea’s 2025 Presidential Election: President Lee Jae-myung and the Democratic Revolution of Light—A Mandate for Sovereignty and Justice
이재명 대통령과 함께 여는 빛의 민주주의, 국민주권 혁명의 시대

“험한 세상에 다리가 되어?”


한국·중국·일본·인도네시아 노동자 석방 위해 조용히 빛난
이재명 대통령의 세계시민적 동북아 연대 정신



“Bridge Over Troubled Waters?”
The Korean government cooperated not only for its own citizens
but also for its Asian neighbors, including China, Japan, and Indones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