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본 이재명 정부: A+ 신속 대응으로 한국 노동자 안전 귀환 성취 높이 평가. 트럼프 정부 F. 워싱턴, 한국을 인질로 삼다. 한국 기업, 미국에 약 1,000억 달러 투자—국가 예산의 절반 규모
Korean Workers Shackled in Georgia: Washington’s Racist Hostage Crisis.
Korean Companies Invest Nearly $100 Billion in U.S.—Almost Half of National Budget
미국에서 본 이재명 정부, 신속 대응으로 한국 노동자 안전 귀환 성취 평가
국제사회와 미국 여론, 한국 정부, 한국 노동자·입장에 압도적 지지. 미국 기자, “한국은 다시는 미국 신뢰 안 돼”
조지아에서 족쇄 채워진 한국 노동자들 – 인종차별적 인질 사태. 현대차 급습, 미·한 투자 1,000억 달러 위기 초래.
이번 급습에서 체포된 316명의 한국 노동자들은 “현대/LG 공장에서 벌어진 악랄한 군사식 작전”으로 알려져 있으며, 현재 한국 정부가 지원한 전세기를 통해 귀국하였다. 노동자들은 당시 상황을 이렇게 증언했다. “체포하는 동안 우리 얼굴에 총을 들이밀었고, 손목과 발목에 수갑과 족쇄, 쇠사슬이 감겨 있었다. 식사는 너무 형편없어서 모든 음식을 다 먹을 수 없었다.” “전쟁 포로'처럼 취급…체포 이유도 말해주지 않았다” 이는 명백한 위헌이며, 불법 체포 사례다. 심지어 이민국 역사상 최악의 사태를 최상의 성과인냥 체포과정 동영상을 이민국 스스로 배포했다.
한국 노동자 대부분은 하청업체에 고용된 숙련 기술자로, 특정 기술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고용되었지만, 대부분은 수행할 수 없는 ‘잘못된 비자’를 소지하고 있었다. 트럼프 행정부의 이민 정책 하에서는 적법한 비자를 받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며, 이전에도 몇 달이 걸렸다. 그런데도 한국 노동자들은 극도로 촉박한 일정 속에서 공장을 완성해야 했다.미 당국자들이 합법 비자 소지자가 있다는 사실을 알고도 불법으로 구금한 증거가 드러났다. 트럼프 행정부가 매일 3,000명을 체포하라는 지시가 있었고, 자신들의 단속 실적을 부풀리기 위해 우리 국민을 이렇게 쇠사슬로 묶었다는 게 이 사건의 진실이다.
"H-1B 비자 연간 쿼터는 여전히 85,000명으로, 매년 며칠 만에 소진된다. 대규모 산업 공사에 대한 프로젝트 기반 비자는 존재하지 않는다. 노동자들은 제도적 실패의 희생양으로 범죄자로 몰린다. 구금된 인력 대부분은 직접 고용된 근로자가 아닌 하청 노동자였다. 그럼에도 단속은 이들에게 집중되었을 뿐, 이익을 챙긴 기업이나 브로커들은 대상이 되지 않았다. 쿼터 기반의 단속은 폭력이다. 이민법 위반으로 노동자에게 수갑을 채우는 행위는 비인간적이다. 주요 형사 처벌은 발표되지 않았다. 이번 사건은 정의가 아닌 단지 숫자를 위한 것이었다."
”미국 내 공장 건설에 나선 한국 기업들이 겪는 비자 문제를 한국 정부가 방치했다는 비판이 커지는 가운데, 서울 외교부는 화요일 “트럼프 제2기 행정부 출범 이후, 올해 상반기에만 상·하원 의원 10명을 포함해 총 52회의 외교·교섭 활동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그 결과, 한국 기업들은 숙련된 노동자들에게 거의 완벽한 정확성을 요구하며 공장을 완성하도록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 조지아주에서 체포 구금되었던 대부분의 한인 노동자들은 밀입국자둘도 아니고 체류기간이 만료된 불법체류자/서류미비자들이 아니었다. ESTA 나 방문비자로도 제한적이지만 일을 할 수 있었다.
국제 여론과 미국 내 여론 모두 한국 노동자와 한국의 입장에 압도적으로 동정적이다. 한국 기술자들의 구금은 미국을 더욱 고립시켰다. EU와 독일, 프랑스, 일본 모두 워싱턴을 비판했다. 한국 국민 10명 중 6명은 트럼프 행정부의 한국 노동자 처리 방식을 반대한다.
이코노미스트는 “현대차에 대한 ICE 급습은 거대한 자충수였다”라고 평가했다. 미국의 이번 급습은 정치적, 외교적, 경제적으로 미국의 이익을 해치면서도 원래 목적은 달성하지 못했다.
1. 한국 기업, 미국에 1,000억 달러 투자 – 한국 연간 예산의 절반 수준
한국 기업들은 전기차 공장에서 무기 구매에 이르기까지 미국 내 프로젝트에 약 1,000억 달러를 투자하고 있다. 이러한 투자는 동맹 강화 차원으로 여겨지며, 한국 연간 국가 예산의 절반에 달하는 규모다.
이를 다른 관점에서 보면, 이 금액은 한국의 국가 의료·교육 예산을 1년간 충당하거나, 국민 1인당 약 2,000달러를 지급할 수 있는 수준이다.
이 투자는 약 25만~40만 개 이상의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으며, 인프라 측면에서는 2,500~3,000km의 현대식 고속철도 건설이나 수백 개의 산업단지, 에너지 시설, 기술 캠퍼스를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직접적으로 첨단 제조업 분야에서 약 100만 개의 일자리를 만들어내고, 연관 산업에서 수백만 개의 추가 일자리 파급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나아가 기술과 산업 차원에서는 1,000억 달러로 반도체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고, 재생 에너지 프로젝트를 통해 수천만 가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한국 기업의 미국 투자 현황 (주별): 한국 기업들은 미국 전역에 걸쳐 약 989억 달러 규모의 대규모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주별로 살펴보면, 조지아에는 현대차와 LG에너지솔루션의 배터리 공장(40.7억 달러), 현대차와 SK온의 배터리 공장(57.1억 달러), 한화큐셀 태양광 공장(25억 달러), CJ푸드빌 제과 공장(690만 달러) 등이 자리 잡고 있다. 앨라배마에는 현대전기의 에어리버마린 변압기 공장(1.32억 달러), 루이지애나에는 현대차와 조스코의 전동기 공장(57.1억 달러)이 건설 중이다. 테네시에는 SK온과 포드의 배터리 공장(112.9억 달러), LG화학 양극재 공장(14.3억 달러), 삼성SDI와 스텔란티스의 배터리 공장(27.1억 달러), SK실트론의 웨이퍼 공장(4.29억 달러)이 들어섰다. 켄터키에는 롯데알루미늄과 롯데인화 공장(2.14억 달러), 버지니아에는 LS전선 잠수함 케이블 공장(7.14억 달러), 펜실베이니아에는 한화오션 필라델피아 조선소(50억 달러)가 있다. 오하이오에는 LG에너지솔루션과 혼다의 배터리 공장(37.1억 달러), 포스코케미칼 양극재 공장(21.4억 달러), 미시간에는 삼성SDI와 스텔란티스의 배터리 공장(14.3억 달러)이 조성됐다. 사우스다코타에는 CJ제일제당 식품 공장(1.79억 달러), 인디애나에는 삼성SDI와 스텔란티스의 배터리 공장(27.1억 달러), 삼성SDI와 GM의 배터리 공장(35억 달러), SK하이닉스 첨단 패키징 공장(38.6억 달러)이 건설 중이다. 애리조나에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배터리 공장(50억 달러), 텍사스에는 삼성전자 파운드리 공장(364.3억 달러)이 들어서며, 이는 단일 투자 규모로 가장 크다. 이처럼 한국 기업들의 미국 내 투자는 전기차, 배터리, 반도체, 조선, 에너지 등 핵심 산업 전반에 걸쳐 이루어지고 있으며, 총액은 약 989억 달러에 달한다.
출처: 고은광순 페이스북
이번 급습은 조지아에서 가장 크고 주목받는 제조 현장을 목표로 삼았다. 주지사와 다른 관계자들은 이를 주 역사상 최대 경제 개발 프로젝트로 홍보했다. 현대차 그룹은 1년 전 이 76억 달러 규모의 공장에서 전기차를 생산하기 시작했으며, 약 1,200명을 고용하고 있다. 이 부지는 장기적으로 총 8,500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대 메타플랜트 아메리카(및 LG와의 배터리·EV 단지)는 완전 가동 시 브라이언 카운티에서 8,500개의 일자리를 제공할 계획이었다. 현대차 CEO 호세 무뇨즈는 이번 급습으로 공장 가동이 최소 2~3개월 지연될 것이라고 미국 언론에 밝혔다. 그는 한국으로 돌아가려는 직원들의 공석을 어떻게 채울지 고민 중이라고 덧붙였다.
2. 현대차 급습, 한·미 무역협상 압박 시점과 맞물려 – 트럼프 25% 관세 경고: ‘3500억 달러 내지 않으면 높은 관세 부과’
급습 시점은 의미심장하다. 한국 관세 협상단이 워싱턴에서 상세한 협상에 돌입한 직후였다. 양측이 15%로 관세를 낮추기로 합의했음에도, 여전히 한국 자동차에는 25% 관세가 적용되고 있다. 공식적으로는 행정 절차상의 지연으로 설명되지만, 실제로는 압박 수단으로 보인다. 미국은 한국의 투자와 수출을 활용해 무역 협상에서 양보를 얻고자 한 것이다.
3. 워싱턴, 한국을 인질로 삼다
조지아 급습은 자본과 산업에 대한 조공을 바치면서 한국 노동자가 수갑과 족쇄를 찬 채 미국 관중 앞에 끌려가는 극명한 불균형을 드러냈다. 1,000억 달러가 투자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 노동자는 마치 테러리스트나 마약 범죄자처럼 취급되었다. 이번 급습은 노동자를 모욕하고 깊은 트라우마를 남겼다. 한국은 미국 자본과 군사력의 부속물로 전락하고 있다. 사실상 한국 전체가 미국의 인질이 된 것이다. 한국 연간 국가 예산의 절반이 미국에 투자되고, 외환보유액은 고갈되며, 막대한 금액이 무기 구매에 강제 사용되고, 공장은 미국에 건설·양도되며, 국내 투자는 흡수된다. 한국 내 제조업은 정체되고, 일자리는 사라진다. 5,000년 역사를 가진 주권국가가 전쟁과 약탈의 인질로 잡혀 있는 셈이다. 미국이 한국을 글로벌 전략을 위한 족쇄와 인질로 삼으려는 논리와 맞닿아 있다.
4. 한국, 강경하게 나설 때
조지아에서 발생한 300명 이상의 한국 노동자 인질 사태는 한국이 주권을 회복하고 국가적 지렛대를 활용해 협상력을 강화할 수 있는 전례 없는 기회를 만들었다. 수십 년간 한국을 취재한 베테랑 미국 언론인 팀 쇼록(Tim Shorrock)은 이렇게 말했다.
“이른바 ‘동맹’을 깨야 할 때다… 한국은 다시는 미국을 신뢰해서는 안 된다. 트럼프의 폭언은 잊고 주권과 경제·노동 리더십을 위해 당당히 서라. 한국 독립을 지지하는 우리는 끝까지 연대할 것이다.”
이제 이재명 대통령은 방위비 분담과 관세 협상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위협에 서두르지 말고, 한국의 주권과 국가 이익을 지켜야 할 시점이다. 대통령의 지지율은 66%로 견고하다.
Lee Jae Myung Secures Safe Return of Korean Workers! Korean Workers Shackled in Georgia – A Racist Hostage Crisis.
The Hyundai Raid Backfired on the U.S., Putting $100B of Korean Investment at Risk. International and American public opinion overwhelmingly sympathizes with Korean workers and supports Korea’s position: “South Korea should never trust the United States again.”
316 South Korean workers arrested in the raid—the “vicious, military-style operation at the Hyundai/LG plant”—have now been returned home via a Korean government–sponsored charter plane. “During the arrest, they just shoved a gun in our faces. We saw handcuffs, shackles, and chains wrapped around our bodies. The food was so terrible that we couldn’t finish every meal.” These were the testimonies of the workers. The most notorious and harsh detention facility in the U.S. was not a center for investigation—it was a prison for criminals. The immigration authorities themselves even released videos of the arrests, portraying what was arguably the worst incident in the history of the agency as if it were a major achievement.
A majority of the Korean workers—most of them skilled technicians hired by subcontractors to perform specific technical tasks—hold VISAs, but “wrong visas” that do not permit the work they were hired to do. Under Trump’s immigration policy, obtaining the proper visas is nearly impossible; even before, the process would take months. "The H-1B visa cap remains at 85,000 per year, exhausted within days. No project-based visa exists for large-scale industrial construction. Workers are criminalized for systemic failures. Many detained were subcontracted laborers, not direct hires. Yet enforcement targeted them—not the corporations or brokers who profited. Quota-driven raids are violence. Shackling workers for immigration violations is inhumane. No major criminal charges were announced. This was about numbers, not justice."
Evidence has emerged that U.S. authorities illegally detained individuals despite knowing they held valid visas. The truth of this incident is that the Trump administration had issued orders to arrest 3,000 people daily, and our citizens were shackled in this way to inflate their enforcement numbers.
Meanwhile, Koreans were forced to complete the factory under an extremely tight deadline. As a result, Korean companies relied on these skilled workers to finish the factory with virtually no margin for error.
International public opinion, as well as American domestic opinion, overwhelmingly sympathizes with Korean workers and Korea’s position. The detention of Korean technicians has further isolated the U.S. The EU, Germany, France, and Japan have all criticized Washington. Six out of ten Koreans oppose the Trump administration’s treatment of Korean workers.
The Economist says, “The ICE raid at Hyundai was a massive own goal.” The U.S. raid ended up harming American interests—politically, diplomatically, and economically—rather than achieving its intended objective. Here are the reasons why:
(1) Korean Companies Invest $100B in the U.S.—Nearly Half of South Korea’s National Budget
Korean companies are currently investing close to $100 billion across U.S. projects, from electric vehicle plants to weapons purchases. These investments are framed as alliance-building—an amount nearly half of South Korea’s annual national budget. This amount could fund all of Korea’s national healthcare or education budgets for an entire year, or provide about $2,000 to every South Korean citizen. To put it in perspective:
This investment could create between 250,000 and 400,000 jobs, while in terms of infrastructure, it could support the construction of 2,500 to 3,000 kilometers of modern high-speed rail or hundreds of industrial complexes, energy facilities, and technology campuses. It could also directly generate about one million jobs in advanced manufacturing, with spillover effects creating millions more in related industries. Furthermore, in the fields of technology and industry, $100 billion could establish a complete semiconductor ecosystem and drive renewable energy projects capable of powering tens of millions of households.
Detailed Korean Investment in the U.S. (by state)
South Korean companies are making massive investments across the United States, with projects concentrated in multiple states. In Georgia, Hyundai and LG Energy Solution are building a $4.07 billion battery plant, while Hyundai and SK On are investing $5.71 billion in another battery facility. Hanwha Q Cells is constructing a $2.5 billion solar plant, and CJ Foodville is opening a $6.9 million confectionery factory. In Alabama, Hyundai Electric’s subsidiary Air River Marine is establishing a $132 million transformer plant. In Louisiana, Hyundai and Josco are investing $5.71 billion in an electric motor plant. Tennessee is hosting several major projects, including SK On and Ford’s $11.29 billion battery plant, LG Chem’s $1.43 billion cathode plant, Samsung SDI and Stellantis’s $2.71 billion battery plant, and SK Siltron’s $429 million wafer facility. In Kentucky, Lotte Aluminum and Lotte Inhwa are investing $214 million in a new factory, while in Virginia, LS Cable is building a $714 million submarine cable plant. Pennsylvania is seeing Hanwha Ocean invest $5 billion in a Philadelphia shipyard. In Ohio, LG Energy Solution and Honda are building a $3.71 billion battery plant, and POSCO Chemical is constructing a $2.14 billion cathode facility. Michigan is hosting Samsung SDI and Stellantis’s $1.43 billion battery plant. South Dakota is seeing CJ CheilJedang open a $179 million food factory. In Indiana, Samsung SDI and Stellantis are investing $2.71 billion in one battery plant, $3.5 billion with GM in another, while SK Hynix is building a $3.86 billion advanced packaging facility. In Arizona, Hanwha Aerospace is investing $5 billion in a battery plant. The largest single investment is in Texas, where Samsung Electronics is building a $36.43 billion foundry plant. Altogether, South Korean corporate investments in the U.S. total an estimated $98.9 billion.<-br>
The raid targeted one of Georgia’s largest and most high-profile manufacturing sites, touted by the governor and other officials as the largest economic development project in state history. Hyundai Motor Group began manufacturing EVs a year ago at the $7.6 billion plant, which employs about 1,200 people. The site is part of a larger complex projected to eventually create 8,500 jobs. Hyundai’s Metaplant America (and its battery + EV complex with LG) was expected to create 8,500 jobs in Bryan County at full operation. Hyundai chief executive José Muñoz told U.S. media that the raid will create a “minimum two- to three-month delay [in opening the factory] because now all these people want to get back.” Mr. Muñoz said the firm is figuring out how it will fill the positions of workers planning to return to South Korea.
(2) U.S. Raid on Hyundai Timed to Pressure Korea in Trade Negotiations – Trump’s 25% Tariff Ultimatum to South Korea: ‘Pay $350 Billion or Face Steep Duties’ Trump’s threat demanding that $350 billion be deposited out of Korea’s $400 billion in foreign exchange reserves.
The timing of the raid is telling. Korea’s tariff negotiation team had just entered detailed talks in Washington. A 25% tariff on Korean autos remains in effect, even though both sides agreed to reduce it to 15%. Officially, delays are blamed on U.S. administrative procedures. In reality, it appears to be leverage: the U.S. is using Korean investments and exports to extract concessions in ongoing trade negotiations.
(3) Washington’s Hostage of Korea
The Georgia raid exposed a stark imbalance: tribute paid in capital and industry while Korean workers were paraded in chains, their dignity stripped for an American audience. Despite $100 billion in investment, Korean workers were treated like terrorists or drug traffickers—shackled and handcuffed. The raid humiliated workers and inflicted lasting trauma. Korea is forced to become an appendage of American capital and military power. In truth, the entire nation of Korea has become America’s hostage. Nearly half of South Korea’s annual national budget is invested in the U.S.; foreign reserves are drained, astronomical sums are extorted for weapons purchases, factories must be built in the U.S. and handed over, while domestic investment is siphoned away. Manufacturing in Korea stagnates, jobs vanish. A sovereign nation with 5,000 years of history is being held hostage to war and plunder. The logic is consistent: the U.S. wants Korea as its pawn, its hostage, for America’s global strategy.
(4) Time for Korea to Stand Firm
The Georgia hostage crisis of more than 300 Korean workers created an unprecedented opportunity for Korea to reclaim its sovereignty and use national leverage to strengthen its bargaining position. A veteran American journalist who has covered Korea for decades, Tim Shorrock, stated:
“Time to break this so-called ‘alliance… South Korea should never trust the United States again. Forget Trump's tirades and stand up for your sovereignty and economic and labor leadership in the world. We who support Korean independence will be in solidarity with you all the way.”
The Lee administration should not rush to give in to the Trump administration’s threats in defense-sharing and tariff negotiations. It is time for President Lee Jae Myung, who enjoys a strong approval rating of 66%, to stand up for the sovereignty and national interest of Korea.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