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군산복합체를 위대하게 만들자(MAMCG): 7년 만에 최대 증가폭을 기록한 이재명 정부의 첫 국방예산
Make American military industrial complex great (MAMICG): The war-mongering first defense budget of the the Lee Jae Myung Administration
2025년 한국의 GDP 성장률이 겨우 0.7%인 상황에서, 한국은 워싱턴의 군산복합체와 트럼프의 압력에 굴복해 편성된 최대 규모의 공격적 국방예산을 감당할 수 있을까? OECD 38개국 중 가장 높은 자살률을 기록할 정도로 가혹한 신자유주의 경제 압박을 겪는 나라가, 미국 주도의 중국 전쟁을 위한 막대한 국방비를 지불할 수 있을까? 주권 수호를 내세우며 촛불혁명을 이끈 수백만 한국인의 희생으로 탄생한 정부가 국민의 신뢰를 배신하는 듯한 모습, 아니면 내란 주도자 윤석열이 감옥에서 속옷 차림으로 헌법 질서에 맞서고 있는 모습을 보는 것 중,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무엇이 더 부끄러운 일인지 고민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럼에도 희망을 주는 유일한 것은, 불의에 반드시 저항해온 대한민국 민중의 역사다. 지난 겨울, 빛의 혁명이 일어난 순간들을 다시 되새겨 본다.
Photo Credit: Korean Progressive University Students’ Association, Stop the Korea-U.S.-Japan joint wargames that could trigger a nuclear war on the Korean Peninsula.
7년 만에 최대 증가폭을 기록한 이재명 정부의 이재명 정부의 전쟁 광적인 첫 국방 예산은 과연 누가 작성한 것인가? 미국의 군산복합체인가? 아니면 지금 감옥에 갇혀 속옷 차림으로 항의하며 한때 자신이 짓밟았던 법을 뻔뻔스럽게 모욕하고, 온 국민을 전 세계 앞에서 부끄럽게 만드는 윤석열인가? 혹은 혹한의 겨울, 윤석열의 불법 계엄과 반란에 맞서 싸운 한국 국민이 선택한 이재명 대통령인가? 나는 의문을 갖기 시작한다. 그리고 그 이유는 이렇다.
8월 25일 한미 정상회담에서 도널드 트럼프는 “대한민국은 우리 군사 장비의 주요 구매국”이라고 자랑스럽게 말했다. 이어 이재명 대통령은 워싱턴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연설에서 “안보 환경 변화에 맞추어 한미 동맹을 현대화하기로 합의했다”고 확인하며, “국방비를 증액하겠다”고 공언했다.
그 약속은 이제 구체적 수치로 나타났다. 이재명 정부의 첫 국방예산은 7년 만에 최대 증가폭을 기록했다. 총 66조 3천억 원, 전년도 윤석열 정부 예산 대비 8.2% 증가한 규모다. 이는 계엄을 기도하던 윤석열이 추진한 인상률의 두 배가 넘는다.
세부 내역을 보면 정부의 우선순위가 선명하다.
(1)전력운영비: 46조 1,200억 원(6.3% 증가) – 수년 만의 가장 큰 단일 항목 인상.
(2)방위력 개선비(무기 도입 및 전력 강화): 20조 원(13% 증가) – 평화가 아닌 전쟁 준비로 기울어진 공격적 성격.
(3)장기 계획: 2029년까지 매년 평균 7.3%씩 증액해 GDP 대비 3.5% 수준으로 끌어올릴 방침.
이에 따라 한국의 국방비는 2024년 약 452억 달러에서 2029년 약 547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동시에 한미는 B-2 스텔스 폭격기와 F-35A 전투기 추가 도입을 포함한 첨단 무기 도입을 논의하며, 동맹 현대화라는 이름으로 한국의 역할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첫째, 이재명 정부의 국방예산은 탄핵당한 전직 대통령이자 내란의 주도자였던 윤석열의 “힘에 의한 평화” 독트린을 사실상 수용한 것이다. 이번 예산은 독자적 필요가 아니라 미국 주도의 군비 확대 요구에 굴복한 결과다. 국방부는 북한의 핵·미사일 능력 고도화와 주변국 군비 강화 등을 명분으로 내세우지만, 이미 세계 11위 수준인 한국 국방비를 매년 8.2%씩 인상하며 억지력과 공격능력에 자원을 집중하는 것은 결국 미국산 무기 구매 압박과 궤를 같이한다.
둘째, 미국산 무기 추가 구매는 한국의 군사적 종속을 더욱 심화시킨다. 현재 한국군은 이미 대부분 미국산 무기에 의존하고 있다. 여기에 2030년까지 250억 달러 규모의 무기를 추가로 구매한다면, 운영체계·소프트웨어·정비까지 전적으로 미국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첨단 무기일수록 미국 종속의 강도는 커진다.
셋째, 국방비 급등은 남북관계를 악화시킨다. 문재인 정부조차 화해와 “자주국방”을 내세우면서도 역대급 국방비 증액을 추진했지만, 그 결과는 평화가 아니라 긴장 고조와 대화 단절이었다. 이재명 정부 역시 그 잘못을 훨씬 더 큰 규모로 반복하려 하고 있다.
넷째, “동맹 현대화”라는 표현은 사실상 남한이 영구적인 미국 군사 플랫폼으로 고착화되고, 외교적 자율성을 상실했음을 가리는 완곡어법이다. B-2 스텔스 폭격기와 F-35A 확대 배치는 억지력이 아니라 선제공격을 전제로 한 군비 증강이며, 결코 평화를 위한 조치가 아니다.
요컨대, 이재명 정부의 첫 국방예산은 촛불혁명을 배신한 선택이다. 평화를 말하면서도 미국산 공격 무기에 자원을 쏟아붓는다면 이는 위선일 뿐이며, 결국 자멸적 행보가 된다.
보수든 진보든, 미국의 요구에 굴복한 한국의 지도자는 모두 결국 신뢰와 정당성을 상실했고, 참담한 결과를 맞이했다. 나는 이재명 대통령이 전임자의 파국적 길을 반복하지 않을 만큼 현명하다고 믿는다. 더 중요한 것은, 촛불혁명 속에서 치열하게 싸우고 이재명 대통령을 선출한 한국 국민들이 지금 깨어나 경종을 울려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이재명 정부는 파멸을 면치 못할 것이다.
최악의 상황은, 현재 경제성장률이 겨우 0.7%인 한국이 급등하는 국방비의 부담에 짓눌릴 뿐 아니라, 미국 주도의 위험한 전쟁 행로로 밀려날 위험에 처해 있다는 점이다. 이는 경각심을 불러일으키는 경고이다.
한반도의 진정한 평화를 위해 한국은 미국의 종속에서 벗어나야 한다. 끝없는 군비 경쟁이 아니라 주권·대화·신뢰를 기반으로 한 독자적 길을 모색해야 한다.
워싱턴의 압력에 굴복하고, 수백 명의 시민을 살해할 준비까지 하며 불행한 반란을 감행한 윤석열의 전쟁광 정권에 맞서, 살을 에는 추위와 눈보라 속에서도 싸워온 한국 국민은 이제 깨어나 이렇게 물어야 한다. 과연 이재명 정부의 전쟁광적인 첫 국방예산은 누가 작성한 것인가?
2025년 한국의 GDP 성장률이 겨우 0.7%인 상황에서, 한국은 워싱턴의 군산복합체와 트럼프의 압력에 굴복해 편성된 최대 규모의 공격적 국방예산을 감당할 수 있을까? OECD 38개국 중 가장 높은 자살률을 기록할 정도로 가혹한 신자유주의 경제 압박을 겪는 나라가, 미국 주도의 중국 전쟁을 위한 막대한 국방비를 지불할 수 있을까? 주권 수호를 내세우며 촛불혁명을 이끈 수백만 한국인의 희생으로 탄생한 정부가 국민의 신뢰를 배신하는 듯한 모습, 아니면 내란 주도자 윤석열이 감옥에서 속옷 차림으로 헌법 질서에 맞서고 있는 모습을 보는 것 중,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무엇이 더 부끄러운 일인지 고민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럼에도 희망을 주는 유일한 것은, 불의에 반드시 저항해온 대한민국 민중의 역사다. 지난 겨울, 빛의 혁명이 일어난 순간들을 다시 되새겨 본다.
Who authored the war-mongering first defense budget of the Lee Jae Myung administration, which marks the largest increase in seven years? Was it the American military-industrial complex? Was it Yoon Suk-yeol—now in prison, protesting in his underwear, brazenly displaying contempt for the very law he once trampled, and shaming every Korean before the eyes of the world? Or was it President Lee Jae Myung, chosen by the Korean people who defied Yoon’s illegal martial law and insurrection during the bitter winter? I begin to wonder. And here is why.
At the August 25 summit with President Lee Jae Myung, Donald Trump boasted: “The Republic of Korea is a major purchaser of our military equipment.” Shortly afterward, at the 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 (CSIS), President Lee confirmed that he and Trump had agreed to “modernize the Korea–U.S. alliance in line with changes in the security environment.” He further pledged: “We will increase defense spending.”
That promise has now taken shape. The Lee administration’s first defense budget represents the largest increase in seven years: 66.3 trillion won, an 8.2% rise from the previous year under Yoon Suk-yeol—more than double the increase Yoon pursued even while instigating martial law.
The details reveal the government’s priorities:
(1)Operating costs: 46.12 trillion won (+6.3%)—the steepest single-year hike in years.
(2)Defense Reform Fund (weapons procurement and force enhancement): 20 trillion won (+13%), reflecting a clear tilt toward offensive capability—preparing for war rather than peace.
(3)Long-term plan: Raise defense spending by an average of 7.3% annually until 2029, pushing expenditures into the 3.5% of GDP range.
South Korea’s defense expenditure is expected to grow from $45.2 billion in 2024 to around $54.7 billion by 2029.
Talks between the Lee and Trump administrations are reportedly underway to purchase cutting-edge U.S. weapons—part of an effort to “modernize” the alliance while expanding South Korea’s role in Washington’s strategy. The discussions reportedly include potential acquisitions of the B-2 stealth bomber and expanded deployments of the F-35A.
Takeaway (1). The Lee administration has adopted the very doctrine of impeached former president and insurrection ringleader Yoon Suk-yeol: “peace through strength.” This budget reflects not independent necessity but compliance with U.S.-led demands for military buildup. Citing North Korea’s nuclear and missile advancements alongside the military growth of neighboring states, the Ministry of Defense has locked in annual 8.2% increases through 2026. Already ranked 11th globally, South Korea’s defense budget now prioritizes deterrence and offensive capacity—chiefly through expanded purchases of U.S. weapons.
Takeaway (2). Purchasing more U.S. weapons will only deepen Korea’s dependence. The military is already overwhelmingly reliant on U.S.-made systems. Buying another $25 billion worth of arms by 2030—including advanced platforms not yet proven in combat—will bind Korea even more tightly. The more sophisticated the weapon, the more Korea must rely on the producing country for operating systems, software, and maintenance.
Takeaway (3). Escalating defense spending undermines inter-Korean relations.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while proclaiming reconciliation and “self-reliant defense,” nonetheless drove defense spending to record highs. The outcome was not peace but heightened tension and the collapse of dialogue. The Lee government is now poised to repeat this mistake—on an even larger scale.
Takeaway (4). This notion of “alliance modernization” is a euphemism masking a harsher truth: South Korea remains a permanent U.S. military platform, locked into Washington’s war posture and stripped of diplomatic flexibility. The reported plans for purchasing U.S. B-2 stealth bombers and expanding deployments of the F-35A signal a deeper commitment to preemptive, offensive militarization—objectives that are neither defensive nor peace-oriented.
To sum up, the first defense budget of the Lee administration betrays the Revolution of Light. To speak of peace while pouring resources into deterrence and offensive U.S. weapons is not only hypocritical but self-defeating.
Conservative or progressive, every Korean leader who capitulated to America’s demands ultimately lost trust and legitimacy—and met disastrous consequences. I trust that President Lee is wise enough not to repeat his predecessor’s ruinous path. More importantly, the Korean people—who fought tirelessly in the Revolution of Light and elected President Lee—must now awaken and sound the alarm. If they do not, the Lee administration will be doomed.
Worst of all, with South Korea’s current economic growth rate at just 0.7%, the nation risks being crushed under the weight of soaring defense spending while being pushed onto a perilous U.S.-led war path. This is a wake-up call.
For genuine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South Korea must break free from the U.S. yoke and chart an independent path—one that rejects endless militarization in favor of sovereignty, dialogue, and trust.
Koreans who endured the bitter cold, snow, and freezing winds to resist Yoon’s war-mongering regime—a regime that capitulated to Washington’s demands, staged a doomed insurrection, and was prepared to kill hundreds of citizens and stuff them into body bags—must now wake up and ask: Who authored the war-mongering first defense budget of the Lee Jae Myung administration?
With South Korea’s GDP growth projected at a mere 0.7% in 2025, can the country possibly bear the largest offensive defense budget, submitted under pressure from Washington’s military-industrial complex and Trump? Can a nation, suffering the highest suicide rate among the 38 OECD countries due to harsh neoliberal economic pressures, afford to pay for a massive military buildup aimed at a U.S.-led war against China? As a citizen, I cannot help but wonder which is more shameful: seeing a government born from the sacrifices of millions of Koreans who led the Candlelight Revolution betray the people’s trust, or witnessing Yoon Suk-yeol, the ring leader of insurrection, defy constitutional order in prison while protesting in his underwear. Yet the only source of hope lies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people, who have always resisted injustice. I recall once again the moments of the Revolution of Light last winter.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