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힘 선언: 이재명 대통령, 독립·자주·군사 주권을 천명하다

President Lee Proclaims Korea’s Independence, Self-Reliance, and Military Sovereignty

Washington’s Nuclear Provocations Undermine Korea’s Sovereignty.

동아시아의 점화선: 워싱턴의 핵 도발이 한국의 주권을 위협하다

독립, 자주, 군사 주권.
10월 1일 대한민국 제77회 국군의 날 기념사에서, 이재명 대통령은 한국 군사 주권의 필요성을 재확인하며 세 가지 핵심 사항을 강조했다.

첫째:
이 대통령은 한국군의 기원을 상기시켰다. 독립운동에 참여한 독립군과 광복군, 그리고 국가를 위해 희생한 순국선열, 참전용사, 예비군이다.

둘째, 자주:
“대한민국의 평화와 번영을 위해 우리는 누구에게도 의존하지 않고 우리 스스로의 힘을 강화해야 합니다.”

셋째, 군사 주권:
“대한민국은 확고한 한미 동맹을 기반으로 작전 통제권을 회복하여 워싱턴과의 공동 방위 태세를 주도할 것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비전은 현재 지정학적 상황에 의해 약화되고 있다.

9월, 워싱턴은 동북아시아에서 위험한 선을 넘어선 것으로 보였다.
2025년 9월 15일부터 19일까지, 아이언 메이스(Iron Mace)—2024년 미 전략사령부 지휘하에 한국군과 함께 시작된 핵작전 테이블탑 연습—가 확대되어 미·일·한 3국 연합 연습으로 진행되었으며, 일본 자위대가 참여했다.

동시에 미 전략사령부는 강력한 무력 시위를 수행했다.
9월 17일부터 21일까지, 캘리포니아 연안의 오하이오급 전략 잠수함이 트라이던트-II 잠수함 발사 대륙간 탄도미사일 4기를 연속 발사했다.
통상 점검에서는 1~2기만 발사되는데, 4기 발사는 전혀 다른 신호를 보낸다.
각 미사일은 W76-2 전술 핵탄두를 탑재할 수 있으며, 오하이오급 잠수함 한 척에는 통상 20기가 실린다. 총 1척당 최대 240기 실릴수 있다.

그리고 9월 23일, 같은 급의 핵 잠수함이 필리핀 북부 루손 섬의 수빅만에 나타났다.

핵심 요약

미·일·한 3국 핵 연습, 캘리포니아 연안에서의 다수 트라이던트-II 미사일 발사, 그리고 필리핀 해역에서 오하이오급 잠수함의 갑작스런 출현은 북한, 중국, 러시아를 겨냥한 조직적 핵 무력 과시를 형성했다.
이 사건들을 종합하면, 아시아에서 미국의 핵 위협 패턴이 명확히 드러난다.

워싱턴의 행동과 정책 엘리트들의 노골적인 수사는 의심의 여지 없이 한반도와 아시아 지역이 치명적 충돌 직전에 놓여 있음을 보여준다.

```

A Lit Fuse in East Asia: Washington’s Nuclear Provocations Undermine Korea’s Sovereignty

Independence, self-reliance, and military sovereignty.
While offering his customary appreciation to U.S. Forces Korea and the UNC in his address on the 77th Armed Forces Day of the Republic of Korea on October 1, President Lee Jae Myung reaffirmed the need for Korea’s military sovereignty.
He highlighted three key points.

First: President Lee reminded the nation of the Korean army’s origins: the independence fighters and Liberation Army who participated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as well as the fallen heroes, war veterans, and reservists who sacrificed for the nation.

Second, self-reliance:
“To ensure peace and prosperity for the Republic of Korea, we must not depend on anyone else but strengthen our own power.”

Third, military sovereignty:
“The Republic of Korea will lead a joint defense posture with Washington by regaining operational control, based on a firm ROK–U.S. alliance.”

Lee’s vision, however, is being undermined by the current geopolitical context.

In September, Washington appeared to have crossed a dangerous threshold in East Asia.
From September 15 to 19, 2025, Iron Mace—a nuclear-operations tabletop exercise with South Korean forces that began in 2024 under U.S. Strategic Command—was expanded into a U.S.–Japan–South Korea trilateral exercise, bringing Japan’s Self-Defense Forces into the mix.

Concurrently, U.S. Strategic Command delivered a powerful display of force.
Between September 17 and 21, an Ohio-class strategic submarine off the California coast fired four Trident-II submarine-launched intercontinental ballistic missiles in rapid succession.
A routine inspection normally involves one or two missiles; quadruple launches signal something else entirely.
Each missile can carry W76-2 tactical nuclear warheads, and a single Ohio-class submarine typically carries twenty—up to 240 warheads per vessel.

Then, on September 23, that same class of submarine surfaced in Subic Bay off northern Luzon Island in the Philippines.

Takeaways

A U.S.–Japan–Korea trilateral nuclear exercise, multiple Trident-II missile launches off California, and the sudden appearance of an Ohio-class submarine in Philippine waters formed a coordinated show of nuclear force aimed squarely at North Korea, China, and Russia.
Viewed together, these events reveal an unmistakable pattern of U.S. nuclear saber-rattling in Asia.

Washington’s actions, coupled with the unguarded rhetoric of its policy elite, leave little doubt: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broader Asian region stand on the edge of a catastrophic confrontation.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A Pivotal Moment for U.S. Foreign Policy: Why South Korea’s Democratic Uprising Demands a Rethink
미국 외교정책의 중대한 기로: 왜 한국의 민주항쟁은 외교적 재고를 요구하는가

By Simone Chun


Korea’s 2025 Presidential Election: President Lee Jae-myung and the Democratic Revolution of Light—A Mandate for Sovereignty and Justice
이재명 대통령과 함께 여는 빛의 민주주의, 국민주권 혁명의 시대

“험한 세상에 다리가 되어?”


한국·중국·일본·인도네시아 노동자 석방 위해 조용히 빛난
이재명 대통령의 세계시민적 동북아 연대 정신



“Bridge Over Troubled Waters?”
The Korean government cooperated not only for its own citizens
but also for its Asian neighbors, including China, Japan, and Indones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