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리아 업데이트: 미국에서 본 오늘의 한반도
트럼프 관세 폭탄에는 강경 대응을: 한미 FTA를 끝내야 할 때?
미국에 무조건 퍼주는 정책은 이제 반드시 종식해야 한다
Trump’s Tariff Bomb Demands a Bold Response: End the KORUS FTA
“워싱턴의 끊임없는 위협과 압박… 이것이 바로 우리가 한미 FTA를 체결할 수밖에 없었던 진짜 이유였다.”
2009년 우드로 윌슨 센터에서 열린 한미 FTA 포럼에서, 한 저명한 한국 국제통상법 교수가 나에게 한미 관계의 본질과 그 이면에 숨겨진 진실을 털어놓았다. 패널로 함께 발언한 이후 사적인 대화에서 나온 이야기였다. 그가 공개적으로는 무역 이론과 협상, 정책에 대해 이야기했지만, 사적인 자리에서는 훨씬 더 솔직했다.
미국의 끊임없는 위협과 압박 때문에, 2007 년 노무현 대통령 정권은 노동자·농민·노조·소비자 등 국민의 대대적인 반대에도 불구하고 한국은 한미 FTA를 체결할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이는 미국이 301조 조사, 반덤핑·상계관세 부과, 그리고 세계무역기구(WTO) 제소를 반복적으로 남용하며 한국을 압박한 결과였다.
한국은 이러한 위협의 악순환에서 벗어나기 위해 2007년 한미 FTA를 체결했고, 관세와 비관세 장벽을 대폭 낮추는 선의의 조치로서 개방 의지를 보여주었다. 학계에서는 국제무역과 외교 이론을 추상적으로 논하지만, 실제 현실에서는 강자가 억누르고 약자가 굴복한다. 특히 미국 패권 아래서 그렇다. 이것이 당시 포럼에서 내가 얻은 진짜 교훈이었다.
미국은 한국에 대해 WTO 분쟁, 301조 조사, 그리고 수많은 반덤핑 및 상계관세 조치를 포함해 총 35~40건 이상의 무역 제재를 가했다. 한미 FTA 파트너 중에서도 한국에 대한 반덤핑·상계관세 제소 건수가 가장 많다. 미국은 한국을 현금 인출기로 보는가?
최근 사례: 트럼프의 25% 상호 관세 통보와 3,800억 달러 요구
미국은 한국에 ‘제조업 연합 기금’ 명목으로 무려 3,800억 달러를 요구했다. 이는 한국 연간 국가 예산의 80%가 넘는 천문학적인 금액이다.
미국은 한국의 평균 관세율이 미국보다 4배 이상 높다고 주장하며, 한미 동맹군 주둔비까지 근거로 들지만, 이는 명백한 거짓이다.
한미 FTA 하에서 양국 간 산업재 대부분은 이미 무관세다. 한국이 미국에 부과하는 평균 관세율은 0.79%에 불과하며, 환급분을 포함하면 더 낮다. 오히려 한국은 미국에 대한 최대 투자국 중 하나다.
그러나 미국은 이미 한미 FTA와 다른 무역협정을 위반하며 일방적으로 관세 부과를 위협해왔다. 이는 트럼프 정부의 전형적인 강압 전략이다.
한미 FTA는 쌍방 합의로 체결된 법적 구속력 있는 협정이며, 한국은 미국의 위협에 대해 협정을 근거로 엄격히 대응할 권리가 있다.
소위 ‘제조업 연합 기금’ 요구는 명백한 ‘갈취’다
트럼프 정부가 한국에 국가 예산의 80% 이상을 요구하는 이 행위는 음모론이나 농담이 아니다. 미국식 강압 외교의 현실이다. 이러한 강압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오랜 기간 미국이 일관되게 사용해온 전술이다.
더 심각한 문제는, 미국 정부가 법과 협정, WTO 체제조차 무시하며 강대국이 원하는 대로 행동한다는 점이다. 한국은 오랫동안 미국의 충실한 ‘속국’ 취급을 받으며 가장 불리한 조건을 감수해왔다. 실제로 한미 FTA 파트너 중 한국에 부과된 미국의 관세가 가장 높다.
한국이 처한 현실과 대응 방향
협정 위반 시 상대국은 정당한 보복과 대응 권리가 있다. 한국은 단호하고 자신감 있게 대응해야 한다.
한국 내 풀뿌리 시민단체들이 트럼프의 관세 폭탄에 맞서 연대할 것을 요구하는 목소리를 귀 기울여 들어야 한다.
‘이재명 정부’에 바란다
“우리는 ‘빛의 민주주의 혁명’으로 탄생한 이재명 정부에 다음과 같이 촉구한다.
주권 재민을 믿고 과감하게 한국의 경제 주권과 안보 주권을 수호하라.
미국의 부당한 관세 위협에 굴복하지 말고, 원칙과 실리를 바탕으로 단호하게 대응하라.
미국과의 안보 협상에서 전략적 자주성을 견지하라.
미국의 압력에 처한 다른 국가들과 연대하여 공동 대응하라.
협상 내용을 국민에게 투명하게 공개하고, 국민적 합의를 이룬 뒤 협상에 임하라.
더불어 미국 대사관이 38년간 무상 점유 중인 정부 소유 외교부지를 대상으로 미납 임대료 약 900억 원(7천만 달러)을 청구하는 것부터 시작해 보자.
그리고 한미 FTA 폐기를 본격적으로 추진하여 트럼프 정부를 압박하는 방법도 고려해 봄직하다.
미국과의 안보 협상에서 전략적 자주성을 견지하라.
Trump’s Tariff Bomb Demands a Bold Response: End the KORUS FTA
“The policy of unconditionally giving everything to the United States must come to an end.”
“Constant threats and pressure from Washington… That was the real reason we had no choice but to sign the KORUS FTA.”
At a 2009 forum on the Korea–U.S. Free Trade Agreement hosted by the Woodrow Wilson Center, a prominent Korean professor of international trade law shared with me—in a private conversation after we had appeared together as panelists—the hidden realities of Korea–U.S. trade relations.
While he spoke publicly about trade theory, negotiations, and economic frameworks, he was strikingly candid behind the scenes. He confided that the Roh Moo-hyun administration had effectively been forced to sign the KORUS FTA in 2007 due to relentless threats and pressure from the United States—despite fierce resistance from Korean workers, farmers, labor unions, and consumers.
This coercion was not subtle. The U.S. repeatedly abused Section 301 investigations, imposed anti-dumping and countervailing duties, and filed WTO complaints to corner Korea. To escape this cycle of pressure, Korea reluctantly signed the agreement, lowering tariffs and non-tariff barriers to signal its market-opening intentions.
Academics may speak of international trade and diplomacy in abstract terms. But in reality, under American hegemony, the strong coerce and the weak submit. That was the true lesson I took away from that forum.
A Pattern of Coercion
This pattern has only intensified. To date, the U.S. has imposed over 35–40 trade sanctions on Korea—including WTO disputes, Section 301 investigations, and countless anti-dumping and countervailing duties. Among all KORUS FTA partners, Korea has faced the highest number of such complaints. At this point, one must ask: Does the U.S. see Korea as its personal cash machine?
The latest example of this coercion came in the form of Trump’s 25% mutual tariff threat and the outrageous demand for a $380 billion “Manufacturing Alliance Fund”. This sum represents more than 80% of Korea’s annual national budget.
The U.S. justifies this extortion by falsely claiming that Korea’s average tariff rate is more than four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United States, and even cites the cost of stationing U.S. troops in Korea as a pretext. But the facts tell a different story. Under the KORUS FTA, most industrial goods between the two countries are already tariff-free. Korea’s average tariff on U.S. goods stands at just 0.79%—and the effective rate is even lower when refunds are included.
In fact, Korea is one of the largest investors in the United States. Yet the U.S. violates its own agreements by unilaterally threatening tariffs—a clear breach of the KORUS FTA and WTO rules. This is not negotiation. It is coercion.
The KORUS FTA is a legally binding agreement, and Korea has every right to respond decisively and firmly to American threats based on the agreement’s own terms.
This Is Not Diplomacy. This Is Extortion.
Demanding $380 billion—more than 80% of Korea’s entire budget—is not a joke, not a conspiracy theory. It is a blatant display of coercive diplomacy. And it’s part of a long-standing pattern. The deeper problem is that the United States consistently ignores laws, treaties, and even the WTO system when it no longer suits its interests.
Korea, long treated as a loyal “vassal state,” has endured some of the most unequal and unfavorable conditions among U.S. allies. Despite being a formal trade partner, it faces the highest tariffs imposed by the U.S. among KORUS FTA signatories.
In the face of these threats, the voices of grassroots civic organizations in Korea calling for solidarity and resistance must be taken seriously. This is not just about trade—it is about sovereignty.
A Message to the Lee Jae Myung Administration
We urge the Lee Jae Myung government, born from the Revolution of Light democracy movement, to take the following steps:
Believe in the people as the true holders of sovereignty. Boldly defend Korea’s economic and security independence.
Do not succumb to America’s unfair tariff threats. Respond firmly, with principle and practicality.
Maintain strategic autonomy in all security negotiations with the United States.
Build solidarity with other countries also facing U.S. pressure. Coordinate and respond together.
Ensure transparency by disclosing negotiation details to the public and moving forward only with broad democratic consensus.
As a symbolic first step toward reclaiming sovereignty,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demand that the U.S. Embassy pay the approximately 90 billion won (70 million USD) in unpaid rent for the Foreign Ministry land it has occupied rent-free for nearly four decades.
End the Deal. The KORUS FTA Has Outlived Its Purpose.
Defend national sovereignty.
No sovereignty, no future.
"“Now is the time for us to shout ‘Yankee Go Home"'
Father Ham Se-woong, advisor to the Catholic Priests’ Association for Justice Veteran Democracy and Peace Activists Hold Press Conference, July 17, 2025, Seoul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