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말 한마디에 수천만 국민의 삶이 달려 있다는 막중한 책임감으로 죽을 힘을 다해 국정에 임하고 있다"--이재명 대통령

한국 여성 노동자의 600일 노동자들의 존엄성을 위한 투쟁

"Pray for the dead and fight like hell for the living": Korean woman worker's 600-day rooftop protest for labor rights


제 말 한마디에 수천만 국민의 삶이 달려 있다는 막중한 책임감으로 죽을 힘을 다해 국정에 임하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

나는 인간이 단지 견디기만 하는 존재가 아니라 결국에는 이겨낼 것이라고 믿는다. 인간이 불멸인 이유는, 그가 유일하게 끝없는 목소리를 가진 존재이기 때문이 아니라, 연민과 희생, 인내가 가능한 영혼과 정신을 지녔기 때문이다. 시인과 작가의 의무는 바로 이러한 것들에 대해 글을 쓰는 것이다. 인간의 마음을 고양시키고, 그의 과거를 영광스럽게 만든 용기와 명예, 희망과 자부심, 연민과 동정, 그리고 희생을 일깨워 줌으로써 인간이 견디도록 돕는 것은 작가의 특권이다. 시인의 목소리는 단순히 인간을 기록하는 데 그치지 않고, 그가 견디고 이겨내도록 돕는 받침대, 기둥이 될 수도 있다.” – 윌리엄 포크너 (William Faulkner)

한 사람의 삶의 역사는 자신의 일자리를 지키려는 역사, 즉 해고되지 않으려는 역사일 수 있다. 요즘 같은 시대에는 그 일이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 그 투쟁은 결코 장엄하거나 영웅적이지 않다. 힘들고, 결함이 있으며, 승리는 드물다. 해고당하고, 실업자라는 군대에 합류해야 하며, 생존 모드로 내몰린다—월세, 대출, 보험, 의료비 등을 어떻게 감당할 것인가.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해고된 모든 사람은 각자 나름의 방식으로 투쟁한다. 그런 의미에서 이러한 개인적 투쟁도 역사 속 일부라고 할 수 있다. 역사는 사실 한 사람 한 사람의 투쟁의 역사이기도 하다. 마르크스가 말했듯이, “지금까지 존재해 온 모든 사회의 역사는 계급투쟁의 역사이다”

가장 두드러지는 것은 반드시 영웅적이거나 장엄한 노동자 투쟁이나 혁명의 승리와 성공만이 아니다. 그것은 오히려 포크너가 말한, 연민과 희생, 인내를 실현할 수 있는 “정신”이다. 이번 주 나는 한 한국 여성 노동자의 이야기를 읽으면서 그런 “정신” 생각을 했다.한 여성 노동자가 600일 동안 고공 농성을 이어가는 모습을 전 국민이 지켜보았고, 드디어 이재명 대통령이 당선되자 그녀가 내려왔다. 개인적으로, 이재명 대통령 취임 이후 가장 기쁘게 들은 소식이다.

2024년 1월, 경북 구미 한국옵티칼하이테크의 해고 노동자 40세 박정혜씨는 노조 조직부장 소현숙씨와 함께 9미터 높이의 공장 옥상에 올라 해고에 항의하고 고용승계를 요구하는 농성을 시작했다.

한국옵티칼하이테크는 일본 닛토덴코 그룹의 자회사다. 2004년 구미 외국인투자지역에 공장을 지을 때, 50년 무상토지 임대와 세금 감면 등 혜택을 받았다. 2022년 화재로 공장이 전소한 후, 생산은 경기도 평택 자회사(한국니토옵티칼)로 이전되었고, 구미 공장은 청산되었다.

이들의 옥상 농성은 600일간 이어졌다. 그 기간 동안 회사는 단 한 번도 노조의 교섭 요청에 응하지 않았다.

8월 29일, 정부와 더불어민주당이 노사 대화를 약속하면서 농성은 종료되었다. 같은 날 금속노조와 당·정부·대통령실은 한국옵티칼하이테크 공장에서 옥상 농성 종료 기자회견을 열었다. 박정혜씨는 옥상 끝자락에 서서 양손으로 한국옵티칼하이테크 금속노조 지회”라고 적힌 깃발을 꼭 잡았다. 안전모와 안전조끼를 입고 크레인을 기다리며 깊게 숨을 내쉬었다. 지회 사무장 이지영씨가 크레인을 타고 올라오자, 박씨는 그녀의 손을 잡고 한 발 한 발 조심스럽게 옥상에서 크레인으로 옮겨갔다.

더불어민주당 김주영 의원은 “외국인투자기업이 국가와 지자체의 지원을 받고도 사회적 책임을 다하지 않고 노동자를 외면하는 경우, 집권 여당과 정부가 함께 제도적으로 보완하겠다”고 약속했다.

고용노동부 김영훈 장관은 “오늘 국무회의에서 이재명 대통령께서 노동부 장관이 가진 모든 권한을 사용하여 이 문제를 신속히 해결하라고 지시하셨다. 이제 국가가 나설 것이다. 노사 교섭이 지체 없이 이루어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과 정부는 외국인투자기업이 노동자를 배신·팽개치는 경우를 제도적으로 보완하고, 함께 해결책을 모색하겠다.”

한국옵티칼하이테크지회 최현환 지회장은 “오늘 우리는 옥상 농성을 종료하지만, 이것은 끝이 아니라 또 다른 시작이다. 땅 위 투쟁은 더 치열하고 더 넓게 싸울 것이다. 600일간의 투쟁에서 얻은 힘과 연대를 발판삼아 흔들림 없이 나아가겠다”고 말했다.

박씨는 또한 부산민주노총 고참 지도위원이자 고공농성 베테랑인 김진숙 지도위원과 따뜻한 인사를 나눴다. 김진숙은 “절망과 희망이 공존하고, 삶과 죽음이 엇갈리는 곳—연대가 없으면 죽고, 연대가 되면 살아 돌아오는 곳에서 오늘 박정혜가 살아서 내려왔다. 한국옵티칼 투쟁은 끝나지 않았다. 단지 장소가 바뀌었을 뿐, 옥상에서 땅으로, 좁은 공간에서 넓은 곳으로. 이제 민주당과 정부가 약속대로 투쟁을 이어가야 한다”고 말했다.

내 친구 김진숙으로 다시 돌아가자. 부산의 무덥고 습한 여름날, 그녀는 내 호텔에 머리 크기의 두 배나 되는 수박을 들고 나타났다. 다소 우스꽝스러운 장면이었다. 김진숙 지도위원과 나는 한진중공업 고공농성 309일 동안 알게 되었다. 그 투쟁 기간 동안 나는 국내외에서 그녀의 부당 해고 투쟁을 알리는 활동에 참여했으며, 노엄 촘스키도 함께했다. 이전에는 트위터로만 연결되었지만, 그 무더운 여름날 우리는 직접 만났다. 이후 김지도는 미국에 초청되어 노동 문제에 대해 강연하기도 했다. 남화숙 교수의 책이 보여주듯,김진숙 지도위원이 한국 노동사에 한 장을 차지할 만한 인물임을, 나는 나중에 그녀와 투쟁에 대해 더 쓸 것이다.

한국 국민들은 전 세계 수많은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신자유주의 아래 고통받고 있다. IMF 외환위기 이후 계속되는 해고, 비정규직 증가, 권리와 자유의 지속적 침식에 시달려왔다.” –김진숙 지도위원과 개인 인터뷰–

영웅화하지 않고도, 나는 그녀가 노동자들의 변화를 실현할 수 있다는 흔들림 없는 신념을 기억한다. 실제로 김진숙, 박정혜, 소현숙, 그리고 수많은 한국 노동자들의 투쟁은 노동자들이 사회 정의와 평등, 인간 존엄을 실현할 에너지를 발휘할 수 있다는 믿음을 입증한다. "전 세계 노동자여, 단결하라! 너희가 잃을 것은 사슬뿐이다."


I am carrying out state affairs with every ounce of my strength, fully aware of the heavy responsibility that the lives of tens of millions of citizens depend on every word I speak.” President Lee Jae Myung

I believe that man will not merely endure: he will prevail. He is immortal, not because he alone among creatures has an inexhaustible voice, but because he has a soul, a spirit capable of compassion and sacrifice and endurance. The poet’s, the writer’s, duty is to write about these things. It is his privilege to help man endure by lifting his heart, by reminding him of the courage and honor and hope and pride and compassion and pity and sacrifice which have been the glory of his past. The poet’s voice need not merely be the record of man, it can be one of the props, the pillars to help him endure and prevail.William Faulkner

One’s life history can be the history of trying to hold onto a job—that is, not getting fired—which is becoming increasingly difficult these days. The struggle is rarely grandiose or heroic; it is arduous, flawed, and victories are rare. You are fired, forced to join the army of the jobless, and thrown into survival mode—how to pay bills, rent, mortgages, healthcare, and more. Ironically, though, every laid-off worker fights in their own way. In that sense, these personal struggles are part of history itself. History is, in fact, the history of each person’s struggle. As Marx put it, “The history of all hitherto existing society is the history of class struggles” (Communist Manifesto, 1848).

What is most manifested is not necessarily the victories and triumphs of glorified, heroic worker struggles or revolutions, but the “spirit” that Faulkner spoke of—a spirit capable of compassion, sacrifice, and endurance. This was my thought this week as I read the story of a Korean woman worker.

In January 2024, Park Jeong-hye, a 40-year-old dismissed worker from Korea Optical High Tech in Gumi, North Gyeongsang Province, together with union organizing director So Hyun-sook, climbed onto the nine-meter-high factory rooftop to protest layoffs and demand job succession.

Korea Optical High Tech is a subsidiary of Japan’s Nitto Denko Group. When it built its factory in Gumi’s foreign investment zone in 2004, it received benefits including a 50-year free land lease and tax reductions. After a fire completely destroyed the plant in 2022, production was shifted to its subsidiary in Pyeongtaek, Gyeonggi Province (Korea Nitto Optical), and the Gumi factory was liquidated.

The sit-in lasted 600 days. Throughout the protest, the company never once responded to the union’s requests for negotiations. The entire nation watched as a female worker continued her aerial protest for 600 days, and at last, when Lee Jae Myung was elected president, she came down. Personally, this was the happiest news I have heard since President Lee’s inauguration.

On August 29, the sit-in ended after the government and the Democratic Party of Korea promised to arrange labor-management dialogue. Park Jeong-hye stood at the edge of the rooftop, clutching with both hands a union flag that read “Korea Optical High Tech Branch of the Korean Metal Workers’ Union.” Wearing a safety helmet and vest, she exhaled deeply as she awaited the crane. When Lee Ji-young, the branch secretary, arrived by crane, Park took her hand and carefully stepped from the rooftop onto the crane, one step at a time.

On the same day, the Metal Workers’ Union, together with the party, the government, and the presidential office, held a press conference at the Korea Optical High Tech factory to announce the end of the rooftop protest.

Representative Kim Joo-young of the Democratic Party pledged, “Even though foreign-invested companies receive support from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they shirk their social responsibilities and turn their backs on workers. As the ruling party and the government, we will work together to establish institutional safeguards against this.”

Minister of Employment and Labor Kim Young-hoon added, “At today’s Cabinet meeting, President Lee Jae-myung instructed me to use every authority at the Labor Ministry’s disposal to resolve this issue as quickly as possible. The state will now step in. We will ensure that labor–management negotiations take place without delay.”

“The Democratic Party and the government will step forward together to establish institutional measures to address cases where foreign-invested companies betray and abandon their workers, and we will work together to seek solutions.”

Choi Hyun-hwan, head of the Korea Optical High Tech branch union, said, “Today we are ending the rooftop protest, but this is not the end — it is another beginning. Our struggle on the ground will be fiercer and broader. Building on the strength and solidarity gained from the 600-day fight, we will move forward without wavering.”

Park was also greeted by Kim Jin-suk, a senior advisor to the Busan branch of the Korean Confederation of Trade Unions (KCTU) and a veteran of high-altitude protests. Kim said, “From that place where despair and hope coexist, where life and death diverge—a place where without solidarity you die, but with solidarity you live and return—today Park Jeong-hye has come down alive. The struggle at Korea Optical is not over; it is only that the site has shifted, from the heights to the ground, from a narrow space to a wider one. Now, as promised, the Democratic Party and the government must carry the struggle forward.”

Back to my friend Kim Jin-suk. On a humid, hot summer day in Busan, she showed up at my hotel carrying a watermelon twice the size of her head. It was a somewhat comical sight. Kim and I had become acquainted during her 309-day crane-top protest against Hanjin Heavy Industries and Construction. During that high-altitude protest, I joined many in Korea and abroad to raise awareness of her fight against unjust layoffs, including Noam Chomsky. Though we had previously connected only through Twitter, we finally met in person that sweltering summer day. We met again when Kim was invited to the U.S. to speak about labor struggles. As Kim Jin-sook deserves a chapter in Korea’s labor history, as Professor Nam Hwa-sook’s book demonstrates, I will write more about her and her struggle later.

For now, let us turn to our latest story of workers’ struggle. “South Koreans, like millions of others across the globe, are suffering under neoliberalism. We have endured continued layoffs, an increase in temporary employment, and an ongoing erosion of our rights and freedoms since the IMF foreign exchange crisis of 1997.” –Personal interview with Kim Jin-suk

Without glorifying, I recall Kim’s unshakable faith in the workers’ ability to effect change. Indeed, Kim’s, Park’s, So’s, and so many Korean workers’ struggles vindicate their belief in the power of workers to ignite the energy and passion needed to achieve social justice, equality, and human dignity. "Workers of the world, unite! You have nothing to lose but your chains."

Photo Credit: KoreaUpdate with Kim Jin-suk, Busan, KCTU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A Pivotal Moment for U.S. Foreign Policy: Why South Korea’s Democratic Uprising Demands a Rethink
미국 외교정책의 중대한 기로: 왜 한국의 민주항쟁은 외교적 재고를 요구하는가

By Simone Chun


Korea’s 2025 Presidential Election: President Lee Jae-myung and the Democratic Revolution of Light—A Mandate for Sovereignty and Justice
이재명 대통령과 함께 여는 빛의 민주주의, 국민주권 혁명의 시대


왜 트럼프는 이재명 대통령을 정상회담에 초대하는가? 워싱턴은 중국과의 미래 전쟁을 방해할 수 있는 북한을 반드시 관리해야 한다.

Why is Trump inviting President Lee for a summit? Washington must ensure that North Korea, which could disrupt a future war with China, is kept under contr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