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거대한 촛불 시민 운동은 트럼프의 아킬레스건이다
이재명 대통령에게 보내는 메시지: 국민을 믿으시라. 혼자 싸우지 마시라. 국민의 힘을 의지하시라.
Korea’s Massive Candlelight Protest Is Trump’s Achilles’ Heel

이번 협상의 진정한 승자는 누구인가? 다름 아닌 한국 국민의 거대한 촛불 저항이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무모한 통상 압박은 일시적으로 멈춰섰다. 그 배경에는 소위 '합의'라고 불리는 협상이 있었으며, 그 실체는 곧 드러날 것이다. 미국은 거대한 시장 규모를 무기 삼아 사상 최악의 불평등한 조건을 한국에 강요했고, 결국 천문학적인 양보를 이끌어냈다. 이는 결코 승리도 아니며, 제대로 된 협상조차 아니다. 명백한 '경제적 강탈'이다. 합의에 따르면, 미국은 한국산 수출품에 15%의 관세를 부과하고, 그 대가로 한국은 미국에 3,500억 달러를 투자하고 1,000억 달러 규모의 에너지를 수입하기로 했다. 총액 4,500억 달러—이는 현재 한국의 외환보유액 4,097억 달러를 초과하는 금액이며, 한국이 사실상 모든 달러 기반 자산을 미국에 넘긴 것이나 다름없다. 국민 1인당 약 974만 원, 즉 약 1만 달러가 미국에 상납되는 셈이다. 참고로 정부의 12조 원 규모의 긴급재난지원금도 내수에 뚜렷한 효과를 냈다. 4,500억 달러라는 약속은 도를 넘은 것을 넘어선다. 이것은 경제적으로도 불합리하고, 정치적으로도 무책임하다. 일각에서는 유럽연합과 일본도 비슷한 조건으로 협상했기에 한국이 특별히 불리하지 않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는 전혀 다른 조건과 규모를 무시한 '사과와 오렌지를 비교하는' 궤변에 불과하다. EU는 인구 4억 5천만 명, GDP 19조 6천억 달러의 경제권으로, GDP 대비 투자 규모는 8.5%에 불과하다. 일본은 4조 달러 규모의 경제에 대해 13.75%를 약속했다. 반면 한국은 GDP 1조 8천억 달러 규모의 경제임에도 25%에 달하는 비율을 약속했다. 가장 불균형하고 가혹한 조건이다. 1인당 부담은 말할 것도 없이 한국이 압도적으로 높다. 뿐만 아니라, EU의 대미 수출 품목 중 자동차나 운송장비 비중은 13.2%에 불과하며, 반도체 수출도 사실상 존재하지 않는다. 일본은 자...